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11/07 06:16:38 |
Name | 와인하우스 |
Subject | 사랑의 방식 |
그들은 짝사랑은 자아도취에 불과하며, 결국 비참한 끝을 맞게 될 것이라고들 한다. 그럴 것이다. 누군가를 '소유'하지 못해 열병을 앓는 이들에게는. 나는 그를 늘 그리워했지만, 그렇다고 열병 따위를 앓아본 적은 단 하루도 없다. 오히려 그런 것이 없었기 때문에 그 긴 시간 동안 마음을 초연히 갈고 닦을 수 있었던 것이다. 나는 피그말리온이 아니다. 나는 그 무엇에도 갈망에 휩싸이지 않는다. 비유하자면 내가 그를 좋아하는 것은 그가 태양과도 같은 존재기 때문이다. 아주 먼 옛날에는 태양이 종교적 숭배의 대상이었던 때도 있었다. 지금도 어떤 사람들은 현상이나 인물을 똑바로 마주하는 대신 온갖 미사여구를 담아 스스로를 그 앞에 제물로 바치고, 오직 자기(부족) 만이 (태양신의) 선택을 받은 자(들이)라 여긴다. 그러나 자연 현상은, 일개인은 결코 그 자체로 위대하다 볼 수 없다. 진정 위대하고 아름다운 것은 태양이 선사하는 빛으로 인해 성장하는 자연이며, 어떤 인간의 본받을 만한 성정으로 인해 고양되는 나 자신인 것이다. 즉 아름다운 태양이 미미한 나를 감히 바라봐주기 때문이 아니라, 나를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태양에 감사함을 느끼는 것이다. 내게는 두 이성(혹은 동성)이 서로 교류하고 맞춰가는 통상의 연애보다 이렇게 오롯이 나에게 충실하는 감정이 더 어울린다. 그는 어둡고 음울했던 나에게 이제껏 겪어보지 못했던 햇볕을 쬐어주었다. 진심어린 당신의 따스한 말로 내 마음도 함께 밝고 따뜻해질 수 있었다. 그러나 긴 시간 동안 나 또한 소유의 열병은 아니지만 (숭배자적인) 자아도취라는 함정에 빠져있었고, 그렇기에 긴 시간동안 연락할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과도한 선망을 걷어내고 당신이란 개인을, 나 자신을 바라볼 수 있게 되자 비로소 새로운 길이 열렸다. 몇년 전 그가 내게 그토록 열어주고 싶어했던 그 길이. 그렇다. 당신이 나의 이름을 부르기 전까지는 나는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을 뿐이었고,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에서야 그는 내게로 와 꽃이 된 것이다.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와인하우스님의 최근 게시물 |
짝사랑을 사실 지나치게 오래 하면 짝사랑하는 상태 자체에 매몰되어버린다고들 해요. 짝사랑하는 상태가 고착화되어 놓지 못한다는 것이죠. 저도 상당히 오래(오래 살지 않았지만... 1/5쯤?) 좋아했던 사람이 있었는데, 어쩔 때는 내가 이 사람을 단순히 좋아하는 게 아니라 삶의 목표라든가 나의 이상향이라든가 하는 것들을 죄다 때려박아서 만든 괴물한테 끌려다니는 기분이 들 때가 있었어요. 갈망하지 않으신다는 부분에서 이런 딜레마를 잘 극복하신 거 같아 부러워요. 결국 '내가 짝사랑하는 그대'가 아니라 '그대'를 바라보고, 그 '그대'를 ... 더 보기
짝사랑을 사실 지나치게 오래 하면 짝사랑하는 상태 자체에 매몰되어버린다고들 해요. 짝사랑하는 상태가 고착화되어 놓지 못한다는 것이죠. 저도 상당히 오래(오래 살지 않았지만... 1/5쯤?) 좋아했던 사람이 있었는데, 어쩔 때는 내가 이 사람을 단순히 좋아하는 게 아니라 삶의 목표라든가 나의 이상향이라든가 하는 것들을 죄다 때려박아서 만든 괴물한테 끌려다니는 기분이 들 때가 있었어요. 갈망하지 않으신다는 부분에서 이런 딜레마를 잘 극복하신 거 같아 부러워요. 결국 '내가 짝사랑하는 그대'가 아니라 '그대'를 바라보고, 그 '그대'를 인간적으로 직면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해요. 저는 그래서 모든 상황이 마무리된 후 꽤 긴 시간이 지나 다른 사람에게 그 사람의 이야기를 전해들을 때마다 참 많이 괴로웠던 기억이 나요. 내가 어떤 환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 환상에 그 사람을 끼워맞췄다고 생각하면 잘못된 걸로 넘길 수 있는데, 제가 건너들었던 이야기들이 하나하나 다 좋아했던 그 모습들이라, 내가 헛된 것들 좇던 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많이 났거든요. 글을 읽으면서 그 당시 저를 많이 되돌아보게 되어요. 짝사랑은 제가 행복하기 위해서 해야 하는 거 같아요! '너'를 좋아하는 나가 아니라 너를 좋아하는 '나'. 그렇게 따지면 짝사랑만큼 행복한 사랑도 없지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