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4/10/25 11:53:44 |
Name | 오쇼 라즈니쉬 |
Subject | 소통의 부재 - 그거 사기에요! |
아침부터 산뜻하게 열받는 일이 있어서 오랜만에 키보드를 잡게 되네요 저는 개원한 의사이고 스네피(SNEPI)라고 하는 자율신경치료를 많이 합니다. 자율신경 기능부전(자율신경실조증)이 뭐냐면... 온갖 잡증상이 있는데 병원에선 정상이라고 하고 주위에선 꾀병이라고 해서 삶이 피폐해지는 걸 말한다고 보면 대충 맞습니다. 보통은 이건 몸이 아니라 마음의 문제니 정신과 가보세요 엔딩을 맞이하죠. 오늘의 주인공은 66세 여자분이십니다. 3년 전부터 몸에 힘이 하나도 없고 온 전신이 돌아다니면서 열이 나고 전신에 통증도 있고 섬유근육통 이야기도 들어봤고 위가 안 좋아서 식사도 잘 못하고 소화도 안 되고 숨도 차고 어지럼증이 심하고 불안하고 자율신경치료로 유명한 모 신경외과 4번 갔다왔는데 효과가 없었다고 하네요 한 달 반 동안 저와 함께 치료하면서 오늘 말씀하시길 어지럼증 빼고는 제반 증상 거의 다 좋아졌다고 하십니다.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으시다고 했는데, 저희 병원에서는 항상 수축기 혈압 100 내외로 나오고 집에서도 그 정도 나오신다고 해서 어지럼증도 있으시니 일단 약을 끊어보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후로는 130~140 정도 나오시는 상태. 고지혈증약 스타틴도 간혹가다가 심각한 전신증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니 한번 끊어보라고 권유드렸고, 실제로 말씀을 듣고 끊었을 때는 잘 몰랐다가 얼마 전부터 다시 먹어보니 전신에 불편감이 올라와서 아 이게 문제가 있었구나 확인하셨다고 해요. 근데 며칠 전에 원래 고혈압/고지혈증 때문에 다니시던 내과에 가셨는데 강압적으로 꾸중을 많이 들으셨다고 하네요. 환자분이 그 병원만 가면 혈압이 높게 나오는데, 그래서 집에서 재보면 정상이다 라고 말을 했더니 집에 있는 혈압계는 30만원짜리고 자기네는 1000만원짜리다, 집에서 잰 수치는 거짓이다 라고 말하고 고지혈증약 끊으면 몸상태가 좋아지고 먹으면 나빠진다고 했더니 약은 무조건 먹어야 한다고 하고 자율신경치료를 받고 있는데 몸상태가 많이 좋아졌다고 하니까 "그거 다 사기에요!" 라고 일축했다고요. 그러면서 반지형으로 된 24시간 혈압계를 하나 달아줬다고 합니다;;; (허가받은 제품에 이런 말 뭐하지만 주위 동료 의사분들 반응을 들어보면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누가 누구보고 사기래) 얼굴도 모르는 다른 의사가 자기가 낫게 했다고 하면 과학자로서 의심 해보는게 당연합니다. 그런데 눈앞에 있는 환자, 사람, 인격체가 자기가 좋아졌다고 하는데 그걸 사기라고 일축하는 건 뭡니까? 그럼 내 눈앞에 있는 이 사람은 사기 당한 멍청이고 치료해준 의사는 사기꾼이라는 건데, 그런 말을 그리 쉽게 내뱉다니요. 다 떠나서 자기 환자가 좋아졌다고 하면 치료 방법을 궁금해하고 관심을 가져야하는 거 아닌가요? 그동안 자기가 치료해준 것도 아니면? 의료는 기본적으로 사람을 대하는 것이라는 걸 잊어버린 의사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숫자만 정상치에 맞추기에 급급해서 삶의 질에 대해서는 신경을 쓰지 않죠. 모니터 뒤에 사람 있어요! 아니 증상 뒤에 사람 있어요! 12
이 게시판에 등록된 오쇼 라즈니쉬님의 최근 게시물
|
달리기를 할 수 있는 몸으로 만들어줘야죠 ㅎㅎ
저는 기능의학도 같이 하는데,
잘 먹고 / 잘 자고 / 스스로 운동할 수 있는 몸으로 만드는 걸 도와줘서 이후부터는 몸이 알아서 낫게 만들어주는 걸 목표로 하고 있읍니다.
