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6/19 09:31:22
Name   사슴도치
Subject   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읽음 표시가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이 작은 기능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반응했다. ‘읽었는데 왜 답이 없지?’라는 질문은, 단지 궁금함이 아니라 관계의 위상에 대한 불안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때부터 우리는 말보다 ‘말의 반응 시간’을 읽기 시작했고, 이는 곧 디지털 관계에서의 응답 시간이 곧 애정의 단위로 전환된다는 새로운 문화적 암묵지(tacit knowledge)를 낳았다.

현대인의 소통은 말보다 반응의 속도를 신경 쓰는 게임이 되어가고 있다. 텍스트는 이제 감정의 컨테이너가 아니다. 오히려 ‘답장이 언제 오는가’, ‘읽고도 무시하는 것 아닌가’라는 시간적 메타데이터가 소통의 실질이 된다. 말의 내용보다 말의 타이밍이 중요해지는 이 역전 현상은, 우리가 여전히 말하고 있지만, 더 이상 자유롭게 말하지는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카카오톡이 최근 도입한 ‘입력 중 표시’는 이 경향을 더욱 강화한다. 이 기능은 아직 도착하지 않은 말조차 감정의 대상이 되도록 만든다. 입력 중이라는 상태는 하나의 사전적 감정 시그널(pre-affective signal)로서 기능하며, 그 말이 도착하기 전에 이미 ‘무슨 말을 하려는 걸까’, ‘왜 입력하다 멈췄지?’라는 예측 기반의 해석 시도가 개입된다. 이는 인지심리학에서 말하는 “불확실성 편향(ambiguity bias)”, 즉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부정적 결론을 더 쉽게 상상하게 되는 경향과도 닿아 있다. 이처럼 우리는 기술의 진보로 더욱 빠르게 연결되었지만, 동시에 더욱 촘촘하게 감시되고 있다. 말의 주도권은 사라지고, 말의 타이밍을 둘러싼 눈치 싸움이 시작된다. 말하지 않아도 벌써 말한 것이 되는, 침묵의 부담.

이것은 단순히 기술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적 맥락 속에서 발생한 감정의 구조화 현상이다. 읽음 확인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자동으로 부여하는 규범적 장치로 기능한다. 누군가의 메시지를 ‘읽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는 순간, 그 사람은 '응답할 의무'를 생성하고, 읽은 후 답하지 않는다는 행위는 ‘감정적 무례함’으로 해석된다.
말이 오가기 전에도 감정의 의미화는 이미 시작된다. 읽음은 응답의 기호이고, 입력 중은 심리적 예고편이다.

이와 같은 상호 소통의 게임 속에서, 누군가가 나에게 어떤 ‘자극’을 주었을 때, 나는 일정한 ‘시간 안’에 반응해야 한다는 무언의 압력이 작동한다. 그리고 이 압력은 메시징 플랫폼이 제공하는 시각적 피드백—읽음 표시, 입력 중 표시—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계량’된다. 타이밍이 의도성을 암시하게 되면서, 반응의 유무뿐 아니라 반응의 시점 자체가 해석의 대상이 되는 새로운 사회적 상호성 규범(norm of reciprocity)이 출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보다 근본적으로 보면, 현대인은 소통의 실재성(realness)보다 소통의 징후(signaling)에 집착하는 문화 안에 놓여 있다. 내가 정말 무엇을 느끼는지보다, 내가 ‘어떻게 보이는가’가 중요해졌고, 응답의 타이밍은 감정의 진정성을 추측하는 지표가 되어버렸다. 5초 만에 답하면 너무 들떠 보일까 걱정하고, 1시간 뒤에 답하면 차가운 사람으로 보일까 우려한다. 이런 소통은 실질적 정서의 교환이 아니라, 정서의 전략화다.

그렇기에 오늘날의 '연결'은 사실상 피로감의 다른 이름이다. 더 이상 사람들은 말을 나누기 위해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메시지의 ‘간격’을 조정한다. 이 간격 관리의 피로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을 ‘읽씹(읽고 씹기)’ 혹은 ‘미루기’ 같은 전략적 침묵으로 내몰고, 결국 ‘아예 소통하지 않기’라는 자기 방어적 선택으로 이어진다.

우리는 끊임없이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단절되고 있다. 그것은 기술의 실패가 아니다. 우리가 소통에 부여한 감정의 징후들을 신뢰하지 못하게 된 결과다. 모든 메시지의 맥락이 ‘심리적 신호’로 해석되고, 그 신호 해석에 서로가 지치기 시작했을 때, 소통은 말이 아니라 눈치의 상호작용이 된다.

진짜 소통은 반응의 속도나 예측 가능성에 있지 않다. 오히려 말이 오가지 않는 순간에도 서로가 조급해하지 않을 수 있는 사이, '답장이 늦어도 괜찮은 관계'가 가능할 때 비로소 실현된다.

어쩌면 우리는 메시지보다 여유를 주고받고 싶었던 건 아닐까. 읽었다는 증거보다, 읽고도 재촉하지 않는 믿음을. 그리고 소통의 미래는 메시지 속도가 아니라, 답장을 재촉하지 않아도 괜찮은 관계의 신뢰도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닐까.

---‐------------

오늘의 낙서입니다. 카카오톡이 상대방이 대화를 입력중인지를 알려주는 업데이트를 했더라구요. 생각나는 잡상들을 한번 공유해봅니다.



18
  • 좋은글 감사합니다
  • 생각 못했는데 좋은 말씀이네요.


