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10/08 20:08:27
Name   카르스
Subject   민주당계 정당의 성소수자 이슈에 대한 소극성,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성소수자에 대한 국민 여론은 느리게나마 우호적으로 바뀌고 있지만, 정치권의 양당 어느 쪽도 거기에 맞는 행보를 보이지 않습니다.
민주당계 정당도 예외는 아닌 게, 보수정당만큼 노골적인 반성소수자 성향은 아닐지라도 성소수자 이슈 관련 의제화와 정책 참여 자체를 터부시하고 있죠.

이는 10여년 전부터 민주당계 정당 지지자와 진보정당 지지자 사이에서 꾸준히 논쟁 중입니다.
최근 이재명의 성소수자 의제 논의를 기피하는 발언으로 논란이 다시 일었죠.
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410021853001

진보정당 지지자는 민주당계 정당이 반대여론이 무서워서 줏대도 없이 비겁하다고 비판하고 있고,
민주당계 정당 지지자는 이슈가 민감하고,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여론이 충분히 좋지 않아 어쩔 수 없다고 변명합니다.

양쪽의 주장 모두 타당합니다만, 100% 받아들이기엔 뭔가 찝찝합니다. 
민주당계 정당 지지자의 주장대로라면 정치인의 온갖 비겁하고 기회주의적인 언행을 다 실드칠 위험이 있고,
진보정당 지지자의 주장은 정치에 대한 과도한 이상주의적 견해일 수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는 게 좋을까요?

생각을 해보다가 떠오른 아이디어가 있어 하나 소개해보자면 이렇습니다.
"성소수자 이슈 여론이 현재 한국과 흡사한 과거 타국의 사례에서, 타국의 진보/리버럴 정치인들은 성소수자 이슈에 어떤 스탠스를 취했는가? 
그리고 한국 민주당계 정치인들의 스탠스는 그에 비하면 어떤가"

2023년 한국은 동성결혼 합법화에 40%가 찬성하고, 50-55%가 반대했습니다.  
퓨리서치와 한국갤럽이라는 권위있는 두 여론조사가 비슷한 결론을 내서 수치 자체는 맞을 개연성이 높습니다. 
https://www.pewresearch.org/short-reads/2023/11/27/how-people-around-the-world-view-same-sex-marriage/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97
그리고 동성결혼 찬성 40/반대 50-55의 구도를 가졌던 과거 타국의 사례를 찾는 겁니다.

미국을 예로 들면, 미국은 2000년대 중후반이 현재 한국에 해당합니다.
당시 대통령으로 따지면 부시 2기 - 오바마 1기에 해당됩니다.
이때 미국 민주당 정치인의 성소수자 이슈 스탠스를 현재 한국 민주당계 정치인과 비교하면 됩니다.
 
만일 한국 민주당계 정치인들이 그때 미국 민주당 정치인들보다도 소극적이었다면 비겁하여도 까여야 마땅합니다. 
하지만 그때 미국 민주당 정치인보다 비슷하거나 더 적극적이었다면, 정치지형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제안도 완벽한 아이디어는 아니고 지적받을 구석이 여럿 있습니다.
하지만 양측 의견이 평행선만 긋는 것보단 낫다 싶어서 제안했습니다. 



0


    개인적으로 정치인(국회의원) 종교 지형의 변화가 더 커져야 바뀌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직 국민보다 국회의원 개신교 신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압니다. 개신교라고 다 동성애, 동성결혼 반대는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주류 개신교 신자 국회의원이 개신교 국회의원의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북미에서의 주류 개신교는 우리나라와 반대(?)로 진보 성향이죠.)
    6
    카르스
    대만은 기독교인이 드물어서 저게 국민보다 비율 많이 높은 겁니다.
    정치인 비율은 아니고, 일단 아시아 최초로 동성결혼 합법화한 대만이라는 나라 자체가 기독교가 힘을 못 쓰는 나라라는 얘기입니다. 일부 기독교 측에서 격렬하게 반대하기도 했지만, 소수였고, 큰 힘도 없었죠. 일본의 경우도 우리나라보다 이런 쪽에서 상대적으로 진보적일 수 있는 것이 기독교, 특히 개신교가 힘을 못 쓰는 나라여서가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한국전쟁과 기독교, 윤정란
    http://aladin.kr/p/7ne4V

