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21 23:05:48
Name   bullfrog
Subject   여러분의 마흔은 안녕한가요

저는 1981년생, 한국 나이로 마흔입니다.

마흔이 이제 열흘이 남았습니다. 내년이면 마흔 하나네요. 살 날이 산 날보다 적어지고 있구나 새삼 실감하는 요즘입니다. 저와 딱 30년을 차이에 둔 아버지는 호스피스 병동에 계십니다. 올해 칠순이신데, 투병 때문에 잔치를 못했습니다.

스물, 갓 대학생이 되었을 때는 꿈과 설레임이 가득했던 것 같습니다. 물론 그 이후로 닥칠 실망과 환멸과 늦은 현실인식은 생각도 못했고요. (네, 저는 90년대 운동권 끝자락, 그 잔여물에 걸쳐친 00학번입니다.)

서른, 그 즈음의 저는 취업 3년차에 결혼을 앞둔 겉으로는 평범한 생활인이었습니다. 고대에서 CFA 3차 시험을 보고 나와 김규항 선생의 강의를 들으러 가는 모순적인 인간이기도 했구요.

서른 이후 삶은 어떻게 살것인가의 고민은 점점 줄어들고 직장과 가정의 미션들- 승진, 육아, 이동, 이사 등등-로 채워지는 나날의 연속이었습니다. 마흔이 오는 줄도 모르고 무심히, 영원히 삼십대일 것만 같던.

마흔 즈음이 되어서야 삶을 되돌아 보게 됩니다. 제일 큰 계기는 아버지의 투병이겠고, 그 다음은 점점 더 변방으로 밀려나는 듯한 느낌의 직장 생활, 그리고 열심히 살아봐야 부동산과 불로소득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은 커져만 가겠구나하는 실망감이 다음일 것입니다.

마흔 이후의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나날이 여위어가는 아버지를 볼 때면 삼십여년 후 저 자신을 투영하게 되고, 천진난만한 두 아이들을 보고 있자면 왠지 저의 세상에 대한 실망과 환멸을 되물림해줄까 두렵고, 거울 속의 나는 십여년 전의 내가 원하던 모습은 아무래도 아닌 것 같고. 그냥 하루하루 가는 모습이 광석이형의 노래처럼 매일 이별하는 것만 같습니다.

투정이라 생각합니다. 세상, 얼마나 많은 사람이 칠순도 못 보고 갈까요. 하물며 마흔 전에는요. 스스로 목숨을 끊은 친구, 선배도 여럿 있었습니다. 점점 더 살기 힘든 세상에 이만하면 먹고 사는데 지장 없는 것이, 애들 키우며 아직까지 큰 고민 안 하는 것에 감사합니다.

그런데 문득 드는 이 두려움과 슬픔은 무엇일까요. 마흔 해를 살아오며 후회되지 않는 게 한해도 없는 것만 같은 느낌은요. 그냥 나는 질투와 욕심이 많은 자기연민에 빠진 중년일 뿐일까요.

여러분의 마흔은 어떻습니까, 아니면 어떠셨습니까. 혹은 어떠실 것 같습니까. 저는 이제 열흘이 남았습니다.













23


    반갑다 친구야

    저도 마흔인데 그냥 저냥 잘 지내고 있습니다
    6
    세상의빛
    형님인줄 알았습니다. ㅠㅠ 아니 사이트 주인이시니 형님 맞으시죠! 토비 형님
    1
    오옹 어르신 선생님이셨군요

    선인의 지혜로 홍차넷을 밝혀주십시오
    몇년 남았는데요,
    그때 이 글을 다시 열어볼 것 같습니다. ㅎㅎ
    저는 2년 남았는데 요 몇 년 너무 정신없어서 정신 빼놓고 살고 있습니다..ㅎ
    오오 마흔 오오
    신난다, 이제 더는 미혹되지 않겠구나!
    했는데 알고보니 지학-이립-불혹-지천명-이순-종심 테크트리가 군자용이더라구요.

