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5/06/30 00:15:01 |
Name | 골든햄스 |
Subject | 또래 소설가들의 소설을 안 읽은 지 오래 되었다. |
사람들이 극찬하곤 하던 단편집 <비행운>에서는 슬픈 사연이 있는 청소노동자 할머니가 어떤 젊은 여자가 버리고 간 프랑스 마카롱을 먹으며 그 달콤함에 감탄하는 장면이 나온다. 나는, 왠지, 그 장면이, 존나게, 싫었다. 그외에도 또래들의 소설이 읽히지가 않는다. 성폭행과 직장 내 괴롭힘과 가족 내 학대와 왕따와 자살, 조현증 없는 소설이 읽히지 않는다. 무엇 무엇 때문에 그리 힘들다는데 정확히 한 페이지를 넘기면 기억이 안 난다. 언제부턴가 나는 유독 슬픈 얼굴로, 누가 물건을 판매하면 그냥 그대로 사버리는 사람들이 제일 기억에 남는다. 그 사람들은 무엇에 저항할 힘조차 없어서 권하면 권하는 대로 물건들을 사버린다. 부동산 얘기로 모두가 들썩인다. 이쯤이면 부동산 소설이 그나마 읽기에 나을 거 같긴 하니 나중에 한번 찾아봐야겠다. 빵과 프랑스, 도쿄 이야기 따위는 정말 질렸다. 그랬더니 이제는 SF 레즈비언이라니. 날 농락하고 있다. 정관 묶은 장강명 커플의 별 거 없는 신혼여행 이야기도 시시하다. 인터넷 친구들은 오늘도 부지런히 밈(meme)을 생산하고 있다. 아무리 현실 친구 많고 인싸인 사람도, 밈 얘기하면 푸흡 입술을 누른다. 다들 보고 있는 작가는 오히려 그쪽인가 싶다. 근데 거기에도 언제 내가 보고 싶은 얘기는 없다. X세대 아저씨들의 지나간 청춘 이야기는 정말로 지겹다. 자본주의 비판도 한물 갔다. 아. 그냥 내가 한물 갔다.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골든햄스님의 최근 게시물
|
레즈비언 이야기는 있었나 없었나 기억이 안납니다.. 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괜찮았던 건 스텔라 오디세이 트릴로지 정도.. 만 기억나네요.
햄스님의 또래작가들은 누구일까 하고 들어왔는데 웬 원로들입니까.. ㅋㅋ 홍차넷 첫 정모때 댓글부대 이야기 하던 추억이 떠오르는군요.. 시선을 자기 안으로 돌리면 내 안의 역사에서 나새기는 언제나 첨단입니다.. 맨날 새롭게 (금지어)같아서 놀라움..
아 대놓고 그 90년대생 작가 이름을 언급하긴 그래서..
그건 너무 특정돼서.. 근데 그냥 요즘 .. 젊은 작가들 글 자체가 다 이해가 안 돼요
유튜브도 트위터도 스레드도 인스타도 이해 안 돼요
저 좀 뭔가 유행에 완전 뒤처지는 느낌이 들어서
일부러 읽으려고도 하거든요
그건 너무 특정돼서.. 근데 그냥 요즘 .. 젊은 작가들 글 자체가 다 이해가 안 돼요
유튜브도 트위터도 스레드도 인스타도 이해 안 돼요
저 좀 뭔가 유행에 완전 뒤처지는 느낌이 들어서
일부러 읽으려고도 하거든요
이해 될 것들이라면 언젠가 자연히 될 때가 있을겁니다. 방금 탐라 읽었는데 그 호러 초콜릿 좋군요. 그걸 먼저 클리어 하시죠 화이팅입니도.. !
'책을 낸 사람'과 '작가'라는 타이틀이 과연 같은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한 의문이 드는 시대이긴 하죠...
최근 제 또래 작가 중에는 김금희의 '대온실 수리 보고서'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무엇보다 충실한 자료조사의 힘이 느껴지는 소설이었어요.
최근 제 또래 작가 중에는 김금희의 '대온실 수리 보고서'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무엇보다 충실한 자료조사의 힘이 느껴지는 소설이었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