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9/26 14:45:57
Name   jsclub
Subject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보셨나요?
어제저녁 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를 보았습니다.

내용은 얼음정수기 제빙하는 부분이 부식되어 니켈조각이 냉수수조에 떨어져있고 발표된 정수기 제품뿐만 아니라 모든 얼음정수기에서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있다고합니다.
업소용 제빙기로 가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는데요 커피숍같은 냉음료 판매업소의 제빙기들은 그 부식이 더욱 심각한 수준입니다. 게다가 커피같은 색깔있는 음료에서는 눈으로 확인할수조차 없습니다.
이때문에 직수정수기가 유행인데 직수정수기도 얇은 빨대같은 배관을 물이 통과해서 나오는데 그배관속에 면봉집어넣었다가 빼니 이물질들이 묻어나옵니다.

방송내용으로 보면 깨끗한 정수기는 없다는 결론인데 얼음정수기 니켈도금 벗겨져나오는것은 심각해보입니다.
분명 정수기 제조사의 실책인데 믿고 마신 얼음정수기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알려주고 교체해주거나 보상해주어야 한다 생각하지만 한국도자기 중금속 검출때도 그냥 넘어간 나라에 개인이 합당한 보상을 바라기는 힘들거 같고 남은 약정기간 상관없이 수거해갔으면 싶네요

아이키우는 입장에서 앞으로 어떤물을 마셔야할지 걱정스럽습니다. 여러분은 어떤물을 마시고 계신가요?



0


    Beer Inside
    제품이 부실한 것은 문제이지만, 니켈 도금한 것이 떨어진 것으로 안전성을 논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금도금 제품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금을 가졌다고 말할 수 없는 것 처럼 말이지요.

    물이 지나가는 배관은 세균이 자랄 수 밖에 없고, 스케일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기계를 장기간 사용하려면 증류수를 사용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정수기를 검사해 보면 세균이 나올 수 밖에 없고,
    검사에 통과하기 위해서 락스를 정수기에 통과시키는 뻘 짓을 해도 하루나 이틀 뒤면 세균이 자라납니다.

    한국이 집... 더 보기
    제품이 부실한 것은 문제이지만, 니켈 도금한 것이 떨어진 것으로 안전성을 논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금도금 제품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금을 가졌다고 말할 수 없는 것 처럼 말이지요.

    물이 지나가는 배관은 세균이 자랄 수 밖에 없고, 스케일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기계를 장기간 사용하려면 증류수를 사용합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정수기를 검사해 보면 세균이 나올 수 밖에 없고,
    검사에 통과하기 위해서 락스를 정수기에 통과시키는 뻘 짓을 해도 하루나 이틀 뒤면 세균이 자라납니다.

    한국이 집집마다 고정식 정수기가 있는 독특한 나라인데,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세균이 없는 물을 마시고 싶다면 시판하는 생수가 가장 세균이 적을 확률이 높습니다.
    (무균시설에서 무균적으로 포장하니까요.)

    정수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브리타 처럼 필터를 자주 교체 할 수 있는 정수기를 사용하거나,
    필터와 배관을 자주 교체할 수 있는 커피숍에서 보이는 필터와 배관만 있는 정수기를 구입해서 필터와 배관을 자주 교체하는 것이 답입니다.

    커피기계같은면 스케일을 제거하는 약을 사용하면 배관속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지만,
    정수기들은 구조상 디스케일러 사용이 힘들겁니다.

    위생이 걱정되면 물을 끓여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니켈 도금한 것이 떨어진 것으로 안전성을 논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라고 하셨는데 니켈 도금이 부식되 떨어져 냉수조로 떨어지게 만든것이 안정성에 문제없다는게 이해가 잘안갑니다. 애초에 정수기쓰는이유가 정기적으로 점검해주고 청소해줘서 깨끗한물을 마시기위해 렌탈하는건데 저런부분들 관리가 소홀했다는게 속은느낌이에요.
    그아래 말씀들은 잘이해되었고 동의합니다. 배관이없고 필터교체 직접하는 브리타 정수기 (위에 물부어서 내려먹는 주전자같은거 말씀하시는거 맞죠?)나 보리차 끓여먹거나중에 하나 고민중입니다. 생수도 유통과정이 그닥 믿음이가지않아서요
    Beer Inside
    안전하다고 이야기 하기 보다는 유해성을 논하기 어렵다고 보아야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아이에게 유해하지 않았길 바랍니다. ㅠㅠ
    Beer Inside
    중금속도 제거한다는 필터를 자랑하는 정수기에서 중금속 조각이 떨어지니 상심이 크시겠지만 그리 걱정할 수준은 아닐겁니다

