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7/13 10:04:11수정됨
Name   에메트셀크
Subject   밀레니엄 시리즈 1부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감상
재밌다.
흡입력이 엄청난 소설이다.
장편소설임에도 지루한 구간 없이 몰입해서 읽은 건 오랜만이다.


이 작품은 총 3부작 시리즈 중 1부인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에 해당한다.

부도덕한 기업에 대한 기사를 썼다가 법정 싸움에서 패소한 기자 '미카엘 블롬크비스트'은
그 일로 인해 경제적 궁지에 몰리게 된다.
그러던 중, 대기업 가문인 방예르 가문에 얽힌 미스터리를 풀어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그 미스터리는 수십 년 전 실종된 한 소녀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었다.
조사를 진행하던 미카엘은 해커 '리스베트 살란데르'와 만나 함께 사건을 추적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스웨덴 대기업 가문인 방예르 가문의 추악한 진실이 드러나고
커져가는 위험 속에서 진실에 다가서며 사건을 해결해 나간다.
여기까지가 1부의 이야기다.

이 소설을 읽게 된 계기는 작품 그 자체보다는 작가인 '스티그 라르손'에 대한 관심 때문이다.
그는 스웨덴의 언론인이자 반극우운동가로 뜻이 통하는 친구들과 expo라는 잡지를 공동으로 창간했다. ( https://expo.se/ )
그가 평생에 걸쳐서 인종주의자, 극우주의자와 싸웠던 내용을 밀레니엄 시리즈에 녹여낸 듯 하다.
하지만 그는 정작 자신의 책이 출간되는 모습을 보지 못했다.
3부까지의 원고를 출판사에 제출한 후 2004년 50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심장마비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소설을 읽어보면 소설의 양대 주인공 중 한명인 '미카엘 블롬크비스트'는 작가의 오너캐(자전적 캐릭터)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서 보면 '리스베트 살란데르'도 작가의 오너캐 같다.

살다보니 어느 순간 깨달은게 있는데, '실제의 나'와 '되고자 하는 나'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다.
아마도 '미카엘 블롬크비스트'는 작가가 생각하는 '실제의 나'이고
'리스베트 살란데르'는 '되고자 하는 나'였던 것 같다.

작가는 15살 때 소녀가 윤간 당하는 것을 목격했지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며칠 후 죄책감이 시달린 15살의 작가는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했지만 피해자는 그것을 거부했다.
그 소녀의 이름이 리스베트였고, 그 이름이 훗날 밀레니엄 시리즈의 '리스베트 살란데르'의 이름이 된다.
( https://abcnews.go.com/Entertainment/stieg-larsson-guilt-gang-rape-lisbeth-fueled-millennium/story?id=11324859&utm_source=chatgpt.com )

'리스베트 살란데르'는 작품 속에서 사회 시스템을 신뢰하지 않고, 법 위에 존재하는 자신만의 윤리를 지닌 채 법을 초월한 행동력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행동하지 못했던 과거에 대한 후회와 기자로서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했던 작가가 꿈꾼 '되고자 하는 나'가 바로 '리스베트 살란데르'인것이다.


작가의 숨은 이야기도 흥미롭지만, 책 자체가 워낙 재미있어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단 3부까지만.

작가 사후에도 씁쓸한 뒷이야기가 있다.
생전에 사이가 좋지 않았던 작가의 아버지와 형제가 밀레니엄 시리즈의 법적 판권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들은 다른 작가를 고용해 4부, 5부, 6부를 출간했다.



0


    다마고
    데이빗 핀처 감독의 2011년 미국판 영화만 보았습니다. 상당히 잘 만든 영화라는 느낌과 동시에 씁쓸하고 찝찝한 감정이 오래 남아 소설까지 읽지는 못했네요. 북유럽에 대한 환상도 확 깨지는 기분이었지요.

    일본에 '이야미스'라는 장르가 있는데, 거기에 포함되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골든햄스
    헉 다들 느낌이 되게 다르시구나
    저는 제가 외면, 방관받은 소수자 그야말로 리즈베트라서
    너무 이입하며 읽었고 실제로 비슷한 면도 많았어요
    특히 3부는 너무 감동이었어요 모두가 사회의 사각지대에 있는 리즈베트를 위해 힘을 모으는 장면요
    죄책감에 쓴 글이라 실제 일어난 일과는 오히려 반대지만.. 그러게요 ㅎㅎ 그래도 제겐 힘이 된 글이었어요
    리즈베트와 아버지의 관계나 학창시절 모습 등등이 너무 리얼했어요
    1부 방예르 가문 얘기도 뭐 저런 집 있을 수 있지 싶었고
    1
    영원한초보
    영화속 여성 케릭터 중 제일 멋진 케릭터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사연이 있었군요
    이건마치
    스웨덴판을 보았고 에이리언의 시고니위버를 단번에 제치고 내 안의 통쾌한여성 1등을 한 캐릭터입니다. 통쾌부문이긴 하지만 남자가 쓴 여성이 1등이라니 자괴감을 남겨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613 도서/문학『마담 보바리』에서의 '나비'의 이미지 막셀 25/07/14 306 1
    15611 도서/문학뉴욕타임스 칼럼 "소설이 중요했던 시절" - chatGPT 번역 3 막셀 25/07/14 550 5
    15609 도서/문학밀레니엄 시리즈 1부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감상 4 에메트셀크 25/07/13 766 0
    15590 도서/문학『경험의 멸종』 - 실패, 기다림, 관용에 대한 단상 9 kaestro 25/07/10 594 15
    15581 도서/문학체어샷 감상 2 에메트셀크 25/07/05 689 2
    15565 도서/문학또래 소설가들의 소설을 안 읽은 지 오래 되었다. 20 골든햄스 25/06/30 1468 8
    15521 도서/문학장르소설은 문학인가? - 문학성에 대한 소고 25 meson 25/06/14 1225 12
    15494 도서/문학(마감) 그림책 나눔합니다 27 왕킹냥 25/06/04 911 18
    15452 도서/문학다영이, 데이지, 우리 - 커뮤니티 런칭! (오늘 밤) 2 김비버 25/05/22 1171 5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1406 6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1 알료사 25/04/28 986 3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1 에메트셀크 25/04/27 990 5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966 6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1128 10
    15336 도서/문학[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1132 9
    15287 도서/문학[추천]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 4 moqq 25/02/28 1269 6
    15271 도서/문학「비내리는 시나카와역」, 「우산 받은 요꼬하마의 부두」 6 피터 오툴 25/02/16 1529 6
    15256 도서/문학『눈물을 마시는 새』 재론 - 눈부시게 잔혹한 이야기 meson 25/02/08 1180 7
    15225 도서/문학사람의 내면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기분, 기욤뮈소 데뷔 20주년 기념작 <미로 속 아이> 1 인생살이 25/01/21 1574 2
    15201 도서/문학'압도감'으로 정렬해본 만화 300선 25 심해냉장고 25/01/11 2818 10
    15199 도서/문학만화책 티어리스트 500종(중에 안본게 대부분인) 33 kaestro 25/01/10 2289 1
    15175 도서/문학마르크스가 본 1848년부터 1851년까지의 프랑스 정치사 3 카페인 24/12/30 1634 6
    15168 도서/문학밀란 쿤데라가 보는 탄핵정국 sisyphus 24/12/28 1543 1
    15151 도서/문학24년도 새로 본 만화책 모음 6 kaestro 24/12/23 1644 5
    15133 도서/문학소설 읽기의 체험 - 오르한 파묵의 <소설과 소설가>를 중심으로 5 yanaros 24/12/18 1437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