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6/28 16:04:52
Name   우너모
Subject   콜린성 두드러기 앓는 분이 혹시 계신지 궁금하네요
콜린성 두드러기라고 체온이 높아지면 피부에 발진이 생기고, 따갑고 가려운 느낌이 나는 질병이 있습니다.
제가 초등학교 때부터 15년간 함께 해온 소중한 친구죠.
아무래도 성장기 때는 증세가 더 심한 건지 아니면 생활환경과 습관의 차이로 달라진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십대 들어서 증상이 서서히 완화되더니 요새는 그냥 왔다 갔다 합니다.

어릴 때는 갑자기 발병을 하기 시작해서 원인도 모르고, 대처법도 몰랐어요.
그냥 더움=괴로움으로 인식될 정도였고, 찾아간 피부과에서는 지루성 피부염으로 진단만 해주시더군요.
항히스타민제랑 로션을 처방해주셨는데 별로 지속적인 효과가 없었습니다.
항히스타민제를 자기 전에 먹으면 자는 동안 긁지 않을 수 있어서 푹 잘 수 있지만, 다음날 오전까지 멍하고 피로하더군요.

초등학교 때는 머리를 너무 긁어서 피딱지가 앉았고, 그걸 가지고 놀리는 친구들도 꽤 있었던 것 같습니다.
왕따 비슷한 것도 당했지만 멘탈이 강해서 그냥저냥 내가 모두를 따돌리며 잘 살았어요.

이게 긁으면 안 되는데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서도, 긁음이 주는 쾌락이 너무 강해요.
피가 날지, 흉터가 날지 그런 미래에 대한 고민은 없어요. 그냥 내 등거죽과 사타구니 가죽을 벗겨버리고 싶어요.
긁어서 피가 나고 가려움이 아픔으로 바뀌어야 좀 숨이 쉬어지거든요.
나중에는 등보다 손톱뿌리가 너무 아파서 차가운 마룻바닥에 맨살을 대고는 개처럼 헐떡이고 쉬었습니다.
그럴 때면 엄마가 비닐주머니에 얼음을 담아와서는 발진난 곳을 눌러가며 진정시켜주셨습니다.

한 10년동안 병을 달고 있다보니 나름 대비책이 생기더군요.
난방기에서는 최대한 먼 자리에 앉고,
혹시 난방하는 곳에 들어갈 일이 있으면 미리 밖에서 격하게 움직여서 땀을 흘리고 발진을 일으켰다가 가려움이 진정된 다음에 들어갔어요.
땀이 한 번 나오고 나면 가려움은 좀 사그라들거든요.

그런 원리인지, 주기적으로 땀이 흠뻑날 정도로 운동을 해주면 증상이 좀 나아지는 것 같습니다.
중학교 때 평생 운동하면서 건강하게 살라고 하늘이 주신 병이다.. 라고 엄마한테 우스갯소리를 했던 기억이 나네요.

요즘도 꾸준히 운동을 하는데, 증상이 나아진다는 게 사실 가려움만 없는 거지 발진은 똑같이 올라와요.
근 2년간 병을 잊을 정도로 양호하게 살았는데, 올 6월부터 오랜만에 발진이 다시 심하게 나기 시작했어요.
익숙하기도 하고, 짜증나기도 하고, 뭐 전체적으로는 귀찮습니다.
조만간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같이 방을 쓸 일이 있는데,
가슴팍에 가득한 빨간 점들을 보고 사람들이 놀랄까봐 그게 제일 걱정이네요.

문득 거울을 보고, 답답한데 어디다가 말하기가 애매해서 이렇게 한 번 투덜투덜 글 써봤어요.
엄마한테 말하면 쓸데 없이 걱정할테고,
고등학교 때부터 만난 제일 친한 친구들은 저한테 이 두드러기가 아무것도 아닌 줄 알거든요.