    얼음정수기 커피 나오는 정수기 팔아 먹는 이들이 이상한 것이지
    Darwin4078
    삼다수 사먹고 있습니다. 겨울에는 보리차 끓여먹구요.
    생수 사다 먹습니다.
    장모님이 삼다수를 선호하셔서 삼다수를 많이 먹기는 한데, 저는 페트병이 잘 안구겨지는게 싫어서 병이 잘 구겨지는 산수를 선호합니다.

    정수기 물에 변질이 발생하는건 어쩔 수 없다 생각합니다만, 아침에 처음 물을 버리고 쓰면 그나마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77 의료/건강뱀독과 고혈압치료제 (ACE inhibitor) 3 모모스 16/09/26 10144 2
    3776 의료/건강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보셨나요? 7 jsclub 16/09/26 5708 0
    3752 의료/건강"MBC 스페셜 - 지방의 오해" 어떻게들 보셨나요? 20 몽유도원 16/09/22 7625 1
    3728 의료/건강금연과 챔픽스 8 모모스 16/09/19 7069 6
    3721 의료/건강엔돌핀 vs 모르핀 10 모모스 16/09/17 13703 2
    3719 의료/건강헤로인과 모르핀 이야기 9 모모스 16/09/17 16766 1
    3708 의료/건강니코틴과 히로뽕 이야기 5 모모스 16/09/15 12005 6
    3569 의료/건강기면증과 Modafinil ( 왜 감기약을 먹으면 졸릴까?) 3 모모스 16/08/24 5889 0
    3198 의료/건강fMRI 관련 연구에 핵폭탄이 터졌습니다. 28 Azurespace 16/07/05 9966 4
    3185 의료/건강기분을 먹고 사는 어떤 장내세균 23 눈부심 16/07/04 5096 2
    3171 의료/건강담배는 파킨슨병을 줄여줄 것인가? 22 레지엔 16/07/01 5181 2
    3147 의료/건강콜린성 두드러기 앓는 분이 혹시 계신지 궁금하네요 22 우너모 16/06/28 9040 0
    3038 의료/건강살을 빼고 싶으시다면.. 42 눈부심 16/06/16 5336 0
    2924 의료/건강정신질환과 폭력 그리고 감금 12 Beer Inside 16/05/31 5631 4
    2905 의료/건강신해철 법에 대한 디시인의 만화.jpg (의료넷 분들의 의견은?) 58 양웬리 16/05/27 7643 0
    2883 의료/건강[후기] Darwin4078님의 April_fool님을 위한 실내 맨몸 운동 루틴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4 5371 0
    2859 의료/건강망상장애에 대한 경험과 생각들. 10 Obsobs 16/05/22 10867 7
    2854 의료/건강조현병,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에 사용되는 약물 20 모모스 16/05/21 10437 2
    2838 의료/건강신해철법 통과 73 ORIFixation 16/05/19 6104 1
    2835 의료/건강장병(瘴病) 이야기. 14 기아트윈스 16/05/19 6903 16
    2818 의료/건강암살자 리신 12 모모스 16/05/16 11862 5
    2808 의료/건강정맥주사라인 잡기 이야기 21 원하 16/05/14 11864 0
    2802 의료/건강정말로 신은 없습니다. 22 레지엔 16/05/13 5423 1
    2794 의료/건강마약성 진통제 복용 후기 25 2Novation 16/05/13 11440 0
    2788 의료/건강의사쌤보다 훌륭한 구더기님덜 19 눈부심 16/05/12 7885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