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3/13 17:33:19 |
Name | 구밀복검 |
Subject | 윤석열 시대의 부동산 정책: 박근혜로 롤백 |
관련해서 분석 영상 괜찮아 보여서 소개해 봅니다. - 핵심은 박근혜 시절 부동산 정책을 총괄했던 김경환의 복귀 - 문 정권과 박 정권이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다주택자에 대한 관점 - 문 정권이 다주택자를 투기와 불로소득 열풍을 조장하여 집값을 올리는 주체로 간주하여 때리기에 나섰던 것과 달리 박 정권에서는 다주택자=주도적인 임대 물량 공급자로 간주했기 때문에 이들에게 임대차 거래를 장려하게끔 인센티브를 부여 - 실제로 김경환은 문 정권의 임대차 2법을 비판하면서 계약갱신청구권이 임대차 물량을 감소시켰기에 임대차 시세가 폭등했다고 지적 - 이를 고려할 때 임대차 2법과 계약갱신청구권은 폐지가 될 가능성이 크며, 다주택자들의 임대 물량 공급을 장려하기 위해서 보유세와 양도세를 완화하고, 주택임대사업자 제도를 부활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 - 공약집만 봐서는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아니나 김경환이라는 인적 장치가 현재 공개된 정보들 사이의 미싱링크를 메워준다 - 이로 미루어볼 때 향후 임차 시장의 가격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되며, 반대로 소형 주택(다세대 주택이나 빌라 같은) 선호가 올라가고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는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갠적으로는 다주택자 중심으로 민간 임대 공급이 좀 더 활성화 되어 자가소유를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봐서 방향 자체는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규제 완화로 인해 불어닥칠 유동성 폭증엔 어떻게 대응할 거냐.. 가 좀 우려스럽군요. 관련해서 김경환의 반 년 전 인터뷰 발췌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87366629177496&mediaCodeNo=257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평가는. △임대차 3법을 먼저 보자. 법 취지는 세입자들의 주거 안정을 보장하고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겠다는 선한 뜻이다. 하지만 결과는 어땠나. 정부는 수요와 공급 간의 괴리가 있는 상황에서 규제로 모든 임차인을 보호할 수 없는 현실을 간과했다. 분명한 것은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가 귀해지고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오른 것이다. 새로 임대주택을 찾는 임차인들 부담이 늘어난 것이다. 정부가 전월세 시장의 복잡한 작동 원리를 무시하고 잘못 개입했기 때문이다. -임대사업자 제도를 놓고도 의견이 엇갈린다. 이재명 캠프 측은 임대사업자 제도를 다주택자를 위한 특혜라며 없애야 한다고 하는데. △정부가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민간에서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 대표적인 게 임대사업자 제도다. 다주택자들이 전세를 시장에 내놓으면 종부세 등 세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다. 2017년에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이 했던 방법이다. 이 방법이 맞다. 다주택들이 임대주택의 공급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게 특혜라며 문재인 정부에서 도입한 정책을 일관성도 없이 수정했다. 오히려 임대주택 공급을 어렵게 한 것이다. -임대차 3법은 재개정 하나. △전월세 급등과 매물 부족 등 부작용을 감안할 때 전세 주기를 4년에서 2년으로 하는 재개정은 불가피하다. 다만 시장에 주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임차인에게 주거안정을 줘야 한다. 따라서 임대사업자 제도 활성화를 통해 전세를 민간에서 공급하는 인센티브를 고려 중이다. 2017년 문재인 정부 때 임대사업자에게 줬던 세제 혜택을 복원·부활하는 등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한 노력도 병행할 것이다. -부동산 세금은 모두 내리자는 건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올렸던 부동산 세금(종부세·양도세·취득세·재산세)은 모두 원상으로 돌렸으면 한다. 주택 공시가격을 현실화 하는 속도도 조절할 것이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밀복검님의 최근 게시물
|
이번 정부의 패착이 그거 아니였나 싶습니다. 27번의 자질구레함은 그거의 외형에 불구하고 핵심은 trade off를 인정하기 싫어하는거 아닌가 싶더군요
10년을 내주어야 함 -> 신규 상가 건설 임대인들이 10년 치 올릴 걸 미리 올려서 최초 임대료를 결정함 -> 왠만한 장사로는 임대료 부담하면서 수익이 안남 -> 들어왔다가 망함 -> 단지 상가에 부동산들만 남음.....
오세훈이 재선되기까지 한다면 한국, 서울 내 초격차는 더 심해지긴 할거예요. 가시적으로 대규모의 성채들이 요충지에 자리할 것이고 그 성채에 들어간 자들과 그렇지 않은 자들의 괴리가 극명할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강남 부동산은 순수한 효용가치 뿐 아니라 사치재와 투자자산으로써의 프리미엄이 많이 붙어있으니, 실속이 중요해지는 경제 위기 때 하락폭이 큰 건 오히려 당연한 것입니다.
그리고 사실 퍼센트로 보면 이명박 정부 때 유난히 강남이 더 떨어진 정도도 아닙니다.
그리고 사실 퍼센트로 보면 이명박 정부 때 유난히 강남이 더 떨어진 정도도 아닙니다.
용적률 올려주고 성채 만드는게 오히려 격차를 줄이는 방향입니다. 양극화가 더 심화되면 상급지에선 부담금 내고서라도 용적률 유지하거나 조금만 올리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큽니다. 용적률 100% 이하 저층아파트 재건축은 거의 마무리된 시점이니 용적률 안 올리고 자산가치 유지하는걸 선호하는 방향으로 사람들의 생각들이 점점 바뀔 겁니다.
핵심지는 그렇게 고착화되기 전에 팍팍 용적률 올려서 개발시키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어차피 재건축 개발이익 상당수는 지자체가 가져가니까요. 용적률 높은 주택은 가격상승이 제한적이니 주거안정 측면에서도 더 나을 수 있습니다.
핵심지는 그렇게 고착화되기 전에 팍팍 용적률 올려서 개발시키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어차피 재건축 개발이익 상당수는 지자체가 가져가니까요. 용적률 높은 주택은 가격상승이 제한적이니 주거안정 측면에서도 더 나을 수 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