0


    레지엔
    고등학교 때 친구가 이걸 앓고 있었는데 이거 때문에 성관계가 제대로 안돼서 고민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래저래 피부질환이 삶의 질을 엄청 해치긴 해쳐요... 저도 아토피 환자라.
    우너모
    에.. 저는 성관계는 일반적으로는 문제가 없었어요 ㅋㅋ 한 번씩 발진이 일어날 때는 있었는데 그 때 사귀던 사람이랑 많이 좋아했어서 응? 또 이러네? 귀찮겠다 이러고 말았었던 기억이..
    딸기아빠
    고등학교때 성관계?!!
    부러우면 지는건데.....
    레지엔
    어... 음... 노코멘트...(..)
    우너모
    훌륭한 친구
    여기 있습니당 ㅎㅎ 전 운동 했다가 악화된 케이스인데다 항히스타민제도 안 먹고 반쯤 포기했습니다
    우너모
    운동해서 악화되시기도 하나보네요. 저는 운동하고 좀 살만해졌어요. 다시 한 번 시도해보시길 조심스레 권해봅니다..
    상체에만 나던 게 전신으로 퍼지더라고요. 그 뒤로 포기했습니다. 애초에 증상의 발현이 땀을 흘리기 때문인데 운동으로 땀을 내서 증상을 호전시킨다는 게 가능한가라는 회의감이 너무 강하더군요.
    우너모
    ㅠㅠ 저는 온몸에 발병했다가 요새는 상체로 부위가 축소되서 좀 살만합니다. 올 여름도 고생하시겠네요. 화이팅입니다.
    세상의빛
    정말 짜증 많이 나는 병인데... 힘내시길 바랍니다.
    우너모
    감사합니다! 닉네임처럼 친절하시네요
    세상의빛
    아이고.. 별 말씀을요. 잘 아시겠지만, 콜린성 두드러기는 운동이나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같이 몸의 중심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에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근데 몸의 체온을 올리지 않는다는 것이 정말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제 주변 환자 분들은 다들 포기하고 사시는 편입니다. 희망적인 이야기를 못 드리는 것이 안타깝네요.
    우너모
    저는 주기적으로 운동을 해서 땀을 흠뻑 흘리니까 몸이 적응을 했는지 가려움증은 괜찮아지더라구요. 같은 병을 앓는 사람 중에 그렇게 하시는 분도 꽤 봤고.. 요새는 보기에 흉한 것 말고는 큰 지장은 없이 살고 있습니다. 근데 보기에 흉해서 짜증나요.
    전기공학도
    딱히 병을 근본적으로 고칠 방법이 없는건가요.

    저도 심하진 않지만 아토피로 고생중입니다. 같이 화이팅합시다.
    우너모
    운동해서 땀흘리고 보습 신경쓰는거 말고는 딱히 효과를 본 게 없어요. ㅋㅋ 근데 뭐 이것도 익숙해면 별로 의식이 안 되긴 해요. 공학도님도 화이팅하세요!
    니누얼
    저는 반대로 체온이 내려가면? 차가운걸 집거나 찬바람 맞으면서 오래 있으면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막 간지럽고 그래요.
    따뜻한 곳에서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기는 하는데.. 찬물로 세수도 못하고, 겨울에는 코가 막 붓는게 느껴져요. 손도 엄청 띵띵 붓구요.

