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7/15 16:09:53
Name   Broccoli
Subject   왜 나는 교회가 참 어려울까
우선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점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교회와 성경에 대해 좋은 글 나눠주시는 다른 분들께서 혹시 기분상하신다면 미리 사과드립니다ㅠㅠ
=======================================================================================================
저를 아는 주변 사람들이 놀라는게, 저는 사실 모태신앙입니다.
거기다 저희 아버지는 안수집사님이시고, 어머니는 권사님이신데다가, 저희 할아버지는 젊으실 적 시골 선산 밑에 교회를 지어주셨던 분이시라더라고요.(그런것 치고는 부모님은 꽤나 현실적인 분들이십니다. 내가 건강하고 잘 살아야 교회에 나가서 헌금도 하고 도움도 줄 수 있다고 이야기하시는 분들이셔요.)
그런데 그런 것 치고 저는 교회를 다니는게 참 어려웠어요.

어릴때는 그냥 아침에 만화 못보는건 싫었지만 그래도 주일학교서 맛있는거 주고 달란트 시장서도 맛있는거 주니까 재밌었거든요.
그런데 크면서 혼자 들은 생각이, 그렇게 열심히 교회를 다닌다는데 왜 우리집은 힘들지 하는 거였거든요.
감사하게도 좋은 부모님과 형제를 만났지만, 대신 항상 보면 특히 친가 친척들한테 우리 아버지 어머니는 친가 식구들에게 매일 손해보고 욕먹는 사람이더라고요.
그리고 그때는 교회 다니면 다 잘산다고 하는데 아주 못사는 건 아니라지만 그렇다고 아주 잘 사는 것도 아니었고요.
그러다보니 학교 다닐때는 신이 있다면 이렇게 우리 부모님을 힘들게 하지는 않을거라는 치기 어린 마음에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면서 '만들어진 신'이라는 책을 사가지고 책꽂이에 꽂아놓는 방식으로 삐딱선을 타기도 했습니다. (나중에 이야기 들어보니 그 때 어머니께서 많이 마음상해 하셨다더라고요.)

그래서 대학때는 타지 생활을 하기도 하고 해서 해방이라는 마음에 당연히 교회를 안갔습니다.
그러다가 전역하고 복학하고서 들어간 동아리 후배가 자기 다니는 교회에 한번 나와보래서 갔는데, 공교롭게도 교회 목사님하고 장로님이 저희 아버지 학교 선후배시더라고요ㄷㄷㄷ
그런 연유로 그 교회를 몇 년을 다니게 되었습니다.
그때는 그래도 지연도 있고, 또 그때는 좀 열심히 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고 해서 나름 꾸준히 다녔어요.
교회 성가대에 사람 없다고 해서 성가대에서 서고 했거든요.

그러다가 청년부 회장을 갑자기 딱 맡을 즈음에 직장을 기독교 관련된 회사로 옮겼는데, 이 때 다시 어려움이 생겼습니다.
제가 생각한거는 그래도 다들 교회다니고 하시는 분들이니 좀 온화하고 하겠지 싶었는데 내부적으로 알력싸움도 심하고, 제 업무 자체도 처음 하는 일이라 토요일이고 일요일이고 출근해서 추가로 업무를 해야하다보니 스스로가 버거웠거든요.
그런데 교회 어르신들은 이런 상황까지는 모르시다보니 청년회장이 주일을 안지킨다고 조금 다그치시곤 했어요.
그게 참 서운하다 싶을 때 때마침 새로 만나는 분은 교회 다니는걸 싫어하고, 거기다 그 회사가 상황이 안좋아서 정규직 전환이 안되고 하니까 뭐랄까 좀 억울한 마음, 쪽팔린다 싶은 느낌 그런게 다 섞이면서 말도 없이 그냥 안나간게 벌써 근 3~4년 됐습니다.