    지금은 양장본과 반양장본 모두 구하기 어려운 것 같은데, 도서관에는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기독교와 현대사를 떼어낼 수가 없죠.
    3
    매뉴물있뉴
    이런 류의 변화는 국민의 투표를 통해 국회 / 정치인의 손에서 이뤄지기 보다는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이나 / 대법원 판례로 이뤄질꺼라고 보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간통죄 (헌재 위헌 판결로 폐지) / 성인지감수성 (대법원 판례) 같은 경우만 봐도...

    사실 미국에서도 이런쪽의 변화는 대법원이 꽤 주도권을 갖고있어요.
    4
    카르스
    어느 정도는 헌재가 국민 의견의 변화를 반영해서 판결하기도 합니다.
    백래쉬의 한국과 YES, WE CAN 의 미국 차이는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갤럽 그래프 보니 오바마가 시대의 아이콘이긴 했네요.

    한국 민주당 스탠스는 비교 없어도 까이는게 마땅합니다~
    이재명이야 여론 눈치 본다손 치고, 국회의원들은 개인 신념이 더 크지 않나 싶어서요.
    3
    카르스
    말씀하신 기준에서 까여야한다는 덴 동의합니다만, 그걸 백래쉬로 표현해야 해야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한국에서 여성과 성소수자에 대한 가치관(예|성소수자 여론)이나 제도적 측면(예|낙태죄)에서 백래시가 관찰되질 않거든요.
    보수화, 보수세력의 결집과 반격이라 하는 게 더 적확하다고 봅니다.
    허락해주세요
    수권정당은 다른 모든 어젠다 앞에 생환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인구 많은 나라의 선진국의 민주주의는 정치인이 어젠다를 앞서서 리드하는 것이 아니죠.

    국민들이 먼저 바뀌어야 정치인들이 따라갈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도 성 소수자 이슈는 마찬가지죠.
    5
    카르스
    다만 한국과 성소수자 여론이 비슷한 다른 나라보다도 못한다면 그만큼은 까여도 할 말 없습니다.
    1
    허락해주세요수정됨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성 소수자 이슈에 대해 전향적이고 진보적인 것이 자연스럽고 마땅한 것이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 아닐까요? 물론 저는 그것이 정의로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그게 당연한 것이라면 왜 인류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싸우고 있을까요.

    대한민국은 여전히 상대적 인권후진국이며 경제적으로도 후진국에서 벗어난 지 오래지 않은 신흥 선진국입니다. 이런 문화적 환경에서, 한국인 평균 연령보다 높은 정치인들이 일반인보다 더 전향적이어야만 한다는 것은 머라고 해야할까...그것이 memoryless property임을 가정하... 더 보기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성 소수자 이슈에 대해 전향적이고 진보적인 것이 자연스럽고 마땅한 것이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 아닐까요? 물론 저는 그것이 정의로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그게 당연한 것이라면 왜 인류는 성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싸우고 있을까요.

    대한민국은 여전히 상대적 인권후진국이며 경제적으로도 후진국에서 벗어난 지 오래지 않은 신흥 선진국입니다. 이런 문화적 환경에서, 한국인 평균 연령보다 높은 정치인들이 일반인보다 더 전향적이어야만 한다는 것은 머라고 해야할까...그것이 memoryless property임을 가정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현실은 그렇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한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이 성 소수자에게 비교적 친화적으로 바뀌고 있는 것은 근자의 급격한 변화가 아닐까요. 좀더 러프하게 말하면, 성 소수자를 "전염병"이나 "정신병"으로 보던 잘못된 문화 아래서 청년기를 보낸 분들이 여전히 한국 인구의 다수가 아니겠습니까.

