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3/01 16:23:14 |
Name | 은머리 |
Subject | 죽음으로 향하는 펭귄 |
제가 좋아하는 펭귄다큐의 아주 짧은 일부예요. 저도 딱 요부분만 봤어요. 펭귄은 거대집단(colony)을 형성하고 살고 바닷가에 서식해야지만 먹이를 얻을 수가 있어요. 개중 정신이 온전치 못한 펭귄 한 마리가 무리가 있는 바닷가가 아니라 광활한 대지로 수십킬로 이상 혼자 나아가고 있어요. 눈 덮힌 평야를 오천킬로 가로지르면 눈 덮힌 산이 있을 뿐. 죽음이 기다리는 길을 고집스럽게 나아가는 펭귄의 모습입니다. 음악과 대사가 극적효과를 더해서 단편영화 뺨치는 비장함, 어떤 강한 감성을 불러일으켜요. 발번역 주의. https://youtu.be/zWH_9VRWn8Y Penguin, Depressed... 나레이터 : 펭귄이 미친다고나 할까 집단생활에 염증을 느끼고 광기를 보이는 경우도 있나요. 펭귄박사 : 펭귄이 미쳐서 바위에 자기 머리를 치거나 하는 걸 본 적은 없지만 방향감각을 잃고 바닷가를 한참 벗어난 위험한 곳에 이르기도 합니다. 나레이터 : These penguins are all heading to the open water to the right. [이 펭귄들은 바다가 있는 오른쪽방향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But one of them caught our eye. [그런데 한 녀석이 눈에 띕니다.] The one in the center [가운데 있는 녀석입니다.] He would neither go towards the feeding grounds at the edge of the ice nor return to the colony. [녀석은 양식이 있는 빙하 끄트머리로 향하지도 않고 동족들에게 돌아가지도 않습니다.] Shortly afterwards, we saw him heading straight towards the mountains some 70 kilometers away. [곧 녀석이 70여 킬로미터나 떨어져 있는 산간방향으로 걸어가는 것이 보였습니다.] Dr. ?? explained even if you caught him and brought him back to the colony, he would immediately head right back to the mountains. [펭귄박사는 말하길, 우리가 녀석을 잡아다 무리에 데려다 주어도 바로 산으로 방향을 틀어서 나아간다고 합니다.] But why. [왜 그러는 걸까요.] One of this disoriented or deranged penguins showed up at the New Harbor Diving Camp already some 80 kilometers away from where it should be. [그런 펭귄 한 녀석이 이미 바닷가에서 80킬로미터나 떨어져 있는 뉴하버 다이빙 캠프에 나타났습니다.] The rules for the humans are do not disturb or hold up the penguin stand still and let him go on his way. [이 경우 인간이 지켜야 할 규정이란 '결코 방해하거나 잡지 말 것, 가만히 서서 펭귄이 갈 길을 가게 내버려 둘 것'입니다.] And here he's heading onto the interior of the vast continent with 5000 kilometers ahead of him. [그리고 지금 녀석은 자기 앞으로 오천킬로미터나 펼쳐져 있는 광활한 내륙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He's heading towards a certain death. [죽음을 향해 가고 있는 것입니다.]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은머리님의 최근 게시물
|
존 쿳시가 쓴 <동물로 산다는 것>이란 소설이 생각났어요. 매우 급진적인 동물보호권을 주장하는 교수 엘리자베스가 등장하거든요. 강연에서 이런 말을 해요. 과학자들이 침팬지가 도구를 사용하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바나나를 천장에 매달아 놓고 실험실 안에 의자도 두었다가 치웠다가 등의 실험을 해요. 침팬지가 영리하게 바나나를 획득해서 먹으면 도구를 이용할 줄 아는 침팬지의 지적 능력은 높게 기록되고요. 엘리자베스는 이런 말을 해요. 동물들에게 인간을 투영시켜 해석한 그들의 행동은 단지 바나나를 먹기 위해 얼만큼의 지능을 발휘... 더 보기
존 쿳시가 쓴 <동물로 산다는 것>이란 소설이 생각났어요. 매우 급진적인 동물보호권을 주장하는 교수 엘리자베스가 등장하거든요. 강연에서 이런 말을 해요. 과학자들이 침팬지가 도구를 사용하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바나나를 천장에 매달아 놓고 실험실 안에 의자도 두었다가 치웠다가 등의 실험을 해요. 침팬지가 영리하게 바나나를 획득해서 먹으면 도구를 이용할 줄 아는 침팬지의 지적 능력은 높게 기록되고요. 엘리자베스는 이런 말을 해요. 동물들에게 인간을 투영시켜 해석한 그들의 행동은 단지 바나나를 먹기 위해 얼만큼의 지능을 발휘할 수 있냐는 거였지만 정작 그들은 판이하게 다른 사고를 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요. '난 이미 바나나를 몇 개나 먹었고 더 이상 먹고 싶은 생각도 없는데 제게 원하는 것이 무엇이지요? 아무래도 내가 바나나를 더 먹길 원하는 것 같아요. 그걸 간절히 바라는 것 같아요. 알았어요. 하나 더 먹을게요' 이렇게요. 이거 재밌죠.
이 인간이 어떤 인간인가 보려면...
https://www.youtube.com/watch?v=H-WT0w-kIbI
워낙에 다양한 이야기가 있는 인물이기도 해요. 누가 영화를 완성하면 자기 신발을 먹겠다고 했다가, 그가 영화를 완성하자 공개적으로 신발을 요리해서 먹었다던가... 클라우스 킨스키와의 관계는 워낙에 유명하고요.
https://www.youtube.com/watch?v=H-WT0w-kIbI
The 10 Most Insane Direction Decisions by Werner Herzog
워낙에 다양한 이야기가 있는 인물이기도 해요. 누가 영화를 완성하면 자기 신발을 먹겠다고 했다가, 그가 영화를 완성하자 공개적으로 신발을 요리해서 먹었다던가... 클라우스 킨스키와의 관계는 워낙에 유명하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