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6/09 19:47:44
Name   사슴도치
Subject   그럴 듯함의 시대
요즘 유행은 빠르게 만들어지고, 더 빠르게 소비된다. 거리에는 도쿄를 닮은 카페가 넘쳐나고, SNS에는 파리 감성의 조명과 샌드위치를 파는 베이커리가 줄을 세운다. 뉴욕의 베이글은 ‘런베뮤’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하고, 두바이산 초콜릿은 하루 만에 ‘인스타템’이 된다. 마치 세계를 압축해 둔 듯한 서울의 풍경 속에서, 우리는 각기 다른 문화의 이미지를 복제한 ‘무대’를 경험하며 살아간다.

이런 흐름을 두고 비판적인 시선도 적지 않다. 무지한 모방, 맥락 없는 차용, 얄팍한 상술—그런 키워드로 요약되는 담론은 언제나 일정한 긴장을 동반한다. 하지만 정말 그 모든 소비가 비난받아야 할까? 아니면 지금의 소비 자체가 애초에 그렇게 작동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는 것일까?

근데 뭐 또 이런 거라도 향유하면서 사는 삶을 굳이 악마화할 건 뭔가 싶기도 하다. 런베뮤가 뉴욕의 정통 베이글과는 거리가 멀고, 일본풍 카페나 파리 감성 베이커리들이 원본의 깊이를 지니지 못한 건 맞지만, 누구나 ‘정통’을 향유하며 살 수는 없다. 한국에서 유행하는 많은 것들이 사실, 깊은 문화적 맥락보다는 ‘예쁘다’, ‘그럴 듯하다’, ‘사진이 잘 나온다’는 기준에 따라 소비된다. 그리고 그 가벼움을 인정하는 태도 자체가, 어쩌면 지금 이 사회의 소비 방식의 핵심일지도 모른다.

물론 나도 이런 현상을 썩 좋아하진 않는다. 어디선가 본 듯한 인테리어, 복붙에 가까운 메뉴, 트렌드만 좇는 패션—이 모든 것들이 줄을 세우고, 인증을 낳고, 다시 유행이 된다는 사실에 피로감을 느낄 때도 있다. 하지만 분명히 말하고 싶은 건, 무지한 일반 소비자의 소비에는 죄가 없다는 점이다. 모든 맥락을 알고 움직이기는 어렵고, 그것이 꼭 필요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문제는 그 감각적 빈틈을 노려 겉모습만 번지르르하게 만든 콘텐츠를 시장에 대량 투하하는 상술일 것이다. 그런데 냉정하게 보면 그것조차 ‘아이템을 잘 잡은’ 셈이다. 법을 어기지 않는 한, 시장은 그런 전략을 성공이라 부른다.

더 깊이 들여다보면, 지금의 유행은 진짜 ‘원본’의 경험이 아니라, 그 원본을 흉내 낸 이미지나 분위기를 소비하는 것에 가깝다. 파리의 어느 골목을 걸어보지 않아도, 서울 어딘가의 베이커리에서 그 느낌을 살 수 있다. 도쿄의 뒷골목에 가지 않아도, 그와 유사한 조도를 가진 조명과 공간, 음악이 있다면 그 ‘그럴 듯함’은 이미 충족된다. 이는 보드리야르가 말한 ‘시뮬라크르’—즉, 복제된 이미지가 원본을 대체하는 현상—와 다르지 않다.

중요한 건, 사람들이 더 이상 물건의 내재적 가치나 문화적 진정성을 우선적으로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보다는 "내가 이걸 경험했다"는 감각, 그리고 그것을 기록하고 인증할 수 있는 상징성(symbolic value)이 훨씬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오늘날의 소비는 더 이상 물질을 구매하는 행위가 아니라, 특정한 분위기와 정체성을 소비하고 연출하는 상징적 소비로 이동했다. 내가 그 장소에 있었다는 사실, 내가 그 스타일을 입었다는 이미지, 내가 그 경험을 누렸다는 서사가 곧 자산이 된다.

