-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10/26 01:50:07수정됨 |
Name | sisyphus |
Subject | "사랑은 전문가들의 게임일 뿐" 우엘벡의 설거지론 (수정) |
소설 '소립자'를 통해 우엘벡이 보는 설거지론의 본질은 이게 아닐까 합니다. 1. 소립자 中 "오늘날의 처녀들은 한결 신중하고 합리적이다. 무엇보다 학업 성적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장차 좋은 직업을 갖는 데에 필요한 일을 하려고 노력한다. 남자들과 데이트를 하긴 하지만. 그건 여가 활동이나 심심풀이일 뿐이다. 거기에는 성적인 쾌락과 자기 도취적 만족감이 거의 대등하게 작용한다. 더 나이가 들면, 그녀들은 이러저러한 조건을 따져 가며 합리적인 결혼을 하려고 애쓴다. 그녀들은 대개 상대의 사회적 위치와 직업적 조건이 합당하고 취미나 기호에 공통점이 있을 때 혼인을 결정한다. 사랑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 물론 그런 결혼이 행복할 리 없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사랑이 가져다 주는 융합적이고 퇴행적인 상태에 빠질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요모조모 따지며 실리를 챙기는 사람은 이런 상태에 빠질 수 없다)] 오늘날의 여자들은 그런 선택을 통해서 앞 세대 여자들을 괴롭힌 정신적인 고통에서 벗어나리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이 기대는 이내 실망으로 변한다. 열정의 고통이 사라진 뒤에 남는 것은 권태와 공허감, 늙는 것과 죽는 것에 대한 두려움뿐이다. " - 소설 속 등장인물에 관한 이야기지만, 실상은 현대의 남녀 모두를 겨냥한듯 보입니다. 딸려있는 해설도 좋아서 가져왔습니다. 2. 소립자 해설 中 "'행복의 추구'에 실린 '사랑, 사랑'이라는 시에서 우엘벡은 포르노의 시대에 살면서 〈사랑 한번 받아보지 못한 사람들, 남을 유혹하는 재주가 없는 사람들, 해방된 성과 지천이 되어 버린 쾌락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 을 향해 이렇게 말한다. 벗들이여, 걱정하지 마라. 그대들이 잃은 것은 하찮은 것이다. 사랑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잔인한 게임이 있을 뿐이며 그대들은 이 게임의 희생자다. 사랑은 전문가들의 게임일 뿐이다." - 사랑 전문가는 퇴행을 겪을 수 있을까요 없을까요? 사랑 전문가는 퇴행을 겪고 싶어 할까요 그렇지 않을까요? 이에 대한 우엘벡의 확답은 '소립자'에는 없지만, '소립자'는 한국사회에도 스며든 서구적 가치의 본질을 건드리는 문제작임에 틀림없습니다. - 추가 - 결말 스포 제외하고 더 추가합니다. 3. 소립자 해설 中 "<소립자>에는 서구 사회의 천하고 비열한 삶을 있는 그대로 그려 내겠다는 작가의 의지가 관철되어 있다. 작가는 소설속 인물들(특히 브뤼노)을 통해서 〈자멸해 가는 서구〉의 고통에 찬 삶, 포르노는 지천으로 널려 있으나 사랑은 없는 세계를 사실적으로 그려 낸다. 이 소설이 〈신(新) 자연주의〉로 분류되는 까닭이 거기에 있고, 우엘벡이 여기저기에서 공격을 당하는 까닭이 거기에 있다." 4. 소립자 中 "선행은 존재와 존재를 묶어 주고 악행은 존재와 존재를 이간시킨다. 분리란 악의 또다른 이름이다. 분리란 거짓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사실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아름답고 거대하고 상호적인 얽힘뿐 이기 때문이다." - 자유연애라는 해방과 포르노, 종교 대신 육체미를 숭배라는 새로운 분위기. 늙어가느니 죽는게 낫다라는 새로운 노화에 대한 불안감.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헉슬리의 <멋진신세계>엔 마법의 약 항불안제가 있습니다. 동거로 관계를 미세하게 분리하면 더 행복해 질까요? 아니 가족을 분리하고 나면 더 자유로워 질까요? 