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4/01/25 12:39:33 |
Name | 덕후나이트 |
Subject | 고해성사 하나 하고 가겠습니다. |
지금 2달 넘게 고민하는 것이 있습니다. 저는 지난 11월에...지갑을 소매치기 당했습니다. 그안에 카드도 있어서 이후 현금 쓰면서 살았는데요. 일 끝나고 집으로 올때 태어나서 처음으로 택시를 불러봤습니다.(제가 외국 사는데 한국하곤 달리 택시가 도로에 돌아다니지 않고, 불러야만 옵니다. 그동안 버스, 지하철만 타고 다녔는데 그냥 불러봤네요.) 근데 전화했을 때 제가 "현금도 받나요?" 라고 물었거든요? 근데 그쪽에서 뭐라고 말하고 바로 끊더군요...뭐라 했는지는 잘 못들었습니다ㅠㅠ 그래서 "혹시 택시 안 오는거 아냐?" 라고 걱정되어서 폰에 우버 앱 깔고, 페이팔 연동해서 불렀습니다. 근데 우버가 먼저 와서 타고 집 가는데, 전화 울리더군요. 받아보니 아까 부른 택시 기사님... 얘기가 길어졌는데, 아무튼 그 택시 기사분은 저 때문에 허탕치셨고, 기름 값만 날리셨네요... 이것 때문에 택시 본부(?) 찾아가서 환불이나 피해액을 내야 하나 2달 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쪽에서 먼저 요구하진 않았지만... 근데 거기 찾아가면 그 회사가 혹시 절 고소하진 않을까, 혹은 저한테 한국 돈으로 수십만원 이상의 큰 돈을 요구하진 않을까 걱정되어서 못 찾아갔습니다... 근데 내일 그냥 가려고요. 죽이 되든 밥이 되든...그동안 고민했는데, 마음이 잡아지지 않아서...홍차넷에 쓰고 나면 억지로라도 가게 될까 싶어서 글 적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덕후나이트님의 최근 게시물
|
이게 그 다른 얘기일수도 있는데 맞는 얘기일수도 있읍니다.
부모님이 맞벌이하는 유치원에 아이를 픽업해야하는 제한시간이 있는 겁니다.
그리고 부모는 무적권 그 시간안에 픽업을 하게끔 되어있는겁니다.
그런데 원장이 부모들이 자꾸 늦으니까 픽업을 제시간에 하는 것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한시간당 만원씩 지각비를 받기 시작하면
거꾸로 맞벌이 하는 부모들의 지각률이 폭증하기 시작하고
심지어는 외벌이하는 부모들도 지각을 하기 시작하는데
지각비를 내면서도 되려 미안해하지 않고 당당해집니다.
지각비가 없던 시절에는 사람들이 '미... 더 보기
부모님이 맞벌이하는 유치원에 아이를 픽업해야하는 제한시간이 있는 겁니다.
그리고 부모는 무적권 그 시간안에 픽업을 하게끔 되어있는겁니다.
그런데 원장이 부모들이 자꾸 늦으니까 픽업을 제시간에 하는 것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한시간당 만원씩 지각비를 받기 시작하면
거꾸로 맞벌이 하는 부모들의 지각률이 폭증하기 시작하고
심지어는 외벌이하는 부모들도 지각을 하기 시작하는데
지각비를 내면서도 되려 미안해하지 않고 당당해집니다.
지각비가 없던 시절에는 사람들이 '미... 더 보기
이게 그 다른 얘기일수도 있는데 맞는 얘기일수도 있읍니다.
부모님이 맞벌이하는 유치원에 아이를 픽업해야하는 제한시간이 있는 겁니다.
그리고 부모는 무적권 그 시간안에 픽업을 하게끔 되어있는겁니다.