    저는 소인이라 마흔 넘어도 꾸준히 사소한 일에 미혹됐어요. ㅋㅋ

    n십대, 라는 기간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 건 단지 우리가 10진법을 쓰기 때문이고,
    10진법을 쓰는 이유는 진화 과정에서 우연히 열 손가락을 갖게 됐기 때문이겠죠.
    나이에, 특히 나이 첫 자리 숫자에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어요.
    그냥 순간을 사는 거죠.

    순간을 즐겁게 사는 사람은 가지지 못한 걸 아쉬워하거나 ... 더 보기
    오오 마흔 오오
    신난다, 이제 더는 미혹되지 않겠구나!
    했는데 알고보니 지학-이립-불혹-지천명-이순-종심 테크트리가 군자용이더라구요.

    저는 소인이라 마흔 넘어도 꾸준히 사소한 일에 미혹됐어요. ㅋㅋ

    n십대, 라는 기간이 특별한 의미를 갖는 건 단지 우리가 10진법을 쓰기 때문이고,
    10진법을 쓰는 이유는 진화 과정에서 우연히 열 손가락을 갖게 됐기 때문이겠죠.
    나이에, 특히 나이 첫 자리 숫자에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어요.
    그냥 순간을 사는 거죠.

    순간을 즐겁게 사는 사람은 가지지 못한 걸 아쉬워하거나 과거의 선택에 미련을 갖지 않습니다.
    군자 테크트리는 불가능해 보이는데, 이건 어느정도 해볼만 한 것 같아요.
    14
    마니에르
    10진법은 진짜 기발하네요.
    저는 오늘부터 16진법으로 나이를 세고 2십대라고 얘기하고 다니겠습니다.
    사이시옷
    저는 며칠 후면 마흔입니다.
    30대 중반에 이미 크게 무너져 미래에 대한 꿈을 잃고 주저앉았었지요.
    그래서 오히려 30대 후반에 들어서니 잿더미 속에서 하나, 둘 즐거움과 희망이 늘고 있습니다.

    직장과 성공에 대한 미션이 사라지니 후련합니다.. 미련은 여전히 남아있지만요.
    bullfog님의 앞길에 행복이 오길 기원합니다.
    몇년 지났는데 별 생각없습니다.
    몸이 고장나기 시작했을 뿐..
    1
    사십대독신귀족
    그냥 무섭습니다.