제가 하던 일중에 외국인들을 많이 만나는 일이 있었는데, 그때 말레이시아에서 오신 학교 선생님 한 분이 저한테 이런 이야기를 하셨거든요.
네가 어떤 종교를 믿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그게 무엇이든 마음에 위로를 주고 길이 되어줄 수 있는게 있다면 그걸로 충분하다고요.(참고로 그분은 이슬람교를 믿는 분이셨습니다.)

그런데 저는 여전히 교회가 참 어렵고 힘들어요.
지금은 만나던 사람도 헤어졌고, 새 직장도 잘 다녀서 그때 날 부끄럽게 하고 가로막던 것들이 하나도 없는데도 말이죠.
내가 잘 살고 있는지 모르겠으나 나름의 길잡이가 있으면 더 좋을거란 알겠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를 다니는 건 참 쉽지 않아요.



3


    안수집사까지 하게 된 저 역시 지금도 어렵습니다.
    교회행사 안 빠지고 몇년 계속 했더니, 교회분에서 저의 믿음이 좋은줄 알았던거 같아요
    믿음을 계속 유지하는게 어렵다는 걸 시간갈수록 느끼네요.
    아니 오히려 내가 믿음이 없는데, 믿음이 있었다고 착각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하고요 ㅎㅎ
    1
    cheerful
    신앙을 갖는 것과 교회를 잘 나간다 (봉사도 하고 직책도 맡고) 하는게 꼭 같은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ㅎ
    관심이 있으면 꼭 일요일에 교회를 가지 않더라도 관련 된 서적이나 영상을 찾아 볼 수도 있는 거고 그러다 보면 조금 더 주일에 정기적으로 예배를 드리러 갈 수도 있는거고요.
    믿음이 좋은 부모님이 계셔서 부담이 되시는 것 같기도 한데, 스스로가 원하는게 무엇인지 찾아보는 시간이라 생각해보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ㅎ
    cheerful
    그리고 저 [만들어진 신]에 대해서는 나중에 제 자녀에게 신앙의 회의가 드는 시기가 올 때 같이 이야기를 나눠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희 부모님 세대와는 그렇게 이야기하는게 불가능한 일이지요ㅎㅎㅎ 나름 기대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점검 포인트이지 싶습니다.
    교회를 왜 다녀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고, 그 대답이 납득이 되어야 다닐 수 있는 것이겠지요.
    마찬가지로 기독교를 왜 받아들여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도 대답이 필요하겠고요.

    저는 개인적으로는 '마음에 위로를 주고 길이 되어줄 수 있어서'가 답이라면.. '그럼 기독교 말고 다른데서 위로를 얻고 길을 찾으면 되잖아?'라고 답을 할 것 같습니다. 기독교는 안믿어도 되는거겠죠.

    그렇다면 후속 질문들이 자연스럽게 따라 붙겠지요. 그게 이유가 아니라면 그럼 왜?
    당신은 왜 기독교... 더 보기
    중요한 점검 포인트이지 싶습니다.
    교회를 왜 다녀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고, 그 대답이 납득이 되어야 다닐 수 있는 것이겠지요.
    마찬가지로 기독교를 왜 받아들여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도 대답이 필요하겠고요.

    저는 개인적으로는 '마음에 위로를 주고 길이 되어줄 수 있어서'가 답이라면.. '그럼 기독교 말고 다른데서 위로를 얻고 길을 찾으면 되잖아?'라고 답을 할 것 같습니다. 기독교는 안믿어도 되는거겠죠.

    그렇다면 후속 질문들이 자연스럽게 따라 붙겠지요. 그게 이유가 아니라면 그럼 왜?
    당신은 왜 기독교를 믿고 교회에 나가고 있으며, 개똥이는 왜 가고 있으며, 소똥이는 왜 가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듣고 나도 그러한 답에 동의가 되며, 같은 답을 가지고 나갈 수 있는가
    뭐 이런 질문들을 계속해나가야 하는 부분 같습니다. 결국 인생의 본질을 추구하는 질문까지 도달하게 될거고요.

