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2/18 15:38:40 |
Name | damianhwang |
Subject | 건강관리 서비스 산업화 추진과 온라인 의료 상담;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81&aid=0002686669&sid1=00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2172207575&code=910203 이명박근혜 정부의 친기업 정책의 일환으로; 전문가의 견해와 상담이 필요한 일도 돈으로 밀어붙이는 산업을 만드려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네요; 기사 내용중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이 부분인데요... 이건 인두제에 기반한 주치의 제도 활성화 하고, 평소 보건활동으로 예방을 하는 쪽이 평균 수명이나 Quality of Life에 훨씬 도움이 될거 같아 보입니다만... 그건 대기업한테 돈벌이가 안되겠죠.... 아무래도 이 법에 숨겨진 저의는 의료상담을 공짜로 해주는 척 하면서 생명보험사 쪽에 환자들이 자발적으로 건강정보를 넘기게 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심평원이 가진 정보를 민간보험사에 통째로 넘겨달라는 걸 정부측이 거부해서 민영의료보험 활성화를 저지하고 있다는 식의 썰들이 몇년전부터 돌고 있기도 하지만요.. 개인적으로는 팟캐스트 운영하면서 이메일을 통해 상담문의를 받긴 하지만, 저와 제 친구 의사의 주 포커스는 박리다매의 바쁜 의료환경 때문에 당연히 들었어야 할 설명을 충분히 듣지 못했을 수도 있었음을 환기시켜주고, 당신이 알고 있는 의학지식과, 본인의 판단만으로 건강정보를 가늠하기 힘들 때 적절한 전문가를 빠르게 만나 조치를 받아라~ 라는 기조로 해오면서 적당히 거리를 두고 있긴 헌데;; 이건 뭐 정부에서 아예 대놓고 돌팔이 지식KiN서비스를 대기업에서 운영시키겠다는 것도 아니고;;;;; 좀 당황스럽긴 하네요. PS: 이번주 강약중강약에 전문가(?)인 김제시 켈XXX약사님이 등판하셔서 본인의 전문분야인 변비(...)약에 대한 썰을 맛깔나는 비유로 풀어주십니다. 다음주에도 여러분들에게 익숙한 또다른 전문가(X), 키워닥터(O) 한분이 등판하셔서 북"핵"육자회담(?)에 대한 썰을 풀어주실 예정입니다. 킄킄;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damianhwang님의 최근 게시물
|
저도 요근래 한창 재밌게 듣고 있는데요. 게스트님들 기대가 크게 되네요. 얼마나 재밌을까요? 집에 올 때 보통 듣는데...블루투스도 장만했어요..^^ 재미도 지식도 함께 두가지를 함께 얻으니 하루의 스트레스가 다 사라진답니다.
가만 보면, 우리나라의 원격진료나 다른 건강서비스 정책들은 정부가 대기업과 손잡고 본격적으로 비지니스를 해볼까 하는 것 같아요. 환자를 하루에 몇 십명씩 봐야하는 실질 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할 터인데.... 돈은 제약회사들과 의료기계회사들이 다 벌고 국민들은 퀄리티 서비스는 기대를 못하니 답답하네요. ... 더 보기
가만 보면, 우리나라의 원격진료나 다른 건강서비스 정책들은 정부가 대기업과 손잡고 본격적으로 비지니스를 해볼까 하는 것 같아요. 환자를 하루에 몇 십명씩 봐야하는 실질 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할 터인데.... 돈은 제약회사들과 의료기계회사들이 다 벌고 국민들은 퀄리티 서비스는 기대를 못하니 답답하네요. ... 더 보기
저도 요근래 한창 재밌게 듣고 있는데요. 게스트님들 기대가 크게 되네요. 얼마나 재밌을까요? 집에 올 때 보통 듣는데...블루투스도 장만했어요..^^ 재미도 지식도 함께 두가지를 함께 얻으니 하루의 스트레스가 다 사라진답니다.
가만 보면, 우리나라의 원격진료나 다른 건강서비스 정책들은 정부가 대기업과 손잡고 본격적으로 비지니스를 해볼까 하는 것 같아요. 환자를 하루에 몇 십명씩 봐야하는 실질 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할 터인데.... 돈은 제약회사들과 의료기계회사들이 다 벌고 국민들은 퀄리티 서비스는 기대를 못하니 답답하네요. 그렇다고 미국은 더 엉망인데....미국서는 보험회사들이 아에 모든 돈을 다 벌고 대기업을 다녀도 개인보험 부담금이 엄청 높구요. 기본 개인보험금이 한 달에 4인가족에 2000불 내어야 하는데, 회사가 부담해줄 경우는, 개인이 200-300불은 원청징수로 회사에다 가족보험금으로 내게 되더라구요. 열심히 낮은 보험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한 80불만 보험금으로 원천징수하는 그런 보험을 회사 보험 중에서 선택하게되면 결국에는 나중에 디덕트블이 높아져서 개인이 부담이 커지구요. 결국에 안아픈게 제일인것 같아요.
보험이 있어도 개인 의사 방문할 때 코페이로 15불/25불/50불 per visit 이 흔하니...제가 일반 병으로 5불이면 의사 선생님 진료받는다고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면 다들 눈을 동그랗게 뜬답니다. 여기서는 손가락 칼에 베어서 응급실가서 꿰매러 병원에 가면 보험 없으면 3000 불은 쉽게 나오니 다들 보험회사 실컷 욕해요. 아기 낳고 병원비 사용내역보고 깜짝 놀라기도 했어요.
보험때문에 하나도 내지는 않았는데.... 자연분만이 2만불 나왔었거든요. UCLA Medical 병원 분만실은 정말 호텔같기는 했었어요.
가만 보면, 우리나라의 원격진료나 다른 건강서비스 정책들은 정부가 대기업과 손잡고 본격적으로 비지니스를 해볼까 하는 것 같아요. 환자를 하루에 몇 십명씩 봐야하는 실질 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할 터인데.... 돈은 제약회사들과 의료기계회사들이 다 벌고 국민들은 퀄리티 서비스는 기대를 못하니 답답하네요. 그렇다고 미국은 더 엉망인데....미국서는 보험회사들이 아에 모든 돈을 다 벌고 대기업을 다녀도 개인보험 부담금이 엄청 높구요. 기본 개인보험금이 한 달에 4인가족에 2000불 내어야 하는데, 회사가 부담해줄 경우는, 개인이 200-300불은 원청징수로 회사에다 가족보험금으로 내게 되더라구요. 열심히 낮은 보험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한 80불만 보험금으로 원천징수하는 그런 보험을 회사 보험 중에서 선택하게되면 결국에는 나중에 디덕트블이 높아져서 개인이 부담이 커지구요. 결국에 안아픈게 제일인것 같아요.
보험이 있어도 개인 의사 방문할 때 코페이로 15불/25불/50불 per visit 이 흔하니...제가 일반 병으로 5불이면 의사 선생님 진료받는다고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면 다들 눈을 동그랗게 뜬답니다. 여기서는 손가락 칼에 베어서 응급실가서 꿰매러 병원에 가면 보험 없으면 3000 불은 쉽게 나오니 다들 보험회사 실컷 욕해요. 아기 낳고 병원비 사용내역보고 깜짝 놀라기도 했어요.
보험때문에 하나도 내지는 않았는데.... 자연분만이 2만불 나왔었거든요. UCLA Medical 병원 분만실은 정말 호텔같기는 했었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