    그런 관점에서, 타국의 정치지형과 정치인들의 행태를 좌표평면상에 도시할 수 있다 해도, 모형화한다면 아마도 적합도가 매우 떨어지는 내용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각자 그 상황까지 간 길이 판이하게 다를테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정치인들보다 일반인들이 받아들이는 속도가 훨씬 빠를 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이러면 일반인들이 정치인들을 멱살잡이 하고 끌고가는 게 이상할 건 없습니다.
    8
    허윤진남편
    개인적으론 민주당은 보수정당이라 보기때문에 당연한 거라 봅니다.
    6
    저도 여기 한 표.
    게다가 친민주당 커뮤니티들의 호모 포비아를 보면 더더욱 그렇죠. ㅋㅋㅋ
    3
    타는저녁놀
    (참정권 제한이 없는 이상) 1인 1표로 대표되는 대의민주주의의 한계에 가깝다고 봅니다. 예전에 어느 서울 지역 구청장과 장애 이슈 관련해서 얘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제 질문은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이 지역구는 소득 수준도 낮아서, 장애인 가족이 있는 가구들이 겪는 고통이 굉장히 클 거다. 그래서 이 부분을 조금만 공략하면 해당 가구의 표를 많이 가져올 수 있는 것 아니냐. 장애인 비율과 그 가족들을 고려하면 당락을 결정짓는 그 차이보다 클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대답은 이랬습니다.
    "너의 말도 옳다. 그런데 현실적... 더 보기
    (참정권 제한이 없는 이상) 1인 1표로 대표되는 대의민주주의의 한계에 가깝다고 봅니다. 예전에 어느 서울 지역 구청장과 장애 이슈 관련해서 얘기를 나눈 적이 있습니다.
    제 질문은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이 지역구는 소득 수준도 낮아서, 장애인 가족이 있는 가구들이 겪는 고통이 굉장히 클 거다. 그래서 이 부분을 조금만 공략하면 해당 가구의 표를 많이 가져올 수 있는 것 아니냐. 장애인 비율과 그 가족들을 고려하면 당락을 결정짓는 그 차이보다 클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대답은 이랬습니다.
    "너의 말도 옳다. 그런데 현실적으로는 장애인 지원 정책을 펴는 순간, 그 혜택을 주는 순간 이탈하는 표가 새로 얻는 표보다 많다는 사실을 정치판에선 다 알고 있다. 이걸 화두로 만드는 사람들이 있고, 그 구설수 아닌 구설수로 인해서 빠져나가는 표가 많다. 어차피 장애인을 지원해서 비장애인들에게 돌아갈 혜택이 줄어드는 것도 아니고, 지원하지 않는다고 해서 늘어나는 것도 아니지만 현실이 그렇다. 장애인 지원을 늘린다고 모든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의 표가 100% 확보되는 것도 아니니까. 장애인 지원을 늘리는 게 옳다고 믿음에도 실천하는 건 정치적 리스크가 매우 크다."

    위의 장애라는 워딩 대신에 성소수자를 바꿔 끼우면 대략적으로 설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옳고 그르고를 떠나서, 정치공학적으로는 회피하거나 아예 극단적으로 부정해버리는 방식으로 성소수자의 편을 들지 않는 편이 훨씬 더 유리하다는 거죠. 그나마 장애의 경우엔 장애인 지원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반대하는 사람들은 극소수겠으나, 성소수자에 대해서는 훨씬 더 심하게 박해할 수 있고 박해하는 사회니까요.
    9
    당근매니아
    미국에서는 개별 의원 입장에서 캘리포니아 등의 특정한 주나, 대학도시 등에서 강력한 PC주의를 내세워서 안정적인 당선을 노리는 전략을 세울 수 있겠죠. 한국에서 그럴 수 있는 지역구가 있나요.
    1
    타키투스
    그냥 민주당이 성소수자 유권자들을 상대로 어장관리를 하고있는거죠.
    지지하면 손해고 그렇다고 버리자니 표는 다다익선이니까 일말의 가능성을 계속 남겨두는 채로 있는겁니다.
    국힘이 젊은 남성 유권자를 대하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구요.
    1
    메존일각
    제가 운동권 세력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큰 이유이기도 한데, 메시지의 선명성을 위해 자기들이 주장하는 것만이 옳고 그 외의 것들은 다 부정해 버립니다. 세상이 그렇게 단순하게 명쾌하게 정리될 수 있다면 참으로 좋겠지만, 가족끼리 부부끼리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데 전국민이요?