이후엔 무엇이 있을까요? (결말 스포라 여기까지..) 5. 소립자 中 "할머니는 혹독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술에 젖어 사는 거친 남자 어른들 사이에서 일곱 살 때부터 농장 일을 했다. 할머니의 청소년기는 너무나 짧았다. 그래서 그 시기에 관해서는 이렇다 할 만한 추억이 없다. 남편이 죽고 나서, 할머니는 공장에서 일을 해가며 자식 넷을 키웠다. 한겨울에는 아이들이 씻을 물을 마당에서 길어 오곤 했다. 퇴직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어느 날 아들이 불쑥 찾아왔다. 예순 살이 넘은 어머니에게 제 새끼를 맡기러 온 것이었다. 할머니는 기꺼이 손자를 맡았다. 아이는 부족함을 전혀 모르고 자랐다. 옷은 언제나 깔끔했고 일요일 점심때는 늘 특별한 요리를 먹었으며 애정도 듬뿍 받았다. 할머니는 평생 그렇게 자식과 손자를 위해 살았다. 만일 누구든 인류의 행동에 관해서 철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면, 미셸의 할머니와 같은 사람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리라. 그런 사람들은 역사적으로 존재했다. 평생토록 오로지 헌신과 사랑으로 고된 일을 마다하지 않고 살았던 사람들, 자기들의 삶을 말 그대로 남에게 바친 사람들, 그러면서도 전혀 스스로를 희생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은 사람들, 헌신과 사랑의 마음으로 자신들의 삶을 남에게 바치는 것 말고는 삶의 다른 방식을 생각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분명히 존재했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은 대개 여성이었다." - 할머니는 자식의 설거지를 해서 불행만 할걸까요? 그렇게 보게된 현대인이 불행한 걸까요? "개인은 멍청하다. 다중도 그 순간에는 멍청하다. 그러나 인류는 현명하다. 시간 속에서 인류는 언제나 옳게 행동한다.” - 에드먼드 버크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sisyphus님의 최근 게시물
|
결혼 적령기에 서로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영위한다는 것은 엄청난 행운이고 축복이죠.
그러나 그게 모두에게 가능한 것은 아니죠.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그런 상황이 아닌 이가 가지는 선택지는 두 가지 밖에 없습니다.
가능한 서로 조건이 맞는 사람을 만나 무난하게 살아보고자 하는 것, 아니면 홀로 고독히 걸어가는 것.
전자 혹은 후자 중에 무엇을 택하든 자유고, 스스로 만족한다면 어느 방향이든 충분한 삶입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처럼, 적당히 조건 맞춰 잘 살다가 사실 막판에 가서 '아 내가 잘못 산... 더 보기
그러나 그게 모두에게 가능한 것은 아니죠.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그런 상황이 아닌 이가 가지는 선택지는 두 가지 밖에 없습니다.
가능한 서로 조건이 맞는 사람을 만나 무난하게 살아보고자 하는 것, 아니면 홀로 고독히 걸어가는 것.
전자 혹은 후자 중에 무엇을 택하든 자유고, 스스로 만족한다면 어느 방향이든 충분한 삶입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처럼, 적당히 조건 맞춰 잘 살다가 사실 막판에 가서 '아 내가 잘못 산... 더 보기
결혼 적령기에 서로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영위한다는 것은 엄청난 행운이고 축복이죠.
그러나 그게 모두에게 가능한 것은 아니죠.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그런 상황이 아닌 이가 가지는 선택지는 두 가지 밖에 없습니다.
가능한 서로 조건이 맞는 사람을 만나 무난하게 살아보고자 하는 것, 아니면 홀로 고독히 걸어가는 것.