저는 기능의학도 같이 하는데,
잘 먹고 / 잘 자고 / 스스로 운동할 수 있는 몸으로 만드는 걸 도와줘서 이후부터는 몸이 알아서 낫게 만들어주는 걸 목표로 하고 있읍니다.
약먹고 부작용이 없으면 제일 편한데 부작용이 있으면 어려워도 다른 방법을 찾아야죠 ㅎㅎ 개인 의견이지만 결단 잘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자 이게 환자분 배 사진이에요”
“네. (무언가 치료를 기대하며)”
“가스가 다 차있죠? 왜 이렇게 찼어요. 이게 본인 배예요? (혼내는 말투)”
“?”
이후 원인설명도 뭐도 못듣고 그냥 가스 약 하나 받고 -효과 없음- 속상한 맘으로 병원 나왔던 기억. 아픈 걸 혼내지 맙시다! 하고 하고 싶지만 인간 심리상 순간 그 사람에게 공감하는 게 고통되어 밀어내려고 그러거나 교과서상 케이스가 아니다-란 맘에 넌 거짓말쟁이다-혹은 생활습관 등 무언가 잘못을 한 것이지 란 생각에 화(?)내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 거 같아요. AI에게 ... 더 보기
“네. (무언가 치료를 기대하며)”
“가스가 다 차있죠? 왜 이렇게 찼어요. 이게 본인 배예요? (혼내는 말투)”
“?”
이후 원인설명도 뭐도 못듣고 그냥 가스 약 하나 받고 -효과 없음- 속상한 맘으로 병원 나왔던 기억. 아픈 걸 혼내지 맙시다! 하고 하고 싶지만 인간 심리상 순간 그 사람에게 공감하는 게 고통되어 밀어내려고 그러거나 교과서상 케이스가 아니다-란 맘에 넌 거짓말쟁이다-혹은 생활습관 등 무언가 잘못을 한 것이지 란 생각에 화(?)내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 거 같아요. AI에게 ... 더 보기
“자 이게 환자분 배 사진이에요”
“네. (무언가 치료를 기대하며)”
“가스가 다 차있죠? 왜 이렇게 찼어요. 이게 본인 배예요? (혼내는 말투)”
“?”
이후 원인설명도 뭐도 못듣고 그냥 가스 약 하나 받고 -효과 없음- 속상한 맘으로 병원 나왔던 기억. 아픈 걸 혼내지 맙시다! 하고 하고 싶지만 인간 심리상 순간 그 사람에게 공감하는 게 고통되어 밀어내려고 그러거나 교과서상 케이스가 아니다-란 맘에 넌 거짓말쟁이다-혹은 생활습관 등 무언가 잘못을 한 것이지 란 생각에 화(?)내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 거 같아요. AI에게 대면 서비스 부분은 많이 협력을 구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면 다른 한 대학병원에선, “네가 아픈 건 아빠 탓이다. 착한 딸 그만 괴롭히라 그래.” 라고 교수님이 오랜 임상 경험에 빛나는 통찰을 내놓기도. 이런 건 또 인간의 영역(?)으로 앞으로 서비스 영역에서 AI와 인간이 협동하면 좋지 않을까.
“네. (무언가 치료를 기대하며)”
“가스가 다 차있죠? 왜 이렇게 찼어요. 이게 본인 배예요? (혼내는 말투)”
“?”
이후 원인설명도 뭐도 못듣고 그냥 가스 약 하나 받고 -효과 없음- 속상한 맘으로 병원 나왔던 기억. 아픈 걸 혼내지 맙시다! 하고 하고 싶지만 인간 심리상 순간 그 사람에게 공감하는 게 고통되어 밀어내려고 그러거나 교과서상 케이스가 아니다-란 맘에 넌 거짓말쟁이다-혹은 생활습관 등 무언가 잘못을 한 것이지 란 생각에 화(?)내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 거 같아요. AI에게 대면 서비스 부분은 많이 협력을 구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면 다른 한 대학병원에선, “네가 아픈 건 아빠 탓이다. 착한 딸 그만 괴롭히라 그래.” 라고 교수님이 오랜 임상 경험에 빛나는 통찰을 내놓기도. 이런 건 또 인간의 영역(?)으로 앞으로 서비스 영역에서 AI와 인간이 협동하면 좋지 않을까.