    대의적 명분을 가지고 차차 바꿔가려는 게 아니고 하나 둘 셋! 땡! 하면 바뀌어야 하고, 그걸 지키지 않는 자들을 비난하는 폭력적인 마인드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때로는 어떤 이들이 세상의 흐름을 쫓지 못하는 부분에서 답답함을 느끼지만 세상은... 더 보기
    제가 운동권 세력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는 큰 이유이기도 한데, 메시지의 선명성을 위해 자기들이 주장하는 것만이 옳고 그 외의 것들은 다 부정해 버립니다. 세상이 그렇게 단순하게 명쾌하게 정리될 수 있다면 참으로 좋겠지만, 가족끼리 부부끼리도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데 전국민이요?

    대의적 명분을 가지고 차차 바꿔가려는 게 아니고 하나 둘 셋! 땡! 하면 바뀌어야 하고, 그걸 지키지 않는 자들을 비난하는 폭력적인 마인드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때로는 어떤 이들이 세상의 흐름을 쫓지 못하는 부분에서 답답함을 느끼지만 세상은 본래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죠. 점차 바뀌어 가는 것이고요. 본인들도 자기 가치관을 바꾸려고 하지 않으면서 타인들의 가치관을 손바닥 뒤집듯이 뒤집어야 한다고 말하면 그거야 말로 넌센스입니다. 정말 그게 옳은지에 대해서도 확신할 수 없으면서요.

    이미 많은 것들이 바뀌었고 또 바뀌고 있습니다. 어떤 부분에선 이런 걸 바꾸는 게 맞나? 하는 부분도 바뀌기도 했고요.
    5
    캡틴실버
    한국이 경제적, 제도적으로만 선진국이지 사상적으로는 후진국수준입니다. (참고로 전 대한민국을 fancy한 병영국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국민들 전체 수준이 그렇기에 정치인들이 나서지 못하는 겁니다.

    얼마전 게임검열 철폐에 관한 헌법소원 청구인 서명이 역대 최대 인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공중파나 주요 언론사에서 전혀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정치권은 말할 것도 없죠. 국민의 기본권(게이머들의 행복추구권, 게임 제작자들의 문화예술의 자유)을 직접 침해하는 사안인데다가 산업 규모만 해도 어마어마한 게임산업이슈임에도 이렇습니다. 페... 더 보기
    한국이 경제적, 제도적으로만 선진국이지 사상적으로는 후진국수준입니다. (참고로 전 대한민국을 fancy한 병영국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국민들 전체 수준이 그렇기에 정치인들이 나서지 못하는 겁니다.

    얼마전 게임검열 철폐에 관한 헌법소원 청구인 서명이 역대 최대 인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공중파나 주요 언론사에서 전혀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정치권은 말할 것도 없죠. 국민의 기본권(게이머들의 행복추구권, 게임 제작자들의 문화예술의 자유)을 직접 침해하는 사안인데다가 산업 규모만 해도 어마어마한 게임산업이슈임에도 이렇습니다. 페이커가 젊은이들의 우상이 되고, 기성세대 상당수가 게임에 우호적인 상황에서라도, 우리애들 학원가는데 방해되는 게임을 혐오하는 학부모들이 건재하는 한 정치권에서 게임관련 이슈를 제대로 다루기는 힘들겠죠. 하물며 성소수자 이슈야 말해 뭐하겠습니까.