    이걸로 병원에 가본적은 없는데.. 비슷한 질병일까요??
    우너모
    전문가인 의사선생님께 보여드리고 여쭤보는게 좋지 않을까요? 친한 후배 중에 하나가 그런 증상이 있는걸 본적은 없습니다.. 저는 아는 바가 없습니다. 선무당은 위험해요
    레지엔
    그런 질환이 있습니다. 레이노 현상이라거나... 한 번 가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딸기아빠
    대충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사무
    제가 알러지가 열 댓 개가 되는데, (심한 건 응급실행이고요)
    온도차 알러지도 있습니다. 한겨울에 바깥에 오래 있으면 허벅지 근처가 온 통 두드러기 투성이가 되고
    뜨거운 물에 샤워나 목욕을 해도 그렇게 되더라구요.
    몰아치는간지폭풍
    저랑 같은 친구가 있으시군요. 저도 17년째 약 먹고 있지만 약 먹는다고 안 나는 건 아닌 게 함정. 땀이 나기 직전 상태가 유지되면 죽을 것 같기 때문에 땀을 아예 쫙 뽑아 버리면 괜찮더라구요. 두드러기는 나지만 가렵지는 않은 상태로... 땀을 나게 하는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이기 때문에 땀이 난 후에는 그나마 덜한 느낌이 듭니다. 요즘은 크로스핏 하면서 매번 흠뻑 적시고 있지요.
    우너모
    저와 같은 해결책을 찾으셨군요. 저도 땀에 절 때까지 서킷 트레이닝을 합니다. 두드러기가 아예 안 나게 하는 약이 있다면 비싸도 살텐데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77 의료/건강뱀독과 고혈압치료제 (ACE inhibitor) 3 모모스 16/09/26 10142 2
    3776 의료/건강이규연의 스포트라이트 보셨나요? 7 jsclub 16/09/26 5704 0
    3752 의료/건강"MBC 스페셜 - 지방의 오해" 어떻게들 보셨나요? 20 몽유도원 16/09/22 7620 1
    3728 의료/건강금연과 챔픽스 8 모모스 16/09/19 7065 6
    3721 의료/건강엔돌핀 vs 모르핀 10 모모스 16/09/17 13696 2
    3719 의료/건강헤로인과 모르핀 이야기 9 모모스 16/09/17 16759 1
    3708 의료/건강니코틴과 히로뽕 이야기 5 모모스 16/09/15 11994 6
    3569 의료/건강기면증과 Modafinil ( 왜 감기약을 먹으면 졸릴까?) 3 모모스 16/08/24 5882 0
    3198 의료/건강fMRI 관련 연구에 핵폭탄이 터졌습니다. 28 Azurespace 16/07/05 9955 4
    3185 의료/건강기분을 먹고 사는 어떤 장내세균 23 눈부심 16/07/04 5087 2
    3171 의료/건강담배는 파킨슨병을 줄여줄 것인가? 22 레지엔 16/07/01 5178 2
    3147 의료/건강콜린성 두드러기 앓는 분이 혹시 계신지 궁금하네요 22 우너모 16/06/28 9030 0
    3038 의료/건강살을 빼고 싶으시다면.. 42 눈부심 16/06/16 5331 0
    2924 의료/건강정신질환과 폭력 그리고 감금 12 Beer Inside 16/05/31 5624 4
    2905 의료/건강신해철 법에 대한 디시인의 만화.jpg (의료넷 분들의 의견은?) 58 양웬리 16/05/27 7632 0
    2883 의료/건강[후기] Darwin4078님의 April_fool님을 위한 실내 맨몸 운동 루틴 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5/24 5366 0
    2859 의료/건강망상장애에 대한 경험과 생각들. 10 Obsobs 16/05/22 10859 7
    2854 의료/건강조현병,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에 사용되는 약물 20 모모스 16/05/21 10432 2
    2838 의료/건강신해철법 통과 73 ORIFixation 16/05/19 6098 1
    2835 의료/건강장병(瘴病) 이야기. 14 기아트윈스 16/05/19 6896 16
    2818 의료/건강암살자 리신 12 모모스 16/05/16 11858 5
    2808 의료/건강정맥주사라인 잡기 이야기 21 원하 16/05/14 11859 0
    2802 의료/건강정말로 신은 없습니다. 22 레지엔 16/05/13 5419 1
    2794 의료/건강마약성 진통제 복용 후기 25 2Novation 16/05/13 11432 0
    2788 의료/건강의사쌤보다 훌륭한 구더기님덜 19 눈부심 16/05/12 7878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