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8/03 09:57:03 |
Name | Jasonmraz |
Subject | [단상] 희한하다 |
1. 희한하다는 형용사가 있습니다. 뜻은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로 처음 본 물건, 경험해보지 못한 일들, 예상 밖의 현상들에 사용되는 어휘입니다. 굉장히 ‘주관적’인 단어가 아닐 수 없습니다. 스스로 겪어보지 못한 일의 반응으로 나오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2. 오늘날 희한하다는 말은 정말 많이 쓰입니다. 상품을 만드는 기업들이 소비자들이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제품을 만들어 판매할 때 이 단어가 등장합니다. 우리가 생각지 못한 것들을 작품으로 만드는 예술가들의 결과물에도 이 단어가 사용됩니다. 정치인들의 이해하지 못할 행동들, 독특한 사회 현상들에 끊임없이 쓰이는 단어지요. 많이 쓰이는 어휘임에도 불구하고, '과연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 단어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한 사람의 입술에서 희한하다는 말이 나오는 상황들을 보고 느낀 것입니다. 3. 나이가 지긋하신 한 친척분이 계십니다. 위에 적힌 희한하다는 말은 하루에도 수십 번씩 하시는 분입니다. 많은 세월이 흐르고 그 세월이 흐르는 동안 경험했던 많은 사건들. 그 사건들에 무관하게 희한하다는 말을 참 많이 쓰시더군요. 아침 식사를 할 때, 본인과 다른 메뉴로 먹는 저를 보고 희한하다 하고, 제가 읽는 여러 책을 제목만 보고 희한하다 하고, 사용하는 물건들에 대해 희한하다고 이야기합니다. 그 외에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일이 풀리지 않을 때, 자신의 의견과 대립되는 상황에도 희한하다는 말을 사용 하십니다. 결코 ‘드물거나 신기한’ 현상을 가지고 이야기하지 않으십니다. 오랜 시간이 흘러 만들어진 본인의 틀에 맞지 않은 행동들을 보고 희한하다고 이야기하십니다. 처음에는 왜 이런 상황에서 이 문장을 쓰는 건가? 싶었지만 이젠 그러려니 합니다. 그분의 주관에서는 제가 하는 많은 행동, 사용하는 많은 물건이 다르게 보일 수 있겠구나 싶어 이젠 수긍합니다. 4. 결론적으로 그분에게 있어 저는 참 희한한 사람입니다. 기분 나쁘다거나 짜증 난다는 감정은 초반에 들었지만, 지금은 많이 가라앉았습니다.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해버리면 되니까요. 그러나 저는 그렇게 희한하지 않습니다. 어른들보다 스마트폰을 좀 더 잘 사용하고, 요즘 시대의 사회, 문화 현상에 영향을 받으며, 평범하게 삶을 걸어가는 한 청년에 불과합니다. 5. 위에서 말했듯이 희한하다는 말은 정말 많이 쓰입니다. 올바르게 쓰이는 상황도 존재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 쓰이는 단어는 참 어색한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참 쉽게 이야기하지만, 과연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 단어가 얼마나 될까 고민해본 시간이었습니다. 6. 사실 열 받아서 쓴 글이지만 적으면서 뭔가...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Jasonmraz님의 최근 게시물
|
평평하고 푹신한 어린이집 놀이터에서 넘어지는 것과
주취자가 난동을 부려 바닥에 깨진 술병조각이 널부러진 곳에서 넘어지는 것이
그 데미지와, 넘어질 확률이 다르듯
사회가 다름을 충분히 존중하고 대화와 토론이 되는 사회에서의 희한하다와
지금의 희한하다가 다르게 쓰이고, 다르게 들리는게 유사한 부분이 있지 않나.. 싶네요.
그 어르신도 악의는 없었을 거에요.
그래서 사실 더 무섭다면 무섭고 슬프다면 슬프고 답답하다면 답답할 수도 있죠.
뭐.. 저야 그런 곳(이성과 건전한 상식보다는 습관과 직관, 그리고 관습이 존재... 더 보기
주취자가 난동을 부려 바닥에 깨진 술병조각이 널부러진 곳에서 넘어지는 것이
그 데미지와, 넘어질 확률이 다르듯
사회가 다름을 충분히 존중하고 대화와 토론이 되는 사회에서의 희한하다와
지금의 희한하다가 다르게 쓰이고, 다르게 들리는게 유사한 부분이 있지 않나.. 싶네요.
그 어르신도 악의는 없었을 거에요.
그래서 사실 더 무섭다면 무섭고 슬프다면 슬프고 답답하다면 답답할 수도 있죠.