    기독교를 믿는 것을 넘어, 교회로 모이는 이유가 있다면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기 위해서라고 생각합니다.
    교회는 이런 질문들에 대해 대답해주고, 질문들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질문이 없다면 궁금증이 생기게 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많은 교회들에서는 그런 기회들이 주어지지 않기도 하고... 그렇지요.
    기독교는 경전이나 교리 자체로는 마음에 위로를 얻는 데 상당한 노력이 드는 종교에 속합니다. 그 자체로 마음의 위로(물론 너무 단순화한 것이지만)가 목적인 불교나, "이렇게 따르면 돼"라고 처음에 공지하는 이슬람교와는 접근 방식에서 차이가 나서 그렇지요. 특히나, 카톨릭/개신교가 이천 년 치고 받아 온 역사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금 더 들어오면 이런(여러 이유로 구체적으로 포인트를 말씀드리기가 조금 어렵습니다만, 대표적으론 신이 자신을 제한하여 피조물이 되고, 그 대상의 고통을 직접 겪는 이야기는 기독교 외에는 나... 더 보기
    기독교는 경전이나 교리 자체로는 마음에 위로를 얻는 데 상당한 노력이 드는 종교에 속합니다. 그 자체로 마음의 위로(물론 너무 단순화한 것이지만)가 목적인 불교나, "이렇게 따르면 돼"라고 처음에 공지하는 이슬람교와는 접근 방식에서 차이가 나서 그렇지요. 특히나, 카톨릭/개신교가 이천 년 치고 받아 온 역사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조금 더 들어오면 이런(여러 이유로 구체적으로 포인트를 말씀드리기가 조금 어렵습니다만, 대표적으론 신이 자신을 제한하여 피조물이 되고, 그 대상의 고통을 직접 겪는 이야기는 기독교 외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사실, 대중 종교로선 좋은 접근--셀링 포인트랄까요--이 아니기도 하지요.) 접근을 하는 종교는 기독교 밖에 없기도 합니다.

