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7/12 20:54:56
Name   카르스
Subject   작은 스캔들만 가득한 기이하게 고요한 세상
최근 한국은 전례 없는 고요한 시대를 살고 있다. 작은 사건은 계속되지만, 거대 사건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별로 없다.

(중략)

방금 말한 사례들의 성격과 전개 과정은 제각각이지만, 한 가지 비슷한 경향을 보여준다. 거시적 갈등과 대중 운동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한국은 헤게모니 경쟁의 전형을 목격할 수 있는 곳이었다. 일관성과 체계성 없는 국가 제도는 사회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무슨 문제만 생기면 사회 전체가 두 진영으로 나뉘어 적대 전선을 형성하기 일쑤였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그런 식의 거대 전선이 보이지 않는다. 물론 평화의 시대가 시작됐다는 말은 아니다. 사회적 참사와 노동 사고는 반복되고, 불평등은 여전하며, 삶의 공간은 온갖 분쟁으로 가득 차 있지만, 예전처럼 모두가 둘로 나뉘어 싸우지는 않는다. 이게 일시적인 소강상태인지, 영구적인 상태 변화인지는 알 수 없다.

유명인 스캔들은 끊임없이 터지는데, 그럴 때마다 소규모 전선이 만들어졌다가 사라진다. 두 연예인이 사귀다가 이별하면 각자를 응원하는 팬덤 간 갈등이 발생하는 식이다. 흥미로운 것은 보통 사람도 이런 미시적 분쟁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만일 당신이 동네에서 ‘주차 빌런’을 만났다고 해보자. 과거에는 이런 개인사가 사회적 문제로 다뤄지려면, 사회구조 일반을 대표하는 성격이 부여돼야만 했다. 하지만 요즘엔 다수의 공분을 끌어낸다면 무엇이든 공적 사건이 돼버린다. 연예인이 불륜 상대자의 악행을 폭로하는 것처럼 이제는 모두가 일상의 빌런을 규탄하고, 자신의 소규모 팬덤을 형성할 수 있다. 언론은 거기서 적극적 역할을 한다. 온라인 공간에는 잡다한 사연들이 떠돌아다니는데, 전통적인 주류 언론조차 그런 사연을 날 것 그대로 판매한다.

주요 의제가 다뤄지는 방식도 달라졌다. 불평등은 그 어떤 정치인도 피해갈 수 없는 거대 주제였지만, 이재명 후보의 당대표 출마선언문에는 불평등이라는 말이 단 한 번, 구색 맞추기로 나올 뿐이다. 당연히 불평등 해소를 위한 큰 공약도 없다. 이는 물론 정치인 개인의 변화가 아니라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다. 이제 불평등도 미시적 분쟁의 주제 중 하나가 됐다. 요즘 어린이 사이에 ‘개근 거지’라는 신조어가 유행한다고 해서 많은 사람이 충격을 받았다. 이 사건이 다뤄지는 방식은 여느 ‘SNS 화제’나 ‘인터넷 논란’과 다르지 않다. 시민 개인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자신의 경험담을 올리면, 다른 이들이 집단적 분노를 표현하고, 언론이 뉴스로 가공해 보도한다. 하지만 ‘공동체는 어떻게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응해야 하는가?’라는 정치적 질문으로 전환되지는 않는다. 사건은 ‘개인의 불쾌한 경험’이라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며, 콘텐츠 상품으로 소비된 후 잊힐 뿐이다.

지금까지 말한 변화를 좋다 나쁘다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시대가 변했으니 그대로 인정하자’고 말할 수도 없다. 앞서 말한 적대 전선과 대규모 대중 운동은 한국을 움직이는 동력이면서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기도 했다. 거시적 갈등은 제도의 실질적 변화보다는 상대 진영의 제거에만 몰두한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조용한 지금이 더 낫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과거의 동력이 새로운 동력으로 대체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은 안정기로 들어온 것인가, 변화의 동력 자체를 상실하고 있는 것인가?

출처: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3&artid=202407121600021
========================================
세부 비평에는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도 많습니다만,
한국에서 거시적인 갈등과 운동이 죄다 사라지고 미시적인 소규모 갈등만 남았다는 개론엔 더없이 동의합니다.

어떤 면으론 정말 이상하게 고요한 나라가 되었어요.
북미권이나 유럽에서 새롭고 위험한 거시적인 갈등요소가 생겨난 것과도 다릅니다.



1


하마소
나아지길 기대하기 보다는 당장 도취될 수 있는 승리감이 필요한 이들을 위한 전시, 그걸 위한 무대.
1
카르스
말씀하신 면도 있긴 한데, 그걸 넘어선 총체적인 사회 변화로 보입니다.
타키투스
그야 거시적 갈등과 대중 운동이 활발하던 시기는 그걸 해결하기 위한 방향과 답 모두 정해져 있던 시기니까요.
그런데 지금의 문제는 답은 커녕 방향조차 몰라요. 거기다 현대 사회문제는 모두에게 직간접적 책임이 있기도 하구요.
그러니 그런 복잡하고 거시적인 문제보단 직관적이고 미시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주는거죠.
괜히 복잡한 문제에게 말 한번 얹었다가 두들겨 맞는거보단, 남들 돌팔매질 할때 같이 끼는게 훨씬 안전하잖아요?
1
카르스
말씀하신 거에 더해서, 말씀하신 '방향과 답이 정해져있던 문제들'이 상당수 개선된 것도 있어 보입니다.
사회적 노력에 기반한 것도 있고, 제3의 변수 때문인 것도 있고.

