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2/16 16:36:40
Name   카르스
Subject   의사증원의 핵심은 '재정' 정부안 듣고 파업해도 늦지 않아
2025학년도 2000명 의대증원이 확정되자 의료계는 지난 2000년 의약분업 당시 투쟁을 떠올렸다. 구속을 각오하고 투쟁에 나설 정도의 결기가 24년 전, 의료계 행보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당시 의약분업 초기 의쟁투 총괄간사를 맡았던 서울대병원 권용진 교수는 2024년, 현재 의료현실을 어떻게 바라볼까. 지난 14일 직접 만나봤다.

권 교수는 의사 수 부족에 대해 인정하고,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의료인력을 확충하는 것을 반대할 이유는 없다고 봤다. 다만 여기에 투입하는 예산은 고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어 정부는 물론 의료계에도 일침을 가했다. 심지어 국회 즉, 정치권에도 책임감을 요구했다. 또한 그는 대한의사협회와 보건복지부의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현재 체계에선 의협와 정부는 대치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그는 젊은의사들을 향해 정부 측에 보다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할 것을 당부했다. 섣부른 판단 대신 정부 정책을 자세히 듣고 파업해도 늦지 않는다고 거듭 강조했다.

(중략)

Q: 지난 2000년, 의약분업 투쟁 초기에 핵심멤버로 활동했다. 2024년 단체행동을 준비하려는 젊은의사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A: 전문가는 정부보다 더 좋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의사단체가 고령화, 질병구조변화, 4차산업혁명 등 의료환경 변화에 적극적인 정책제안을 했더라도 이런 일이 생겼을 지 심각하게 돌아봐야 한다. 현재도 각 진료과별 수가를 배분하는 것은 의료계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다. 20년 전에 개원가의 빈익빈부익부 심화를 막기 위해 70명 진찰료 상한제를 의사협회가 제안해서 시행했다. 그걸 되돌린 것은 개원의협의회였다.

노동강도를 낮추기 위해서 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예산을 투입해서 인력을 늘리겠다는 것을 왜 반대하는가? 문제는 재정이 충분한가에 있다. 정부 정책을 자세히 듣고 의견을 제시한 뒤에 반대하는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갖고 파업을 해도 늦지 않는다.

의료계 내에서 시장을 선점한 사람들, 정책이 바뀌면 가장 손해보는 사람들이 젊은 의사들을 더 생각할 지, 정부가 더 생각할 지 섣불리 판단하지 않길 바란다.

출처: https://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57457
=========================================================
의료문제에 관심 있는 분들은 필독해야 할 명문.
지면관계로 앞부분의 요약과 마무리만 올렸지만 정독을 추천드립니다.
한국 의료시스템의 역사와 국가간 비교를 잘 해둠

정부기관과 의료집단을 보면서 쎄할 때가 있었는데, 그 쎄함의 정체를 좀 알게 되었네요.



3


스스로 내부에서 규제하는 외국사례는 신기하긴 하네요. 이런 목소리가 왜 안나왔던건지.

극단적인 이익단체 의협, 그리고 그런 의협을 방관하는(?) 의사집단, 비전문적이고 근시안적인 정부 정책들에 항상 아쉬움이 있었는데 좋은 기사 소개감사드립니다.