    교회는 어려운 곳이 맞습니다. 사람 있는 곳인데 어렵지 않은 곳이 어디 있겠어요.
    저도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40여 년 동안의 신앙 생활에서 교회를 포기하거나 부정적으로 생각해 본 적도, 반대로 교회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본 적도 있습니다.
    거꾸로, 교회보다 "내가 기독교라는 종교를 선택해야 할 이유가 부모님 외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긍정이라면 교회 생활이 어려워도 결국 직간접적으로 교회에 관여하게 됩니다. 부정이라면 굳이 교회에 나갈 필요도 없겠고, 심지어 꼭 기독교일 필요도 없겠지요.
    (물론, 부정임에도 교회에 나갈 수 있고 긍정임에도 교회에 지금 참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교회는 기독교 신앙 생활의 주요한 부분이지만, 전부는 아닙니다.
    마지막의 "내가 잘 살고 있는지 모르겠으나 나름의 길잡이가 있으면 더 좋을거란 알겠는데"에서 답이 이젠 꼭 교회에서만 주어지는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목회데이터연구소의 설문 결과에서도 유튜브 등이 이런 내용을 제공한다는 답이 지금 20% 가까이 나오니까요.
    먼저, 기독교 또는 기독교의 신이 자신에게 얼마나 다가오느냐를 생각해 보심이 어떠신지요.
    오래 교회 생활을 하시고 부모님 영향을 받으셨으니, 그래도 이런 부분이 나는 기독교에서 좋았지, 라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 있으시리라고 생각합니다.
    2
    스톤위키
    종교라는 건 누가 강요한다고 되는 게 아니죠 ㅎ
    어떤 방향이든 이유를 잘 찾으시길 바랍니다
    양존스
    저희 목사님은 신앙 생활이 편하다라고 생각이 들면 그 신앙에 대해 의심부터 해보라고 설교때 강조하시곤 합니다. 원래 힘든게 정상이라고..
    내 믿음이 타인의 노력이나 도움으로 만들어지는게 아니고 신의 은혜로 주어진 것이므로 ‘모태신앙‘이라는 표현도 그냥 인간이 의미부여를 한 매우 인간적인 관념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부모님이나 타인의 시선이나 평판으로부터 자유로워지시길 바래요.
    마음이 허락하실때마다 신 앞에서 서서 내 존재의 이유를 재인식하고 반복적으로 되새김질하면서 세상을 더 의미있고 풍부하게 누리며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골든햄스
    관계 진로 신앙 모든 게 의외로 하나의 작은 기억조각들이 큰 유리조각이 되어 가는 길을 막더라고요
    그걸 치울 건지는 제 선택이더라고요
    꿀래디에이터
    저의 중학교 시절 월요일 첫 시간은
    "주일에 교회 안나간 새끼들 앞으로 나와서 엎드려" 이후 퍽퍽퍽 이었습니다
    뺑뺑이로 간 중학교 였을 뿐인데... 물론 저도 반항기였기에 때릴수록 더 안나가긴 했습니다 ㅋㅋ
    ThisNess
    가장 작은 공동체가 가족이라면 가장 큰 공동체는 국가라고 봅니다. 대한민국사회가 점점 개인화 되고 있습니다. 지방은 인구소멸을 막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지방에서 목회하는 목사님들 이야기 들어보면 눈물 겹습니다. 경제적 문제를 넘어서 더 이상 발전을 기대할 수 없는 무기력을 아무런 도움 없이 혼자 감당해야 합니다. 한 마을의 마지막을 지켜야 할 곳이 교회입니다. 그게 교회의 본질입니다. 사람들이 모여 공동체를 이루고 여러 활동을 하며 새로운 일주일을 시작할 활력을 얻는 곳. 70~90년대는 대한민국경제가 상승하던 시기입니다. 그래서 ... 더 보기
    가장 작은 공동체가 가족이라면 가장 큰 공동체는 국가라고 봅니다. 대한민국사회가 점점 개인화 되고 있습니다. 지방은 인구소멸을 막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지방에서 목회하는 목사님들 이야기 들어보면 눈물 겹습니다. 경제적 문제를 넘어서 더 이상 발전을 기대할 수 없는 무기력을 아무런 도움 없이 혼자 감당해야 합니다. 한 마을의 마지막을 지켜야 할 곳이 교회입니다. 그게 교회의 본질입니다. 사람들이 모여 공동체를 이루고 여러 활동을 하며 새로운 일주일을 시작할 활력을 얻는 곳. 70~90년대는 대한민국경제가 상승하던 시기입니다. 그래서 교회들도 엄청난 확장을 이뤘습니다. 교회 간판만 걸면 알아서 교인들이 모이던 시기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대한민국 출산율 걱정하듯 교회 간판을 어떻게 떼야 할지 고민합니다.

    그런데 2020년대인 지금도 대한민국 경제가 상승하던 시기의 생각대로 사시는 분들이 아직도 많습니다. 정치, 사회, 경제처럼 교회도 당시의 교회 공동체 철학과 지금의 철학은 다릅니다. 교회 안에서도 다르고 밖에서 보는 시선도 다릅니다. 그럼에도 당시 쓰던 교회 철학과 용어를 그대로 쓰십니다. 인간은 바뀌지 않잖아요. 서로 다른 생각을 지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것이 인간 사회 아니겠습니까? 이 개념을 알면 교회를 이해하는데 약간의 도움이 됩니다. 내가 사회생활로 힘든데 교회에서까지 한소리 들어야 하나? 그런데 그 한소리 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보면 대부분 비슷한 부류입니다. 예전 교회 철학을 못 버리신 분들이나 교회 내에서 뭔가 하고 싶어 하는 사람. 이게 참 안타깝습니다. 중요한 것은 교회 안에서 사랑하는 법을 배워서 세상에 알려 주는 것인데, 교회 생활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들이 아직도 교회 내에서는 목소리 내는 위치라는 겁니다. 그렇다고 그 분들이 잘못 되었거나 나쁜 분은 아닙니다. 시대의 흐름을 못 읽는 분들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교회 출석에 너무 마음 두지 않으셔도 됩니다. 공동체에 참여하고 싶으시면 교회가 아주 좋은 선택지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온라인이나 다른 매체를 통한 신앙생활 유지도 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중요한 것은 내가 하나님의 사랑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교회 생활로 많은 상처도 받았고 지금도 받고 있지만 교회 공동체가 제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래서 교회 다녀보라 주변에 많이 권합니다. 특히 10대 청소년들에게.