*alchemist*
저는 카톡 같은거 뜨는 알림 1,2를 못견뎌하는 성격인데도 어느 순간부터는 알림으로만 대충 내용 확인하고 본문 안 열어보는 경우도 생기더라구요 ㅋㅋㅋㅋㅋㅋㅋ
사슴도치
그쵸 ㅋㅋ어느순간 푸시는 별 신경 안쓰는 느낌이에요
1
알림표시 다 끄고 사는게 답이 아닌가해요. 너무나 수동적이 되는 삶을 어떻게든 나의 오토노미, 컨트롤을 찾아서 바룬드리를 만들고 지키는 노력이 필요치 않나 싶습니다.

1 없어지고 안없어지고는 심리적 피로감이 높은데 사회적 비용이 높거든요. 정부가 얼마나 시장에 개입할수 있을런지는 모르겠으나 카톡 경우는 공공재의 기능이 커지는것 같아서 좀 더 회사차원에서 거시적으로 접근하면 좋지않나 생각이 드네요.
1
사슴도치
사실 알림은 안떠도 카카오톡에 1이 표시되는 건 여전히 남아있으니, 거슬려서라도 한번 누르게 되더라구요. 점점 컨트롤할 수 없는 사적 영역이 확장되는 느낌입니다.
아이메세지나 카톡이나 텔그나 “읽음 확인”이 원하는걸 전혀 해주고 싶은 생각이 없어서 끌 수 있으면 끄거나 못 끄면 제가 읽고싶을 때까지 안 읽습니다. 제 메세지들이 그렇게 취급받아도 상관없습니다. 제 집중 세션의 중요한 정도는 이렇게 책정해 놨습니다.

전화 > 문자 > 제 집중 세션 > 메신저

시도때도없이 오는 알림과 읽음확인을 신경쓰기 시작하면 집중력이 갈아먹히는 기분이라
2
당근매니아
그래서 슬랙에서 절대 읽음표시, 숫자 이런 거 안 띄우는 모양이더군요.
거꾸로 여기는 상대방이 타이핑 치고 있는 건 볼 수 있긴 합니다.
1
kaestro
요즘 안 그래도 저런 부분에서 신경을 많이 쓰고 살고 있어서 아예 눈에 안 보이게 치워두려고 노력하는 편인데요,
제가 왜 저런 상태들에 피로감을 느끼는지 좀 알게 된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1
전에도 적었지만 카톡 이녀석들은 유저들이 하라는 업데이트는 안 하고 뭔 이딴 것을 했나 싶읍니다
돈도 안 될텐데 (오히려 트래픽 더 먹겠죠)
그리고 왓츠앱이나 아이메세지 텔레그램 익숙한 분들은 아시겠지만 타이핑을 하지 않는데도 입력 중으로 표시되기도 합니다. 오류가 있다는 이야기죠. 그래서 처음 접하는 분들은 오해하는 상황이 많이 벌어지리라 봅니다
1
사슴도치
카톡의 젊은 층 점유율이 떨어지는 것이 과연 저것때문일까 싶은데 굳이 업뎃을 하더라구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585 일상/생각온돌, 우크전쟁 그리고 일본 겨울난방 온도 7 + 곰곰귀엽 25/07/07 393 4
15578 일상/생각급속한 체중 감량이 삶과 관계에 미치는 영향 6 azureb 25/07/04 671 4
15553 일상/생각까만 강아지 설렘이, 성견이 되다 5 골든햄스 25/06/26 510 16
15552 일상/생각결국은 그냥 반품했다. 4 방사능홍차 25/06/26 886 7
15551 일상/생각돈이 매우 많다면 어떻게 살 것인가? 45 right 25/06/25 1470 0
15548 일상/생각대규모 언어 모델은 우리의 뇌를 어떻게 망가뜨리는가 13 azureb 25/06/25 1254 4
15537 일상/생각 넷플릭스를 보다가 찡하고 아려온 백인우월주의자. 1 코리몬테아스 25/06/19 960 4
15535 일상/생각경험의 주관성에 대해서 6 큐리스 25/06/19 553 9
15534 일상/생각와이프랑 둘이 같이 연차를 냈는데요.ㅠㅠㅠㅠ 8 큐리스 25/06/19 1074 5
15533 일상/생각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9 사슴도치 25/06/19 710 18
15527 일상/생각5개의 아비투스를 지나… 4 골든햄스 25/06/17 748 5
15525 일상/생각와이프는 언제나 귀엽습니다. 7 큐리스 25/06/17 752 3
15524 일상/생각진공청소기가 내게 가르쳐 준 것 1 큐리스 25/06/16 616 5
15518 일상/생각감각은 어떻게 전이되는가 – 타인이 그려낸 감각의 지도 4 사슴도치 25/06/13 646 10
15514 일상/생각현명하게 소비를 하는 길은 멀다 3 풀잎 25/06/11 724 1
15508 일상/생각가입한지 몇시간만에 삭제당할만한 글을 올린점 반성합니다 3 로이드포저 25/06/09 874 2
15506 일상/생각그럴 듯함의 시대 6 사슴도치 25/06/09 729 9
15505 일상/생각현충일에 거위한테 선빵 맞은 썰 5 열한시육분 25/06/08 802 8
15500 일상/생각쳇가) 도끼의 언어와 AI의 언어 1 알료사 25/06/06 546 2
15483 일상/생각내란 밤 이야기 거소 25/06/03 718 38
15482 일상/생각처음으로 주택을 매수했습니다. 15 right 25/06/03 873 17
15478 일상/생각최근 AI 툴 사용 방식 변화와 후기 6 kaestro 25/06/01 1125 6
15476 일상/생각와이프한테 야설쓰는거 걸렸습니다. 10 큐리스 25/05/31 1702 6
15473 일상/생각접대를 억지로 받을 수도 있지만.. 9 Picard 25/05/30 1363 6
15472 일상/생각자동차 극장 얘기하다가 ㅋㅋㅋㅋ 6 큐리스 25/05/29 92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