그 결과 불평등, 청년 실업, 장시간 노동과 같은 기존의 복잡하고 거시적인 문제가 어느 정도는 과거 일이 되어버렸지요.
새로운, 답은 고사하고 방향조차 모르는 새 문제들이 추가되었지만.
사레레
제가 보고있는 관점은, 최근에 국민의 단결된 힘으로 대통령이라는 거대 권력을 탄핵으로 끌어내린 직접적이고 강렬한 해결을 맛보았는데
그 결과로 탄생한 정부도 높은 기대치에 부응하지 못하고 공정과 정의의 문제에 휩싸여 버린 실패감과 허탈감이 크지 않았나 합니다.
그 이후에 그래서 뭐가 그렇게 바뀔 것이냐, 얼마나 좋은 세상이 올 것이냐에 대한 기대감과 관심을 많이 약화시키지 않았나.
물론 젊은이가 부당한 대우를 받는 정도를 떠나 아예 죽어버렸는데도 그 수사를 대통령까지 개입해서 묻어버리는 작금의 현실 앞에서 공정 정의 어쩌고 하는게 코웃음이긴 합니다만
8
카르스
실패감과 허탈감이 한 몫 한다는 덴 동의합니다.
다만 지금 한국인들이 사회를 그렇게 나쁘게, 냉소적으로 바라보는지가 관건입니다.
한국인들이 다소 낙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통계가 있죠. 그게 문제회피적인 긍정인지 아니면 찐긍정인지는 모르겠지만요. 개인적으로는 둘 다 있다고는 봅니다. 그런데 한국인들이 유독 갈등을 크게 느낀다는 민감성에 대한 통계도 있습니다. 실제로 갈등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와는 별개로, 그 어떤 갈등들에 대한 인식이 개개인의 의식 속에 예민하게 자리잡고 있는 거죠. 그래서 사소하거나 미시적으로 보이는, 그런 온갖 파편화된 갈등들이 알고리즘화 되고 양극화 돼서 여전히 진영놀이가 성행하고 있는 거고요. 거대담론은 죽었을지 몰라도 그 첨예함만큼은 다양화된 갈등들 속에서 양쪽으로 갈라져 아직도 현재진행형입니다.
3
진영놀이는 계속되고 있죠. 그게 어떤 분들이 보시기에는 사소한 것처럼 보일 뿐. 이치는 같습니다.
과거에는 좌와 우, 진보와 보수 같은 거대담론적인 무언가였다면 요즘에는 남과 여처럼 다소 지엽적일 뿐이죠.
그러고 보니 예전에 카르스님께서 젠더갈등의 쇠퇴를 논하셨던 게 불현듯 떠오르네요.
시간이 지난 지금. 전혀 그럴 낌새가 느껴지지를 않지요. 그때가 다소 정체기였을 뿐..
9
카르스
적어도 표면적인 젠더갈등은 쇠퇴한 게 맞다고 봅니다. 심층적인 젠더갈등은 좀 많은 논의가 필요하지만.
그러네요
래디컬 페미니즘의 광풍이 한참일 때보다야 당연히 쇠퇴했다고 보는 게 맞겠죠.
다만 그 쇠퇴라는 것이... '쇠퇴'라고 불릴 만큼의 갈등 완화라고 보기엔 어렵다는 거지요.
2
당근매니아
딱 이 내용의 댓글을 쓰려고 하고 있었는데, 대신 달아주셨군요.
1
작은 일들을 연결해서 크게 키우지 않는 것일분..
1
개인의 원자화가 그 어느때보다 많이 이루어져서 그런게 아닐까요
200만 유튜버도 내가 모르면 그만이고, 연예대상을 받아도 TV 보는사람들만의 대상이고(저는 기안이 연예대상을 받았다는 걸 얼마 전에 알았습니다)
나와 저 사람이 A라는 큰 논조를 공유하더라도 세부 각론인 A-1, A-2에 대한 입장은 다르거나
또다른 논조인 B에 대해선 동의 하냐부터가 다를 수 있다는걸 그 어느때보다 잘 아는 시대가 아닐지