전자 혹은 후자 중에 무엇을 택하든 자유고, 스스로 만족한다면 어느 방향이든 충분한 삶입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처럼, 적당히 조건 맞춰 잘 살다가 사실 막판에 가서 '아 내가 잘못 산거 같은데' 하면서 후회할 수도 있겠지요.
근데 결혼 조건 덕분에 아내와의 결혼 생활 자체에서는 아니지만, 아이들이 행복이 되었고 사교생활이 즐거웠잖아요, 승진도 잘 했고.
그러면 적당히 잘 지낸 삶이라 봐야죠. 본인은 마지막에 가서 소중한 가치를 무언가를 놓치고 지냈다는 깨달음과 후회를 가졌긴 했지만요.
어차피 모든 것을 가질 순 없고 후회할 수 밖에 없어요. 개인적 차원에서 보자면 최대한 후회의 시간과 양을 적게 가져가는 게 중요한거 같아요.
그리고 서구의 사랑-섹스-결혼 담론은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는게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한국만큼 섹스와 성관념을 숭상하는 국가가 얼마나 있을지가 의문이예요.
성범죄가 온갖 흉악 범죄들 이상으로 중히 다뤄지고, 피의자로서의 권리를 강력히 제한하고 있지요.
동시에 처녀성에 대한 평가 역시 엄격하게 이뤄집니다. - 비단 설거지론의 문제가 아니라 그전에 워홀러에 대한 안 좋은 시선 등
게다가 국가적으로 성상품을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들만큼이나 규제하고 있지요.
성행위 자체, 아니 애초에 성적인 유비부터 엄청나게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요.
애초에 섹스를 아무도 좋게 안보는데 어떻게 섹스를 해서 애를 놓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그게 모두에게 가능한 것은 아니죠.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그런 상황이 아닌 이가 가지는 선택지는 두 가지 밖에 없습니다.
가능한 서로 조건이 맞는 사람을 만나 무난하게 살아보고자 하는 것, 아니면 홀로 고독히 걸어가는 것.
전자 혹은 후자 중에 무엇을 택하든 자유고, 스스로 만족한다면 어느 방향이든 충분한 삶입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처럼, 적당히 조건 맞춰 잘 살다가 사실 막판에 가서 '아 내가 잘못 산거 같은데' 하면서 후회할 수도 있겠지요.
근데 결혼 조건 덕분에 아내와의 결혼 생활 자체에서는 아니지만, 아이들이 행복이 되었고 사교생활이 즐거웠잖아요, 승진도 잘 했고.
그러면 적당히 잘 지낸 삶이라 봐야죠. 본인은 마지막에 가서 소중한 가치를 무언가를 놓치고 지냈다는 깨달음과 후회를 가졌긴 했지만요.
어차피 모든 것을 가질 순 없고 후회할 수 밖에 없어요. 개인적 차원에서 보자면 최대한 후회의 시간과 양을 적게 가져가는 게 중요한거 같아요.
그리고 서구의 사랑-섹스-결혼 담론은 한국에 그대로 적용하는게 불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한국만큼 섹스와 성관념을 숭상하는 국가가 얼마나 있을지가 의문이예요.
성범죄가 온갖 흉악 범죄들 이상으로 중히 다뤄지고, 피의자로서의 권리를 강력히 제한하고 있지요.
동시에 처녀성에 대한 평가 역시 엄격하게 이뤄집니다. - 비단 설거지론의 문제가 아니라 그전에 워홀러에 대한 안 좋은 시선 등
게다가 국가적으로 성상품을 이슬람 근본주의 국가들만큼이나 규제하고 있지요.
성행위 자체, 아니 애초에 성적인 유비부터 엄청나게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요.
애초에 섹스를 아무도 좋게 안보는데 어떻게 섹스를 해서 애를 놓을 수 있겠습니까.
마법의 그 단어가 결국 여기까지....
제발..... 그만해~~~!
나 너무 무서워~~~!!!!
이러다가 다~~~ 죽어~~~!!