그런데 원장이 부모들이 자꾸 늦으니까 픽업을 제시간에 하는 것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한시간당 만원씩 지각비를 받기 시작하면
거꾸로 맞벌이 하는 부모들의 지각률이 폭증하기 시작하고
심지어는 외벌이하는 부모들도 지각을 하기 시작하는데
지각비를 내면서도 되려 미안해하지 않고 당당해집니다.
지각비가 없던 시절에는 사람들이 '미안해함'을 지불하고 아이를 늦게 데려가야 했던 것인데
지각비가 생기고 나면 사람들이 더이상 '미안해함'을 지불하고 싶어하지 않게 되는것이고
지각을 하고도 오히려 당당해지는 이유는 이제는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그게 마치 사용료처럼 인식되어버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회가 그리고 그 대체로 어느나라가 되었건 간에
'미안해함'을 '돈몇푼'보다 더 비싸게 쳐주고 고마워하는 경향이 있읍니다.
돈으로 사과하려고 하지 마시고 뭐 간단한 선물이라도 챙겨 주시는게 좋고
그리고 사실은 선물 같은걸 챙겨주실 필요도 없습니다.
다음에 택시 이용하실때 그 택시 회사 다시 불러주시고
꼭 그 택시 기사분이 아니시더라도
이번에 이용하게된 택시 기사님께
'내가 지난번에는 이런이런 미안한일이 있었다 많이 미안했었다.
그래서라도 이 회사에 다시 전화해서 택시를 다시 불렀다'라고
말씀해주시기만 하면 그 '미안해함'으로 지불하게 되는 것이 되고
그게 더 비싸게 인식될뿐 아니라 사람들도 훨씬 더 좋아한다고 그럽니다.
아마도 비슷할것 같아요.
택시기사 입장에서도 그걸 돈으로 받기보다
'미안해함'을 채무로 넘기고 갔다고 생각하실수도 있고 머 그러합니다. ㅋㅋ
부모님이 맞벌이하는 유치원에 아이를 픽업해야하는 제한시간이 있는 겁니다.
그리고 부모는 무적권 그 시간안에 픽업을 하게끔 되어있는겁니다.
그런데 원장이 부모들이 자꾸 늦으니까 픽업을 제시간에 하는 것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한시간당 만원씩 지각비를 받기 시작하면
거꾸로 맞벌이 하는 부모들의 지각률이 폭증하기 시작하고
심지어는 외벌이하는 부모들도 지각을 하기 시작하는데
지각비를 내면서도 되려 미안해하지 않고 당당해집니다.
지각비가 없던 시절에는 사람들이 '미안해함'을 지불하고 아이를 늦게 데려가야 했던 것인데
지각비가 생기고 나면 사람들이 더이상 '미안해함'을 지불하고 싶어하지 않게 되는것이고
지각을 하고도 오히려 당당해지는 이유는 이제는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그게 마치 사용료처럼 인식되어버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회가 그리고 그 대체로 어느나라가 되었건 간에
'미안해함'을 '돈몇푼'보다 더 비싸게 쳐주고 고마워하는 경향이 있읍니다.
돈으로 사과하려고 하지 마시고 뭐 간단한 선물이라도 챙겨 주시는게 좋고
그리고 사실은 선물 같은걸 챙겨주실 필요도 없습니다.
다음에 택시 이용하실때 그 택시 회사 다시 불러주시고
꼭 그 택시 기사분이 아니시더라도
이번에 이용하게된 택시 기사님께
'내가 지난번에는 이런이런 미안한일이 있었다 많이 미안했었다.
그래서라도 이 회사에 다시 전화해서 택시를 다시 불렀다'라고
말씀해주시기만 하면 그 '미안해함'으로 지불하게 되는 것이 되고
그게 더 비싸게 인식될뿐 아니라 사람들도 훨씬 더 좋아한다고 그럽니다.
아마도 비슷할것 같아요.
택시기사 입장에서도 그걸 돈으로 받기보다
'미안해함'을 채무로 넘기고 갔다고 생각하실수도 있고 머 그러합니다. ㅋㅋ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