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9/04/04 13:06:20수정됨 |
Name | 메아리 |
Subject | 서평 『가나』 – 정용준 |
정용준, 1981년생, 2009년 현대문학 「굿나잇 오블로」로 등단, 대표작 「떠떠떠, 떠」 , 「가나」. 이 단편소설집 중에서 가장 인상 깊은 두 작품은 「떠떠떠, 떠」와 「벽」이다. 「떠떠떠, 떠」는 말더듬이와 간질 발작 환자의 사랑이야기다. 어릴 때부터 말더듬이 심했던 주인공은 그 열등감 속에서 힘겹게 살아간다. 초등학교 시절, 간질 발작으로 쓰러졌던 여자 동창을 놀이 공원에서 동물 탈을 쓴 캐릭터 분장을 하고 만난다. 그 여자애는 팬더, 주인공은 사자다. 주인공은 여전히 말을 못하고 여자애는 가끔 발작을 한다. 발작을 할 때마다 그녀는 탈을 뒤집어쓰고 자신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은 전혀 고통스럽지 않다고 그냥 깊은 잠에 빠지는 거라고 말한다. 제발 불쌍한 표정으로 그걸 보고 있지 말아달라고 한다. 둘은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그녀가 발작에 빠지고 주인공이 그걸 보며 괴로워한다. 어떻게 저 표정이 고통스럽지 않단 말인가, 하며 그녀의 고통에 동조한다. 그리고 발작에 빠진 그녀를 향해 말한다. “떠떠떠, 떠, 사, 사라, 사랑해.” 「벽」은 노숙자들이 납치되어 서해의 외딴 고도 염전에서 강제 노역을 하는 모습을 그린 소설이다. 주인공은 어떤 사람들의 꼬임에 넘어가 염전에 팔린다. 염전의 지배집단은 그들의 한쪽 발목을 잘라 도망가지 못하게 하고 일하는 중에 한 마디 말도 하지 못하게 한다. 그것을 어길 시에는 무자비한 폭력을 가하며 일꾼들을 통제한다. 그런데 원래 일꾼이었다가 반장이 되는 사람들이 있다. 반장5도 그런 사람이다. 지배 집단은 반장 후보들로 하여금 일꾼들을 때려죽이게 하여 공범으로 만들어 그들의 수족으로 부린다. 그리고 그렇게 죽은 시체들을 얼려 벽을 만든다. 하지만 일꾼9는 그런 수작에 넘어가지 않다가 맞아 죽는다. 주인공 21은 그런 9를 때려죽이고 반장이 된다. 그리고 뒤로 들어오는 일꾼들에게 무시무시한 폭력을 가한다. 아픔을 가진 이들은 쉽게 가까워진다. 그것은 아픔이 연대감을 형성하는 매개가 되기 때문이다. 설령 그것이 같은 종류의 아픔이 아니라 하더라도 아픔은 우리로 하여금 연대를 쉽게 하도록 한다. 왜 그럴까? 아픔은 무엇이길래 우리의 연대를 가능하게 할까? 「벽」에서도 마찬가지의 모습이 보인다. 끌려온 노숙자들은 비록 말은 할 수 없지만 심정적 연대를 형성한다. 그런데 「떠떠떠, 떠」에서는 그 연대가 사랑으로 발전한 반면, 「벽」에서 그 연대는 깨지고 만다. 염전의 지배자는 그 연대를 깨기 위해 두 가지 수단을 사용한다. 하나는 공포이고, 만일 그것에 굴복하지 않는다면 상대적 쾌락을 제공해줌으로써 그 연대를 해체시킨다. 고통은 사람들을 뭉치게 하고 쾌락은 흩어지게 한다. 아픔은 역설적으로 타인에 대한 이해의 기회를 제공한다. 지금 현재 내가 아픔에 빠져 있다면 꿈도 꾸지 못할 일이지만, 아픔을 겪은 후에 다른 사람의 아픔을 보게 되면 내가 겪은 아픔이 내놓은 길을 따라 그 사람의 아픔을 이해할 기회를 만나게 된다. 타인을 이해하는 경험은 의외로 많은 것을 준다. 그것은 자의식의 단단한 껍질에 균열을 내어 세계로 향하는 문을 열어준다. 자의식이란 것이, 강하면 강할수록 연대에는 부정적이 된다. 연대하기 위해 아플 필요는 없다. 하지만 우리가 아픈 것이 필연이고, 그 아픔을 바탕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다면 마다할 필요 역시 없다. ‘아픔 = 연대’도 아니다. 아픔이 연대가 되기까지 거쳐야 하는 험난함이 있다. 그 험난함 뒤에 준비되어 있는 새로운 세계가 궁금한 이라면, 자신의 아픔을 쉬이 폐기하지 마라. 아픔을 통한 성찰이야 말로 세계를 향한 다른 입구일지도 모르니까.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아리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