    위에 분들과 달리 저는 미혼이고 건강이 안 좋은 편입니다.
    그리고 저희 가족들은 서로를 상당히 많이 케어해주는 편이고 항상 북적거리고 살았는데
    제가 10년, 20년 뒤에 혼자 살게 되면 잘 지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무섭죠...
    rustysaber
    곧 40인데, 저도 몸 망가지는 거랑 나이들어서 얼굴 못생겨지는 거 빼면 20대나 지금이나 싶습니다.
    켈로그김
    건강관리에는 확실히 좀 신경을 쓰게됩니다
    오디너리안
    마흔까지만 살고 쿨하게 갈려고했는데 아직 건재합니다. 어안이 벙벙.. 불혹은 신화속 단어.. 어른아이.. 원인모를 통증..
    c1abbey
    몸은 서른여섯부터 여기저기 망가지기 시작하더라고요.. 엉엉..
    1
    지구사랑
    저의 경우 사십 대 중반이 가장 힘들더군요.
    살아온 인생을 마무리할 나이까지는 아직 멀었지만 그럼에도 이제까지 산 날보다 앞으로 살 날이 짧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하고 싶었는데 하지 못한 것 - 하루가 지나면 하루 만큼의 (좋은 일이건 좋지 않은 일이건)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생각,
    그런 저런 생각들 혹은 회한들 때문에 잠에 드는 것이 무척 어려웠었습니다.
    그 터널을 지나온 지금 느끼는 것은, 정신적으로 힘들 때에도 삶을 사는 행동만은 기본을 지키고 일관되게 해야 한다는 것,
    정신적으로 힘들다고 삶 자체를 갈팡질팡했었다면 ... 더 보기
    저의 경우 사십 대 중반이 가장 힘들더군요.
    살아온 인생을 마무리할 나이까지는 아직 멀었지만 그럼에도 이제까지 산 날보다 앞으로 살 날이 짧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하고 싶었는데 하지 못한 것 - 하루가 지나면 하루 만큼의 (좋은 일이건 좋지 않은 일이건)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생각,
    그런 저런 생각들 혹은 회한들 때문에 잠에 드는 것이 무척 어려웠었습니다.
    그 터널을 지나온 지금 느끼는 것은, 정신적으로 힘들 때에도 삶을 사는 행동만은 기본을 지키고 일관되게 해야 한다는 것,
    정신적으로 힘들다고 삶 자체를 갈팡질팡했었다면 지금은 훨씬 더 힘들어졌을 거라는 거죠.
    사십 대의 위기 - 쉽게 넘어가기도 하지만, 사람에 따라서 정말 힘들게 겪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건강에 유념하고, 경제적으로 튼튼해지려는 노력은 계속하면서, 어려운 시기를 잘 넘어가시길 기원합니다.
    4
    배워보자
    제가 40대가 되어서 느낀 것은 이 나이가 되면 자신의 한계를 직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던져진다는 것입니다.
    자신의 커리어에서도 어디까지 갈 수 있을 지가 명확히 보이기 시작하고 가정에서도 아이들이 커가면서 더이상 수퍼맨 아빠 노릇을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주식, 부동산과 같은 재테크 분야에서도 이리저리 휘둘리는 한낱 개미에 불과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고 나면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외면해왔던 본인의 한계, 바닥 이런 것들을 강제로 접할 수 밖에 없더군요
    그래서 원치않더라도 자신의 깜냥에 맞게 인생을 재정의하고 출발선을 다시 그어서 시작하는 계기를 갖게 되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조금 서글픈 부분입니다...
    3
    닭장군
    빈스 맥마흔의 마흔은 어땠을까?
    듣보잡
    삼십대 후반인데 그냥 마지막까지 알차게 죽어가려고 합니다.
    그저그런
    내년에 이 글을 다시 꺼내볼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예기치 못한 불행과 기대하지않은 행복 같은것들이 찾아와서 인생 오르락 내리락하는데, 왜 정신연령은 20대 초반에서 나아진게 없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간간히 나는데 그만큼의 인생을 살 수 있을지, 아이들에게 그만큼의 아빠가 되어줄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2
    그저그런
    설날 늦은 밤에 다시 꺼내보네요. 안녕하세요 :)
    경험과 생각을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코로나 풀리면 술 한잔 건네드릴 수 있기를.
    건강. 건강. 건강.
    다시 한번 건강
    선배님들 따라갑니다 힘내고 계십셔
    두부두부
    마흔 여기 있습니다.

    물질적으로는 부족함 없는 마흔을 보내고 있는데. 저에게 마흔은 참으로 어려운거 같습니다.
    올해, 아버지가 돌아가셨거든요

    전 참 저에게.. 사람에게 관심 없는 잉여같은 삶을 살고 있다 느꼈는데.. 큰 격변을 겪고 나니
    내가 이렇게 많은 감정을 느끼고 사람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사람인지 몰랐습니다. 나이 마흔인데도..

    그래서 모난 것이 좀 깎이는 그런 마흔으로 기억될 것 같습니다.
    2
    bullfrog
    저도 곧 아버지의 임종을 지켜봐야 하는 지라, 정말 남 일이 아닌 것이 온 몸으로 느껴집니다. 나이 마흔에 누가 불혹이라 하나요. 한 없이 흔들립니다....
    과객A
    40대 중반을 향해 달려가는 아재입니다.
    ...그냥 20대, 30대가 지나갈때처럼 하릴없이 지나갑니다. ㅋㅋㅋㅋ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90 7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4 + 흑마법사 25/04/22 189 13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563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12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682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62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63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58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 kaestro 25/04/19 703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36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12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5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40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54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51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80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69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85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46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42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55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78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47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607 11
    15376 일상/생각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3 셀레네 25/04/10 907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