본문 내용과는 크게 상관없지만... 드립을위해 한번..해봤습니다... ㅋㅋㅋ
제발..... 그만해~~~!
나 너무 무서워~~~!!!!
이러다가 다~~~ 죽어~~~!!
본문 내용과는 크게 상관없지만... 드립을위해 한번..해봤습니다... ㅋㅋㅋ
씨티팝 장르의 대표적인 곡이죠. 무척 좋아합니다. 1984년 곡인데 지금 들어도 세련됐고 가사도 공감이ㅎ 동부이촌동 LP바 카펜터스에 가시면 제가 거기 사장님 생일 선물로 드린 원본 LP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ㅎ
저는 거기까진 못미치고 유튜브 알고리즘이 인도해준 뒤로 백번은 넘을 것 같네요.
원곡 말고 리믹스를 더 많이 들었을 수도 있어요 ㅋㅋㅋ https://youtu.be/ZE4Q_ylGiwM
원곡 말고 리믹스를 더 많이 들었을 수도 있어요 ㅋㅋㅋ https://youtu.be/ZE4Q_ylGiwM
Mariya Takeuchi - Plastic Love (Night Tempo 100% Pure Remastered)
ㅋㅋㅋ우엘벡이 그 론을 말하는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묘사를 하고는 있지만 그가 있는 위치도 다르고 하고자 하는 주장도 다릅니다. 우엘벡은 누릴거 다 누려본 10기만자고 소설 내용도 그런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불행해지는가에 대한 것이죠.. 비뚤어진척 츤츤거려도 소립자는 결국 제대로된 사랑을 하라는 훈계ㅋ
소립자를 보고 '반면적인 사고'를 하지 않는 사람이 가장 혐오스러웠다는 우엘벡 ㅠㅠ 그 말 보면서 아니 ㅋㅋ.... 솔직히 본인도 일정이상 그렇게 반응할꺼 유도해놓은 거 맞으면서 그렇게 유도당하면 혐오하겠다니 ㅠㅠ 책의 내용과는 별개로 이거 진짜 혐오하기 위해 글쓰는 사람 아니야 했었네요 ㅋㅋ
사랑이 전문가들의 게임이라는 말에 별로 공감이 안가네요. 솔직히 이거 갖고 설거지론 끌고오는게 좀 우스워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않아도 사실혼으로 인정되는 사례가 있듯, 동거 혹은 자녀가 있는 연인관계 또한 현대 사회에 나타난 또 다른 결혼생활의 모습입니다. 동거나 사실혼이 늘어난다고 설거지론이 입증되는게 아니죠.
추가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않아도 사실혼으로 인정되는 사례가 있듯, 동거 혹은 자녀가 있는 연인관계 또한 현대 사회에 나타난 또 다른 결혼생활의 모습입니다. 동거나 사실혼이 늘어난다고 설거지론이 입증되는게 아니죠.
원래 남성과 여성이 엄청 이질적인 존재로 성장했는데 현대 사회에서 남성의 여성화와 여성의 남성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어느순간 동반자보다 경쟁자로 여기게 된 부분이 큰 원인이 된 것 같아요.
지금 시끄러운 그 이야기도 결국 디씨 엠팍 에펨같은 상대적으로 젊은 사이트에서 유행하지 40대 이상이 주로 모이는 사이트에선 거의 거론도 안 되더라고요.
당장 여기만 봐도 이게 두 번째 글이고 아래에 있는 글로 처음 알게된 사람도 많을 겁니다.
뭐 싫으면 하지 말아야죠.
지금 시끄러운 그 이야기도 결국 디씨 엠팍 에펨같은 상대적으로 젊은 사이트에서 유행하지 40대 이상이 주로 모이는 사이트에선 거의 거론도 안 되더라고요.
당장 여기만 봐도 이게 두 번째 글이고 아래에 있는 글로 처음 알게된 사람도 많을 겁니다.
뭐 싫으면 하지 말아야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