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7/11 02:54:58
Name   메존일각
Subject   당구공의 경로마냥 빛의 경로를 계산해 본다는 것.
전 평생 당구를 해본 적이 거의 없습니다. 다만 아주 예전, 당구에 푹 빠졌던 지인의 말은 기억합니다. "밤에 누우면 천장에 당구대가 그려져. 천장을 보면서 당구 연습 해본다."

역시 아주 예전, 티비에서 우연히 프로 당구 선수들의 퍼포먼스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어떻게 당구공을 저렇게 몇 번씩 튕기면서 다른 공을 맞히는 걸까? 그들은 마치 공의 미래를 꿰뚫어보는 사람 같았습니다. 이를 테면 당구길을 보는 사람?

조명에 관심을 가지면서 당구길마냥 빛의 길이 연상됩니다. 빛은 당구처럼 그 경로를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지요. 거울에 닿으면 반사되고, 유리창과 디퓨저를 만나면 일부는 투과되고 일부는 굴절됩니다. 안개나 연기를 만나면 산란되고, 부딪히는 물체 색깔이나 재질에 따라 흡수되거나 퍼지죠.

하지만 당구와 빛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당구공은 질량을 지닌 입자이고 빛은 입자면서 파동이라는 점이죠. 당구공은 운동량, 회전, 반사각 등을 계산할 수 있으면 경로와 결과도 거의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반면 빛은 입자면서 파동입니다. 질량이 없어서 만지거나 느낄 수 없지만 운동량을 갖고 입자처럼 작용합니다. 반면 파동의 성질 탓에 회절, 간섭, 굴절, 산란 등의 현상도 일으킵니다. 따라서 장애물과 만나면 빛은 산란과 반사로 주변에 거의 예측 불가능할 수준의 영향을 미칩니다.

빛 커팅은 빛 컨트롤에서 대단히 중요한 작업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로 빛은 완전히 커팅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어쩌면 빛은 정확한 예측이라기보다 확률과 경향을 이해로 보는 게 더 맞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의 저는 빛의 궤적이 약간은 예측되지만 아직 그 뿐입니다. 빛의 경로를 그린다는 건 세상의 모습을 계산해 보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빛을 완벽하게 계산해 낼 수만 있다면 세상 또한 온전하게 그려낼 수 있는 게 아닐까요?

이상 뻘소리였습니다. 자야겠다. ㅠㅠ



1


    퀸스갬빗에서 나옵니다.
    그거 정신벼...읍음
    3
    메존일각
    으악 ㅠㅠ
    전세계에 있는 그래픽카드들이 계속 하고 있는 일이 그 계산 아닌가요. 우리가 눈으로 빛의 입자성을 직접 관찰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메존일각
    조명을 치는 것의 일환으로 써본 얘기입니다. 조명을 켰을 때 그 장향성이 눈으로 보이고 어느 정도는 빛이 퍼지는 경로도 예측되지만 그게 엄밀하지는 않다는 의미로요. 내가 원하는대로 빛을 재단하고 싶지만 그게 무척 어렵다는 의미로 쓴 것이죠.
    *alchemist*
    빛을 보는 메존일각님.
    메존일각
    보고 싶읍니다. 흙흙.
    치킨마요
    빚은 나의 빛
    메존일각
    빛은 나의 빚이 아니고요? 흙흙.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642 일상/생각취향이시겠지만 딥하게 이야기 좀 해봅시다 15 + 호미밭의파스꾼 25/07/25 713 9
    15641 일상/생각갓 태어난 피해자는 악마와 다름이 없다 14 + 골든햄스 25/07/25 920 9
    15640 일상/생각에너지젤 나눔 20 dolmusa 25/07/24 552 11
    15636 일상/생각아이들을 가르치기 11 골든햄스 25/07/23 415 9
    15630 일상/생각역시 딸내미가 최고에요~~ 10 큐리스 25/07/21 847 26
    15616 일상/생각왜 나는 교회가 참 어려울까 10 Broccoli 25/07/15 617 3
    15601 일상/생각당구공의 경로마냥 빛의 경로를 계산해 본다는 것. 8 메존일각 25/07/11 580 1
    15599 일상/생각통계로, 살다온 사람보다 일본겨울난방 더 잘 알기 6 곰곰귀엽 25/07/10 683 1
    15592 일상/생각처음으로 느껴본 극심한 우울증 21 큐리스 25/07/10 1068 20
    15585 일상/생각온돌, 우크전쟁 그리고 일본 겨울난방 온도 7 곰곰귀엽 25/07/07 842 8
    15578 일상/생각급속한 체중 감량이 삶과 관계에 미치는 영향 6 azureb 25/07/04 923 5
    15553 일상/생각까만 강아지 설렘이, 성견이 되다 5 골든햄스 25/06/26 649 16
    15552 일상/생각결국은 그냥 반품했다. 4 방사능홍차 25/06/26 995 7
    15551 일상/생각돈이 매우 많다면 어떻게 살 것인가? 45 right 25/06/25 1626 0
    15548 일상/생각대규모 언어 모델은 우리의 뇌를 어떻게 망가뜨리는가 13 azureb 25/06/25 1414 4
    15537 일상/생각 넷플릭스를 보다가 찡하고 아려온 백인우월주의자. 1 코리몬테아스 25/06/19 1091 4
    15535 일상/생각경험의 주관성에 대해서 6 큐리스 25/06/19 695 9
    15534 일상/생각와이프랑 둘이 같이 연차를 냈는데요.ㅠㅠㅠㅠ 8 큐리스 25/06/19 1235 5
    15533 일상/생각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9 사슴도치 25/06/19 837 18
    15527 일상/생각5개의 아비투스를 지나… 4 골든햄스 25/06/17 862 5
    15525 일상/생각와이프는 언제나 귀엽습니다. 7 큐리스 25/06/17 874 3
    15524 일상/생각진공청소기가 내게 가르쳐 준 것 1 큐리스 25/06/16 723 5
    15518 일상/생각감각은 어떻게 전이되는가 – 타인이 그려낸 감각의 지도 4 사슴도치 25/06/13 775 10
    15514 일상/생각현명하게 소비를 하는 길은 멀다 3 풀잎 25/06/11 859 1
    15508 일상/생각가입한지 몇시간만에 삭제당할만한 글을 올린점 반성합니다 3 로이드포저 25/06/09 975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