이런 변화는 단지 취향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사회 속에서 축적된 개인의 문화 자본—부르디외가 말한 ‘아비투스’—의 발현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적 위치에 맞는 수준의 소비를 반복하고, 그 틀 속에서 가장 매력적이고 ‘안전한’ 선택을 한다. 그래서 얄팍하다고 비난받는 소비는, 실은 얄팍하게 설계된 시장 구조와 감각 교육의 결과물일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소비는 자율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모방적이다. 사람들이 어떤 공간에 줄을 서는 이유는 꼭 그게 좋아서가 아니라, ‘사람들이 그곳에 줄을 선다는 사실’ 자체가 신호이기 때문이다. 나도 그 문맥에 참여해야 한다는 압력, 뒤처지지 않겠다는 불안, 사회적 위치를 계속 확인받고 싶다는 심리가 작동한다. 밴드왜건 효과든, 모방 욕망이든, 우리는 남들이 가진 것을 나도 갖고 싶어 하는 구조 속에 살아간다.

그래서 마음 한켠으로는 씁쓸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납득이 간다. 이건 단지 누군가의 무지나 시장의 얄팍함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원본이 없어도, 그 원본이 뭔지도 몰라도, ‘그럴 듯함’만으로 충분한 사회. 지금의 유행은 바로 그 욕망과 구조 위에 세워져 있다.



9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551 1
    15544 문화/예술『미지의 서울』 - 양심은 어떻게 일어서는가? meson 25/06/23 162 3
    15543 기타나는 동네고양이다. 1 사슴도치 25/06/22 294 5
    15542 창작사람을 죽이는 일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5 Cascade 25/06/22 1045 10
    15541 영화아재들을 위한 영화 재개봉 - 클리프행어 삼치 25/06/21 294 0
    15540 사회국내 최고 농구 커뮤니티의 반말 욕설 허용 사건 16 시간아달려라 25/06/21 900 0
    15539 문화/예술니고데모 書에 있는 이야기 10 오르페우스 25/06/20 523 4
    15538 기타[자문단] 나는 어떤 글을 추천하는가? 2 moneyghost 25/06/19 367 4
    15537 일상/생각 넷플릭스를 보다가 찡하고 아려온 백인우월주의자. 1 코리몬테아스 25/06/19 673 3
    15536 정치상반기 KPI 평가중 든 잡념 9 길든스턴 25/06/19 670 1
    15535 일상/생각경험의 주관성에 대해서 6 큐리스 25/06/19 416 8
    15534 일상/생각와이프랑 둘이 같이 연차를 냈는데요.ㅠㅠㅠㅠ 8 큐리스 25/06/19 883 5
    15533 일상/생각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9 사슴도치 25/06/19 554 17
    15531 게임우왁굳에 대한 내맘대로 피상적인 이해.. 와 스타여캠 13 알료사 25/06/19 907 14
    15530 철학/종교니고데모 이야기 10 매뉴물있뉴 25/06/18 435 11
    15529 음악[팝송] 크리스토퍼 새 앨범 "Fools Gold" 김치찌개 25/06/18 126 0
    15528 문화/예술[사진]을 찍는다는 것 6 사슴도치 25/06/18 332 10
    15527 일상/생각5개의 아비투스를 지나… 4 골든햄스 25/06/17 633 5
    15526 댓글잠금 기타김재환의 정체에 대한 추측, 그리고 백종원은 아마 이미 알고 있다. 21 단비아빠 25/06/17 1616 1
    15525 일상/생각와이프는 언제나 귀엽습니다. 7 큐리스 25/06/17 632 3
    15524 일상/생각진공청소기가 내게 가르쳐 준 것 1 큐리스 25/06/16 495 5
    15523 기타백종원과 김재환PD의 생사결 19 단비아빠 25/06/16 1691 3
    15522 게임[LOL] 6월 15일 일요일의 일정 1 발그레 아이네꼬 25/06/14 234 0
    15521 도서/문학장르소설은 문학인가? - 문학성에 대한 소고 25 meson 25/06/14 960 12
    15520 게임[LOL] 6월 14일 토요일의 오늘의 일정 발그레 아이네꼬 25/06/14 38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