기사에 나오는 독일 모델도 괜찮겠단 생각도 드네요.
1
의사는 아니지만 건강보험으로 먹고사는 비슷한 처지에서 말씀드리면 이바닥에서 정부 재정 관련해서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단적으로 제약회사 보험약가 관련해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해외 신약 특허가 만료되서 국내 제네릭이 허가를 받을 때 퍼스트제네릭이 받을 수 있는 최대 약가는 오리지날의 53.55 %입니다. 물가가 오르든 인건비가 오르든 해외 공급업체의 원료가격이 오르든 이 약가 비율은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험약가는 매년 인하되거나 동결될 뿐 절대로 인상되지 않습니다.
오리지날 약의 약가가 과하고 제네릭 약가도 ... 더 보기
의사는 아니지만 건강보험으로 먹고사는 비슷한 처지에서 말씀드리면 이바닥에서 정부 재정 관련해서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단적으로 제약회사 보험약가 관련해서 말씀드려보겠습니다. 해외 신약 특허가 만료되서 국내 제네릭이 허가를 받을 때 퍼스트제네릭이 받을 수 있는 최대 약가는 오리지날의 53.55 %입니다. 물가가 오르든 인건비가 오르든 해외 공급업체의 원료가격이 오르든 이 약가 비율은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그리고 보험약가는 매년 인하되거나 동결될 뿐 절대로 인상되지 않습니다.
오리지날 약의 약가가 과하고 제네릭 약가도 오리지날만큼은 아니지만 이익이 날 정도라면 처음에는 문제가 없지만, 일정 시점이 지나면 이익이 없거나 적자상품이 되버립니다.몇 년 전까지는 그래도 이익이 있으니 중소 제약사들이 수탁을 받아 공급이 가능했는데, 발사르탄 및 라니티딘 NDMA 파동이 일어나면서 수탁사의 최대 수탁 공급 허가 숫자를 3 개로 줄여버렸습니다. 이제 중소 제약사들은 만들 제네릭이 부족하고, 대형 제약사들은 자체생산하려다 보니 이익이 부족해서 허가를 취하하기 시작했죠.
그런데 코로나사태, 까다로워지는 중국의 환경규제, 중국 인도 및 한국의 인건비 상승 등으로 단가가 맞는 원료 수급 또는 제품 생산이 불가능해지면서 의약품 품절 사태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품절약 대부분은 감기 등 경증 질환에 사용하는 저렴한 약인데, 글로벌 제약사가 동남아 공장에서 생산해서 수입하는 제품들 외에는 국내사 제품이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개원의나 약국 약사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한정된 자원으로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를 국민에게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은 좋지만 모든 건 누군가의 희생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현재 시스템의 개선이 없이는 국내 중소 제약사들이 더 이상 버티기 어려울 것 같고요.
11
Paraaaade
여기저기서 구멍이 터지는 소리는 들리는데, 아직 한국사회는 이런 변화를 받아들일 정책적 준비도, 사회적 합의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네요.
1
보험약가 관리가 개발도상국 시절에는 먹혔습니다. 그땐 해외 오리지날약이 너무 비싸고 국산 제네릭은 생산비가 저렴했으니까요. 근데 이제 한국은 전세계 15위 안에 드는 경제 선진국이고 제네릭 생산비도 만만치 않습니다. 적절한 때에 적절한 방식으로 국민건강보험 제도가 개편이 되어야 합니다.
물론 모든 어그로를 의협이 다 끌어버렸기 때문에 이런 목소리 내는것도 쉽지 않을 것 같구요.
2
하우두유두
요즘 병원에 약이 자주 품절 뜨더라구요. 입고도 느리고... 그때문인가..
1
그 어디선가 전쟁 때문에 안들어오고있는 약도 있다는 썰을 들은거 같기도..
1
몰랐던 부분인데 덕분에 이런 문제도 알고갑니다.. 감사합니당
1
약사협회에서 대관부서 3년 간 활동했었는데, 약사회랑 비교하면 이번 의대 정원은 의협의 대관전략 대참패나 마찬가지입니다.
차라리 다른 보건의료 직능과 연계해서 보험재정 악화라는 슬로건을 걸었으면 더 나았을 겁니다.
2
Beer Inside
의협의 대관조직이 존재하는지 조차 의문스러운 사태이기는 합니다.

물론 의협보다는 병협이 우선인 세계라서 의협의 대관조직이 있어도 의미가 있었을지도....
2
의협 대관, 대민전략은 지난 정부부터 이미 참패같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좋은쪽으로 흘러가길 바라는 수 밖에요.
1
글쎄요..카르마가 있는데, 연대가 가능했을까요.
Beer Inside
지금 당장 해결해야 할 문제가 이 문제이지요.