    게임 검열이슈는 말할것도 없거니와, 전 우리사회에서 성소수자 이슈가 활발히 논의되는 시점은 '포르노 합법화'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시점이라고 봅니다. 성소수자 이슈는 그나마 언론에서 진지하게 다루기나 하죠. 게임이나 포르노는 나름 비중있는 언론에서 조차 가십성 이슈로 조롱당하기 마련이죠. 비슷한 체급의 선진국과 비교해 굉장히 낙후된 인식과 제도를 가졌는데도 불구하고요. 정해진 인식의 틀을 벗어나는 것 자체를 악으로 여기는 분위기를 바꾸지 않는 한 성소수자 이슈를 정치권에서 본격적으로 다루는 건 불가능할 거라고 봅니다.
    2
    초밥은연어
    2030 남성은 무시해도 이길 가능성이라는게 존재라도 하는데 기독교를 무시하면 이길 가능성이 그냥 0% 입니다.

    영향력 있는 목사가 성소수자 이슈에 대해서 호의적이어야 정치쪽에도 변화가 생길겁니다.
    2
    절름발이이리
    원론적으로는 민의가 선행하고 상향식으로 수렴하는 게 좋겠지만, 한국은 엘리트들이 서구 선진국의 관념들을 수입해 하향식으로 보급해 온 국가이고 성소수자 이슈도 예외는 아닙니다. 동시에 다수 시민들도 상향식은 혼란하고 답답시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지지가 공고한 선구자적 정치인이 정무적 판단하에 하향식으로 퍼트리는게 더 현실적인 솔루션이어 왔습니다. 문제는 이 모델이 점차 생명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고, 상향식 수렴은 여전히 워킹을 못하니, 유사선구자인 헌재가 역할을 하고 있지요.
    5
    파로돈탁스
    민감한 이슈에 대해서는 기피하는 것이 정당들의 기본 애티튜드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687 7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2 + kaestro 25/03/31 175 2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252 4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551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304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460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40 명동의밤 25/03/26 1841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전문가) 25/03/26 437 4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096 0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7 당근매니아 25/03/25 707 6
    15338 오프모임3/27(목) 신촌서 봅시다아 26 + 나단 25/03/25 761 0
    15337 일상/생각평범한 동네 이야기 4 nm막장 25/03/24 460 7
    15336 도서/문학[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325 8
    15335 일상/생각와이프한테 보낼 보고서 써달라고 했습니다. 클로드한테 ㅋㅋㅋㅋ 6 큐리스 25/03/24 746 2
    15334 정치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여야합의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 9 파로돈탁스 25/03/24 954 1
    15332 일상/생각감자와 당근의 이야기입니다~~ 7 큐리스 25/03/24 449 0
    15331 일상/생각기분 좋은 하루를 기록하기 3 골든햄스 25/03/22 482 11
    15330 일상/생각국민연금 내기 싫다, 고갈되면 나는 헛돈 낸 게 아니냐는 친구의 말을 듣고.. 15 타치코마 25/03/21 1701 5
    15329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778 23
    15328 기타한화에어로 이것들이 유증을 하는군요. 이참에 유상증자 관련 몇가지 아는 것들 이야기 해봅니다. 17 동네주방장 25/03/21 1126 2
    15327 정치헌재 선고 시점, 인용/기각 인원에 따른 짧은 생각 9 kien 25/03/21 930 0
    15326 일상/생각평범한 남편의 투정^^ 큐리스 25/03/20 510 3
    15325 사회한국 시민의 일원으로 연금개혁을 환영하며 30 카르스 25/03/20 1534 8
    15324 음악[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 25/03/20 140 1
    15323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8. 문화적 다양성 2 허락해주세요 25/03/17 402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