뭐.. 저야 그런 곳(이성과 건전한 상식보다는 습관과 직관, 그리고 관습이 존재... 더 보기
평평하고 푹신한 어린이집 놀이터에서 넘어지는 것과
주취자가 난동을 부려 바닥에 깨진 술병조각이 널부러진 곳에서 넘어지는 것이
그 데미지와, 넘어질 확률이 다르듯
사회가 다름을 충분히 존중하고 대화와 토론이 되는 사회에서의 희한하다와
지금의 희한하다가 다르게 쓰이고, 다르게 들리는게 유사한 부분이 있지 않나.. 싶네요.
그 어르신도 악의는 없었을 거에요.
그래서 사실 더 무섭다면 무섭고 슬프다면 슬프고 답답하다면 답답할 수도 있죠.
뭐.. 저야 그런 곳(이성과 건전한 상식보다는 습관과 직관, 그리고 관습이 존재하는 오프라인)에 맞춰져있어서
그러려니 하긴 하지만서도;;;
주취자가 난동을 부려 바닥에 깨진 술병조각이 널부러진 곳에서 넘어지는 것이
그 데미지와, 넘어질 확률이 다르듯
사회가 다름을 충분히 존중하고 대화와 토론이 되는 사회에서의 희한하다와
지금의 희한하다가 다르게 쓰이고, 다르게 들리는게 유사한 부분이 있지 않나.. 싶네요.
그 어르신도 악의는 없었을 거에요.
그래서 사실 더 무섭다면 무섭고 슬프다면 슬프고 답답하다면 답답할 수도 있죠.
뭐.. 저야 그런 곳(이성과 건전한 상식보다는 습관과 직관, 그리고 관습이 존재하는 오프라인)에 맞춰져있어서
그러려니 하긴 하지만서도;;;
일상적으로 신기하고 드물다는 말을 쓰려는데 숫자 세어보고 통계 자료 참조하고 그렇게 엄격하게 사는 사람은 별로 없으니까요. 말씀하신 대로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는 건데, 아마 그분이 평생에 걸쳐 만들어온 세계관에서는 지금 젊은이들이 많이 하는 일이라도 여전히 드물고 신기하게 여겨지시는 것 아닐까 싶네요.
그냥 저도 제 잡담 하나 덧붙이자면, 엄밀한 의미를 일일히 구별하고 내뱉는 단어 하나하나마다 책임질 수 있는 말만 하고 사는 건 너무 버거운 것 같아요. 국어학, 언어학을 공부하던 철없던 학부생 시절, 뛰어난 학자셨던 교수님이... 더 보기
그냥 저도 제 잡담 하나 덧붙이자면, 엄밀한 의미를 일일히 구별하고 내뱉는 단어 하나하나마다 책임질 수 있는 말만 하고 사는 건 너무 버거운 것 같아요. 국어학, 언어학을 공부하던 철없던 학부생 시절, 뛰어난 학자셨던 교수님이... 더 보기
일상적으로 신기하고 드물다는 말을 쓰려는데 숫자 세어보고 통계 자료 참조하고 그렇게 엄격하게 사는 사람은 별로 없으니까요. 말씀하신 대로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는 건데, 아마 그분이 평생에 걸쳐 만들어온 세계관에서는 지금 젊은이들이 많이 하는 일이라도 여전히 드물고 신기하게 여겨지시는 것 아닐까 싶네요.
그냥 저도 제 잡담 하나 덧붙이자면, 엄밀한 의미를 일일히 구별하고 내뱉는 단어 하나하나마다 책임질 수 있는 말만 하고 사는 건 너무 버거운 것 같아요. 국어학, 언어학을 공부하던 철없던 학부생 시절, 뛰어난 학자셨던 교수님이 학문의 길을 간다는 건 그런 일이라고 하셨었는데 제가 그걸 할 만큼 책임감이 강하질 못해서 공부를 그만두게 된 것 같아요. 요즘은 인터넷도 무서워서 이 댓글 다는 것도 제가 책임질 수 있는 말인지 몇 번을 돌아보게 되네요.
그냥 저도 제 잡담 하나 덧붙이자면, 엄밀한 의미를 일일히 구별하고 내뱉는 단어 하나하나마다 책임질 수 있는 말만 하고 사는 건 너무 버거운 것 같아요. 국어학, 언어학을 공부하던 철없던 학부생 시절, 뛰어난 학자셨던 교수님이 학문의 길을 간다는 건 그런 일이라고 하셨었는데 제가 그걸 할 만큼 책임감이 강하질 못해서 공부를 그만두게 된 것 같아요. 요즘은 인터넷도 무서워서 이 댓글 다는 것도 제가 책임질 수 있는 말인지 몇 번을 돌아보게 되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