고가약들은 잘만 수입되어서 쓸 수 있는데, 저가약은 사용하기가 힘든 현실....
3
오쇼 라즈니쉬
약이 수량이 없어서 수시로 바뀝니다 정말;;
1
아케르나르
그렇군요. 저도 석달마다 약 몇 가지 타서 복용하는 입장인데, 전에 좀 이해 안 가던 일이 알탈님 덧글 보고 수긍이 가네요. 특정 호르몬제 내복약을 먹었었는데, 그게 원료 수입이 끊겼다고 그랬나 해서 안 만든다고 다른 약으로 바꾸더라고요. 비강에 바르는 거였는데, 비싸기도 한 데다가 제가 비염 때문에 도저히 쓸 수가 없어서 다시 바꾼 게 주사제인데.... 비급여에 비싼 건 또 마찬가지라...
1
오쇼 라즈니쉬
좋은 글이네요 이런 분이 장기간 협상을 주도했었다면 이정도 파국은 없었을지도요
3
좋은 글입니다만 저 분은 양 쪽에서 공격받을 것 같읍니다
6
Paraaaade
그렇더라구요. 중도는 양극단에게 모두 공격받을 뿐... 정치의 실종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215 사회의사증원의 핵심은 '재정' 정부안 듣고 파업해도 늦지 않아 17 카르스 24/02/16 3315 3
37213 사회“의사 1만명 늘어나도 인구 1천명당 2.3명”…숫자로 반박한 정부 14 카르스 24/02/16 2952 0
37201 사회서울대공원 코끼리 '사쿠라' 영원히 잠들다 2 엘에스디 24/02/15 2873 2
37199 사회딸 졸업식 앞뒀는데…교통사고 수습 돕던 40대 가장 참변 4 swear 24/02/15 3376 0
37197 사회화장실 옆 칸서 소변보는 친구 훔쳐본 중학생…법원 “학교폭력” 22 과학상자 24/02/14 3552 2
37194 사회쿠팡 블랙리스트 단독입수‥암호명 '대구센터' 6 당근매니아 24/02/14 3623 2
37191 사회세브란스 ‘노조파괴’ 사건, 책임자들 3년 만에 유죄…법원 “비난받을 만” 4 자공진 24/02/14 3389 9
37182 사회정부 "공무원들 자긍심 높이기위해서 표창장 크기 키울 예정" 11 공무원 24/02/12 3469 0
37180 사회"아이들 대신 3040 성인이 더 찾더니 결국…" 줄줄이 폐업 18 tannenbaum 24/02/11 3597 0
37177 사회전과 11회 성추행범 영장 기각 “아파트 자가 보유자라서” 13 야얌 24/02/11 3359 0
37161 사회도둑맞은 카드로 물건 샀는데‥'나 몰라라' 애플 매장 8 swear 24/02/07 2925 0
37155 사회‘수업권 침해’ 소송 22개월…연세대 청소노동자 “학생들 덕분에 여기까지 왔다” 6 tannenbaum 24/02/07 3692 0
37153 사회'허위 미투' 주장한 시인 박진성 징역 1년 8개월 확정 7 구밀복검 24/02/06 3540 0
37150 사회"새벽 2시 소리 꽥꽥 질러댄다"…좀비축구 '집관족' 소음 전쟁 14 swear 24/02/06 3490 0
37148 사회내년 의대 정원 2천명 늘린다…총정원 5천58명으로 49 카르스 24/02/06 3504 0
37147 사회‘성소수자 축복’ 목사 쫓아낸 교단…고발인은 “교회법, 인권과 무관” 9 tannenbaum 24/02/05 3513 0
37134 사회대법원 판례 무시한 강제징용 1심에... 서울고법 "재판 다시 하라" 2 과학상자 24/02/02 4048 1
37126 댓글잠금 사회‘웹툰 작가 주호민 아들 학대 혐의’ 특수교사 유죄…선고유예 50 the 24/02/01 4646 0
37125 사회‘여성 병역의무화’ 대신 젊은 중장년층 ‘시니어 아미’ 만들자 35 danielbard 24/02/01 3480 0
37124 사회문경 화재 참변…고립 ‘27·35세 소방관’ 2명 모두 사망 9 swear 24/02/01 3289 0
37122 사회고양이는 알고 있다, 우리 안의 증오와 혐오 (헤럴드경제 이형석 칼럼) 12 덜커덩 24/01/31 3328 2
37114 사회"너 엄마 없잖아"..아들 괴롭힌 동급생들에 '개XX' 고함 친 아버지 14 swear 24/01/30 3403 0
37107 사회KBS, “이선균 죽음 책임 없나” 질타하자 “MBC는…” 3 swear 24/01/29 2756 0
37092 사회백종원의 '병영식당'…더본코리아, 군 급식 개선에 팔 걷는다 5 OneV 24/01/26 3371 0
37091 사회돌봄 로봇이 협심증으로 쓰러진 70대 입주민 신고해 구조 4 TEN 24/01/26 3306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