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1/13 16:24:48
Name   카르스
Subject   생활시간조사로 본 한국 교육의 급격한 변화와 (잠재적) 문제
한국 교육의 변화와 문제를 말하는 사람들은 많은데, 데이터에 기반한 이야기가 많치 않은 것 같습니다. 
특히 데이터 쪽 이야기가 드문 게 아쉬움.

그래서 생활시간조사 1999-2019년 데이터로 드러난 학습시간 변화를 중점으로, 한국 교육의 변화와 (잠재적) 문제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원 데이터엔 일요일도 있는데 가독성 문제로 제외했습니다. 2024년 데이터는 작년에 조사되어 올해 발표될 예정인데 어떨지 궁금하네요.




보시다시피 1999년부터 2009년까지는 초, 중. 고의 학습시간이 그대로 유지됩니다만, 그 이후 학습시간이 학교급을 막론하고 크게 감소합니다. 
완전 등교일 -> 놀토/갈토 병행체제-> 완전 휴교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토요일 학습시간의 감소가 돋보입니다만, 평일도 감소세에서 예외는 아닙니다. 
전반적으로 학습시간 자체가 2010년 이후 크게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참고로 이 학습시간은 학교 내, 학교 외를 합산한 수치라서, 학교 내와 학교 외를 분리해서 보겠습니다.



먼저 학교 내입니다. 학교 내 학습시간은 전체 학습시간과 마찬가지로 2009년까지 그대로 유지되다가 그 이후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완전 휴일화에 의한 토요일의 급격한 감소가 돋보이네요.
눈대중으로 감소폭은 전체 학습시간보다 더 큰 느낌입니다. 학생들이 새벽에 등교했다가 한 밤중에 하교한다는 한국 교육의 클리셰는 급격하게 과거의 일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몇년 전에 모교를 어쩌다 지난 적이 있는데, 4시 무렵에 단체로 하교하는 학생들을 봤습니다. 저 땐 반강제적인 야간자율학습을 했는데, 별로 괴롭진 않았고 추억으로 남습니다만 보면서 많은 만감이 교차하는 건 어쩔 수가 없네요.




그런데 학교 외 학습시간(대부분이 과외나 학원, 자습일)은 트렌드가 좀 다릅니다. 초등학교는 패턴이 혼란스러워서 잘 모르겠는데,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학교 외 학습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는 경향성을 보입니다. 중학교는 2000년대에 증가했다면 고등학교는 2010년대에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고등학교는 1인당 사교육비의 급격한 증가와 시점이 일맥상통합니다.

학교 내 학습시간의 급격한 감소, 그리고 학교 외 학습시간의 일부 증가는 주목할 만한 현상입니다. 비록 학습시간 전체가 줄었지만, 교내외 여부로 가르면 어느정도 대조가 되고 있는 겁니다. 이걸 전반적인 학습시간 감소와 결부지으면, 한국의 교육 변화와 (잠재적) 문제에 있어 많은 함의가 나타납니다.


첫째. 지금 아동, 청소년들은 더 이상 과거처럼 무식하게 많이 공부하지 않습니다.
2000년대까지는 한국 학생들이 무식하게 많이 공부한다는 클리셰가 통하지만, 2010년대부터는 아닙니다.

그러면서도 PISA 점수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된 거라 매우 대단한 성취입니다. PISA 점수가 다소 하락했다고 볼 순 있지만, 전세계 최상위권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국 교육 성취의 우수성은 잃지 않았습니다. 코로나19로 전세계 공교육이 초토화되는 와중에 한국은 선방했습니다. 이는 좋은 의미로 일본을 따라가는 겁니다. 일본은 과거에 비해 공부시간은 많이 줄었지만(그리고 부활동은 늘어났지만), PISA 최상위권은 유지하고 있거든요. 그걸 가지고 동아시아가 단순히 무식하게 공부 많이해서 공부를 잘한다는 클리셰에 반론한 학자도 있습니다. 한국도 그 사례에 들어가고 있으니, 한국 더 나아가 동아시아 교육의 성취와 의의를 다시 돌아볼 때가 온 것 같습니다.


둘째, 한국은 '학교 안'에 한정하자면 너무 적게 공부해서 문제일 수 있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먼저, 한국의 교육시간 감소는 급격해서 교육과정 파행이 의심될 수준입니다. 수학 관련해서 배우는 내용이 많이 줄었다고 이공계인들이 반발하고 있는데, 이것과도 관련 있을 듯 합니다. 또한, 특히 고등학교에서, 교내 학습시간의 감소가 교외 학습시간(대부분은 과외, 사교육) 증가와 동시에 일어났습니다. 이는 교육 총량의 부분적인(총 학습시간은 분명 줄었으므로) 풍선효과를 암시합니다. 실증분석을 해봐야겠지만 가능성으로는 생각해볼 만 합니다. 어찌보면 근래 사교육의 급격한 증가의 한 원인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학업 문제만은 아닙니다. 한국 초등학교는 타 선진국에 비해 일찍 하교하며, 이로 인한 보육 관련 여성 경력단절 문제가 심각합니다. 미취학 아동 경력단절은 많이 완화되었는데 취학연령 아동 경력단절은 상대적으로 감소세가 약합니다. 그래서 늘봄학교 정책도 나온 건데, 교내 학습시간이 너무 작아진 게 문제의 원인일 수 있다는 생각 정도는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2


    통계 데이터가 분 단위겠지요? 등교부터 하교까지 단순 체류시간인지 아니면 근로시간 집계할 때 휴게시간 빼는 것 처럼 점심시간과 쉬는시간 다 빼고 순수하게 공부하는 시간만 모은건지 좀 궁금합니다.
    1
    카르스

    분 단위 맞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2019 생활시간조사 학습 관련 시간 분류는 사진과 같습니다.
    학교에서 머무는 시간 전반을 교내 학습 시간으로 계산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쉬는 시간은 학습 시간에 포함하는데, 식사 시간은 다른 분류에 있는 걸 보면 점심시간은 제외되는 것 같더군요.
    가이브러시
    그래서 학원들 엄청 가는데 학교에서 좀 붙잡아 줬으면 좋겠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48 7
    15437 정치민중당, 정의당, 민주노동당. 10 + 마키아토 25/05/12 294 8
    15436 정치이준석의 일갈 22 + 당근매니아 25/05/12 885 0
    15435 문화/예술쳇가씨 기성작가 문체모사 - AI시대 바둑의 기풍 2 알료사 25/05/12 248 1
    15434 일상/생각사진 촬영의 전문성을 인정하자는 것. 12 메존일각 25/05/11 615 16
    15433 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29 + 당근매니아 25/05/08 1350 23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6 Daniel Plainview 25/05/07 1488 19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1744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5 헬리제의우울 25/05/05 628 15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471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758 48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700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602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584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315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228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529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807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87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763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52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91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691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69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793 2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