A에 동의하고 B에도 동의하는 나는, A에 동의하지만 B에는 동의하지 않는 사람과 꼭 뭉쳐야될까 하는 생각을 하는 시대
2
저는 파편화를 그렇게 해석하지 않습니다. 파편화는 이슈 및 관심사의 다변화일 뿐이죠. 분명 채널은 다각화돼 있습니다. 이제 무한도전 같은 전국민 예능 같은 건 없는 게 맞죠. 그런데 말입니다. A에도 동의하고 B에도 동의하는 분들보다 어느 한쪽에만 동의하는 분들이 훨씬 많아요. 양극화고 알고리즘화죠. 특정 이슈를 모르더라도 비슷한 맥락으로 구조화돼서 영토를 공유합니다. A-1, A-2, A-3 사이의 갈등보다 A와 B의 갈등이 훨씬 크고요. 양적으로도 훨씬 압도적이죠. 그래서 진영놀이는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고 거대담론은 죽었을지 몰... 더 보기
저는 파편화를 그렇게 해석하지 않습니다. 파편화는 이슈 및 관심사의 다변화일 뿐이죠. 분명 채널은 다각화돼 있습니다. 이제 무한도전 같은 전국민 예능 같은 건 없는 게 맞죠. 그런데 말입니다. A에도 동의하고 B에도 동의하는 분들보다 어느 한쪽에만 동의하는 분들이 훨씬 많아요. 양극화고 알고리즘화죠. 특정 이슈를 모르더라도 비슷한 맥락으로 구조화돼서 영토를 공유합니다. A-1, A-2, A-3 사이의 갈등보다 A와 B의 갈등이 훨씬 크고요. 양적으로도 훨씬 압도적이죠. 그래서 진영놀이는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고 거대담론은 죽었을지 몰라도 그 첨예함만큼은 이어지고 있다고 했던 것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치는 같죠. 그게 조각 나서 진행되고 있을 뿐. 그런데 단순히 파편화라서 특정 이슈에 관심 있고 의견일치를 이루는 사람들끼리만 끼리끼리 편먹는 형국이 아니라, 코드화된 문맥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진영따라 편먹기를 하고 있죠. 그게 언뜻 공존하기 어려워 보이는 파편화와 양극화의 전모라고 생각합니다. 알고리즘이 양극화를 가속화시킨다는 소리도 그래서 많이 나오는 거라 보고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뉴스 게시판 이용 안내 1 토비 16/09/01 29224 4
38877 게임한화생명·T1>젠지>디플러스 기아>KT?, 규모의 싸움 ‘쩐(錢)’ 쓴 한화생명이 증명했다 3 swear 24/09/19 854 0
38876 사회끝까지 기록 찍고 물러나는 더위…20일부턴 전국 '많고 거센 비' 7 the 24/09/19 978 0
38875 경제"월 50만원 부으면 5년 뒤 4027만원"…中企 재직자 저축공제 나온다 8 Groot 24/09/19 1214 0
38874 스포츠‘대시’ 이대성, 십자인대 파열…시즌아웃 위기 1 danielbard 24/09/19 799 0
38873 정치(단독)"대통령과 여사에게 전화했다. 내일 김영선 발표" 24 매뉴물있뉴 24/09/19 1568 0
38872 정치"군, '훈련병 얼차려 사망' 수사자료 고의 파기"…충격 폭로 5 활활태워라 24/09/18 1347 0
38871 국제헤즈볼라 호출기 동시 폭발…8명 사망·2750명 부상(종합) 15 다군 24/09/18 2680 0
38870 정치윤 대통령 15사단 방문…“전투식량·통조림 충분히 보급하라” 23 알탈 24/09/17 1585 0
38869 정치윤석열 정부의 모순된 ‘노동약자’ 프레임 3 오호라 24/09/17 960 1
38868 사회내년 고교 무상교육 없어지나…중앙정부 예산 99% 깎여 6 야얌 24/09/17 1654 0
38867 사회아버지의 결단, 어느날 달라진 제사....기리는 마음이 중요한 것 6 swear 24/09/17 1364 0
38866 국제저체중 추세가 우려되는 선진국 일본 42 오호라 24/09/16 2745 1
38865 정치코레일 암울한 미래… 달릴수록 ‘부채 늪’ 무려 21.3조 21 야얌 24/09/16 1649 1
38864 국제제2차 트럼프 암살 시도 발생 7 공무원 24/09/16 1771 0
38863 사회신장 이식받은 남편, 기증한 아내…이들의 ‘삶’ swear 24/09/15 1200 1
38862 기타매직펜으로 일기도 그리던 '날씨 아저씨'…김동완씨 별세(종합2보) 1 다군 24/09/15 1135 0
38861 스포츠기금을 개인연금에…? 돈관리 손놓은 대한체육회 1 swear 24/09/15 1088 0
38859 기타내가 죽으면 게임 계정 어떻게?…기업마다 천차만별 2 다군 24/09/14 1211 0
38858 정치[한일비전포럼]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3 dolmusa 24/09/14 935 0
38857 IT/컴퓨터손님 폰으로 자신에게 카톡 선물하기 한 대리점 직원 6 whenyouinRome... 24/09/13 1571 1
38856 IT/컴퓨터미 FDA, 에어팟 프로2 '보청기 기능' 승인 5 아란 24/09/13 1260 1
38855 정치“대통령실 이전, 방탄창호 15.7억 빼돌려” 감사원 적발 14 SOP 24/09/13 1582 0
38854 게임'스카웃' 이예찬, 롤드컵 못 갈 수 있다 11 swear 24/09/12 1450 0
38853 경제현대차·美 GM, 승용·상용차 공동으로 개발·생산한다 9 다군 24/09/12 117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