    Broccoli님 상처받지 마시고 마음가는대로 행동하세요. 님의 마음이 가장 중요합니다. 교회 불출석에 마음이 불편하시면, 유튜브나 팟캐스트 혹은 독서로 성경공부를 추천합니다. 틈틈이 공부하다 보면 깨닫는 게 있지 않을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740 일상/생각15kg 감량하고 10km 달리기 완주하기까지 20 + kaestro 25/09/22 374 18
    15738 일상/생각‘니덤 퍼즐‘ 이란 무엇일까..? 3 레이미드 25/09/22 380 5
    15731 일상/생각반짝반짝 빛나는. 골든햄스 25/09/20 319 2
    15728 일상/생각ㅋㅋㅋ 이놈의 모기때문에 3 큐리스 25/09/19 338 6
    15705 일상/생각음식이야기 공유.. 17 켈로그김 25/09/03 1031 6
    15701 일상/생각반달곰이 무서워요. 7 그저그런 25/09/01 1250 3
    15697 일상/생각자작 앰프 박스 14 Beemo 25/08/30 776 11
    15694 일상/생각퇴근길에 와이프 마중을 갔어요 ㅎ 2 큐리스 25/08/28 857 6
    15692 일상/생각똥글 14 kaestro 25/08/28 976 12
    15691 일상/생각언제부터 머리 쓰는 게 두려워졌더라 28 골든햄스 25/08/28 1594 27
    15688 일상/생각큰 관점에서 보면, 자포니카 쌀은 대체로 고온에 취약해요...ㅎㄷㄷ 4 곰곰귀엽 25/08/27 969 0
    15687 일상/생각학원 생활을 마무리하며 2 골든햄스 25/08/26 789 17
    15685 일상/생각지하철에서 화장하는 남학생을 보고 느낀 생각 9 큐리스 25/08/26 1301 2
    15678 일상/생각염화미소와 알잘딱깔센의 시대 7 루루얍 25/08/21 1099 15
    15677 일상/생각소원 성취. 차를 바꾸다. 34 쉬군 25/08/20 1121 36
    15674 일상/생각초3 딸내미가 반장 준비하면서 쓴 글입니다. 6 큐리스 25/08/19 920 10
    15673 일상/생각볼펜 찾아 삼만리... 16 *alchemist* 25/08/19 909 0
    15667 일상/생각용인 평온의 숲 6 당근매니아 25/08/13 1158 14
    15665 일상/생각ㅎㅎ 와이프 귀엽 9 큐리스 25/08/13 1235 2
    15663 일상/생각등대 13 Mandarin 25/08/12 1689 5
    15657 일상/생각댄스 학원 정기 공연의 주인공은 누구여야 하는가? 8 메존일각 25/08/07 990 7
    15653 일상/생각그게 뭔데 씹덕아 2 사슴도치 25/08/06 964 9
    15646 일상/생각돈과 아파트와 첨밀밀과 인스타 공개설정과 법철학 사이에. 혹은 그 위에 6 골든햄스 25/07/31 1155 12
    15645 일상/생각사랑이가 죽었다 10 kaestro 25/07/27 1571 16
    15642 일상/생각취향이시겠지만 딥하게 이야기 좀 해봅시다 20 호미밭의파스꾼 25/07/25 2081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