선생님, 불쾌하신 마음은 잘 알겠으나 그러한 불쾌감을 저 내과에서도 분명 느꼈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른 의사가 처방한 내복약이나 타원에서 맞은 주사, 수행중인 운동, 시술이나 수술 내역, 기타 치료에 대해 쉽게 말하면 안되는 것은 자명하죠..
그런데 그 내과의사도 가이드라인과 본인의 임상경험 내에서 고혈압 고지혈증 치료를 하는데, 선생님께서 약 끊어보라고 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권유이고 그 내과의사가 선생님 치료에 대해서 부정하는 것은 매도인지...그건 관점의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증례 공유해주신 내용을 보았을 떄 환자가 약... 더 보기
다른 의사가 처방한 내복약이나 타원에서 맞은 주사, 수행중인 운동, 시술이나 수술 내역, 기타 치료에 대해 쉽게 말하면 안되는 것은 자명하죠..
그런데 그 내과의사도 가이드라인과 본인의 임상경험 내에서 고혈압 고지혈증 치료를 하는데, 선생님께서 약 끊어보라고 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권유이고 그 내과의사가 선생님 치료에 대해서 부정하는 것은 매도인지...그건 관점의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증례 공유해주신 내용을 보았을 떄 환자가 약... 더 보기
선생님, 불쾌하신 마음은 잘 알겠으나 그러한 불쾌감을 저 내과에서도 분명 느꼈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른 의사가 처방한 내복약이나 타원에서 맞은 주사, 수행중인 운동, 시술이나 수술 내역, 기타 치료에 대해 쉽게 말하면 안되는 것은 자명하죠..
그런데 그 내과의사도 가이드라인과 본인의 임상경험 내에서 고혈압 고지혈증 치료를 하는데, 선생님께서 약 끊어보라고 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권유이고 그 내과의사가 선생님 치료에 대해서 부정하는 것은 매도인지...그건 관점의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증례 공유해주신 내용을 보았을 떄 환자가 약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이 되는데 60대라면 고혈압, 고지혈증은 그런 태도에 대해 설득을 충분히 해서라도 약을 드시게 해야 하는 중~고위험군 환자로 판단함이 옳아 보이는데요. 환자는 저런 경우에 약을 끊고 좋아졌다는 느낌을 받으면 정말 평생 다시는 약을 안 먹으려고 합니다...환자가 이야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물론 그 내과에서 이야기 하지 않은 내용을 창작해서 말하지는 않았겠지만 뉘앙스를 더 강하게 하거나 어느 정도 윤색을 했으리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 의사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에요.
아무튼 저는 기능의학이란 분야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만 전통적인 의학적 사고와 상당히 벗어나 있는 부분이 있어 추후에 기능의학이 어떤 근거에 기반한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은 하고 있는데, 좀 더 잘 알게 되면 그때는 더 나은 대화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오늘은 제 의견을 전달 드리는 수준 밖에는 말씀을 못 드리겠네요...
다른 의사가 처방한 내복약이나 타원에서 맞은 주사, 수행중인 운동, 시술이나 수술 내역, 기타 치료에 대해 쉽게 말하면 안되는 것은 자명하죠..
그런데 그 내과의사도 가이드라인과 본인의 임상경험 내에서 고혈압 고지혈증 치료를 하는데, 선생님께서 약 끊어보라고 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권유이고 그 내과의사가 선생님 치료에 대해서 부정하는 것은 매도인지...그건 관점의 차이가 있을 것 같습니다.
증례 공유해주신 내용을 보았을 떄 환자가 약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측이 되는데 60대라면 고혈압, 고지혈증은 그런 태도에 대해 설득을 충분히 해서라도 약을 드시게 해야 하는 중~고위험군 환자로 판단함이 옳아 보이는데요. 환자는 저런 경우에 약을 끊고 좋아졌다는 느낌을 받으면 정말 평생 다시는 약을 안 먹으려고 합니다...환자가 이야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물론 그 내과에서 이야기 하지 않은 내용을 창작해서 말하지는 않았겠지만 뉘앙스를 더 강하게 하거나 어느 정도 윤색을 했으리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 의사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에요.
아무튼 저는 기능의학이란 분야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만 전통적인 의학적 사고와 상당히 벗어나 있는 부분이 있어 추후에 기능의학이 어떤 근거에 기반한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은 하고 있는데, 좀 더 잘 알게 되면 그때는 더 나은 대화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오늘은 제 의견을 전달 드리는 수준 밖에는 말씀을 못 드리겠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