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5/07/11 02:54:58 |
Name | 메존일각 |
Subject | 당구공의 경로마냥 빛의 경로를 계산해 본다는 것. |
전 평생 당구를 해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아주 예전, 당구에 푹 빠졌던 지인의 말은 기억합니다. "밤에 누우면 천장에 당구대가 그려져. 천장을 보면서 당구 연습 해본다." 역시 아주 예전, 티비에서 우연히 프로 당구 선수들의 퍼포먼스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어떻게 당구공을 저렇게 몇 번씩 튕기면서 다른 공을 맞히는 걸까? 그들은 마치 공의 미래를 꿰뚫어보는 사람 같았습니다. 이를 테면 당구길을 보는 사람? 조명에 관심을 가지면서 당구길마냥 빛의 길이 연상됩니다. 빛은 당구처럼 그 경로를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지요. 거울에 닿으면 반사되고, 유리창과 디퓨저를 만나면 일부는 투과되고 일부는 굴절됩니다. 안개나 연기를 만나면 산란되고, 부딪히는 물체 색깔이나 재질에 따라 흡수되거나 퍼지죠. 하지만 당구와 빛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당구공은 질량을 지닌 입자이고 빛은 입자면서 파동이라는 점이죠. 당구공은 운동량, 회전, 반사각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면 경로와 결과도 거의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반면 빛은 입자면서 파동입니다. 질량이 없어서 만지거나 느낄 수 없지만 운동량을 갖고 입자처럼 작용합니다. 반면 파동의 성질 탓에 회절, 간섭, 굴절, 산란 등의 현상도 일으킵니다. 따라서 장애물과 만나면 빛은 산란과 반사로 주변에 거의 예측 불가능할 수준의 영향을 미칩니다. 빛 커팅은 빛 컨트롤에서 대단히 중요한 작업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로 빛은 완전히 커팅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어쩌면 빛은 정확한 예측이라기보다 확률과 경향을 이해로 보는 게 더 맞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의 저는 빛의 궤적이 약간은 예측되지만 아직 그 뿐입니다. 빛의 경로를 그린다는 건 세상의 모습을 계산해 보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빛을 완벽하게 계산해 낼 수만 있다면 세상 또한 온전하게 그려낼 수 있는 게 아닐까요? 이상 뻘소리였습니다. 자야겠다. ㅠㅠ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존일각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