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5/24 07:34:32
Name   그르니에
Subject   ‘좋아함’의 폭력성에 대하여
저는 사람들이 무엇인가를 ‘좋아한다’고 느낄 때 그 이면에 깔린 공격성은 늘 흥미롭습니다.

어떤 대상(정당, 아이돌, 스포츠팀 등)을 좋아하게 되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우리’라는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그들’을 구분해 내곤 합니다. 호감과 우월감은 ‘우리’에게, 반감과 열등감은 ‘그들’에게 투사됩니다. A팀과 B팀. 가정당과 나정당…처음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어서 호감이 생겼지만, 시간이 지나면 오히려 “좋아한다”는 감정이 그 이유를 만들어 냅니다.

특정한 계기로 애정이 식으면, 과거에 열렬히 지지했던 집단이나 대상이 오히려 강력한 ‘안티’의 대상이 되는 경우를 자주 봅니다. 단순히 100에서 0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100에서 -100으로 훅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이는 지지자가 ‘성역’처럼 여기는 가치를 건드리면서, 실망을 넘어 “나를 배신했다”는 도덕적 분노가 폭발하기 때문입니다. “내가 틀렸다”는 인정보다 “그가 나를 배신했다”는 비난이 훨씬 쉽고, 그래서 훨씬 날카롭습니다.

스포츠 팬이 자기 팀의 감독이나 선수를 거칠게 비난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검은 양 효과(black sheep effect)”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집단 구성원이 집단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경우, 같은 행동을 집단 외부인이 했을 때보다 훨씬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뜻합니다. “나는 강팀 팬”이라는 자부심과 “팀이 못한다”는 현실이 충돌하면, 불쾌감을 해소하기 위해 원인을 특정 개인(감독이나 선수)에게 돌리고 분노를 쏟아내는 일이 많습니다. 이는 결국,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심리적 방어 기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11
    이 게시판에 등록된 그르니에님의 최근 게시물


    '우리' 라는 정체성이 강한 그 무엇도 싫습니다.. 가족 국가 스포츠팀 자유대한민국수호 노동연대 환경단체 등등등. 물론 긍정적인 단체도 있고 사회에 필수요소이지만, 반골심리인지 극단적 개인주의자여서인지 모르겠지만 뇌 깊은곳에서부터 알러지반응이 막 올라옴. 학창시절에 그런 분류의 폭력속에 자살시도할만큼 고통받은 트라우마도 있겠죠. 제가 원하는 연대하고 서로를 돌보는 사회는 좀 더 자유롭고 유동적이면서 조용하지만 개개인의 신념은 강하고 비폭력적이고 소통과 충분한 대화를 통해 모두에게 수긍할만큼 좋은 답을 도출해내는 사회였으면 좋겠습니다. 아 유토피아군.
    2
    그르니에
    제가 모든 것을 알지는 못하지만 말씀하신 것으로 보았을 때, 칡님은 '우리'라는 정체성이 싫다기보다 '우리'의 개념이 범지구적이나 범인류적으로 좀 더 커서 그렇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저도 말씀하신 사회가 왔으면 참 좋겠습니다. 그런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소통과 충분한 대화를 하기 위해서 내가 이성적인 판단이라고 했던 이야기가 사실은 감정에서 만들어진 것은 아닌가 되돌아보고 인정하며 상대방의 감정을 보살피면 어떨까 하는 이유에서 쓰게 되었습니다.
    3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니 딱 그게 맞네요. 모두가 더더욱 편협해지는 세상이 갈수록 더 싫어지는 이유가 그거였네요
    2
    일리가 없지 않으나 지나친 일반화 아닐까요. 폭력성은 개인의 품성의 문제이며 특정한 상황에서 집단적으로 분출되는 경향이 없지 않으나 그럼에도 '우리'사회의 평온이 유지되는 것은 우월감과 열등감을 이성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평균적 이성을 가진 개개인의 총합이 우리 사회가 자정되도록 작용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는 지적하신 관점이나 문제가 제시된 것보다 심각하지 않다고 보는 입장이거나 과도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그르니에
    사회의 평온에 대해 합의가 필요해 보이는데요, 전 별로 평온해 보이지 않습니다.
    팬 커뮤니티나 SNS에 가면 “무엇을(누구를) 좋아한다”는 이야기보다 “무엇이(누가) 싫다”는 공격적 게시물이 더 눈에 띕니다. 물론 그 밑에 또 많은 공격적 댓글들이 달리죠. 혐오 발언과 증오 범죄는 전세계적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인종이나 젠더, 종교 영역이 있겠죠.

    전 이런 거부반응들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아무생각없이 이야기하던지, 이성적인 내용으로 말하려고 하지만
    그 출발선에는 어떤 것에 대한 호불호가 이유가 될 수 있다, 즉 감정적이고 비논리적인 부분을 무시할 수 없는 점을 인식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키티호크
    커뮤니티나 Sns에서 씌어진 글들에 예민할 필요없습니다. 그렇지 않은 의견의 상당수는 그런 글 안쓰니까요.
    오른쪽의지배자

    제목만 보고 짤의 내용인줄 알고 위로드리러 왔는데, 전혀 다른 내용이군요

    말씀하신 폭력성을 요즘 많이 겪고 봅니다.
    1. 이제는 손 놓은지 오래되었음에도 제가 응원했던 리버풀을 무시하고 떠나려는 아놀드가
    오웬처럼 레알에서 삽질하다 맨유가서 욕 더 먹길 바라는 마음이 가끔 듭니다.

    2. 스타여캠대학을 보면 이상하게도 타팀선수보다 자기팀 선수들을 비난하고 퇴학거리고 꼬투리잡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얼굴도 이쁘고, 스타는 무조건 이겨야되고, 방송감까지 그 중 하나라도 없으면 욕하고 퇴학시키라고 하고...보기 좋진았습... 더 보기
    제목만 보고 짤의 내용인줄 알고 위로드리러 왔는데, 전혀 다른 내용이군요

    말씀하신 폭력성을 요즘 많이 겪고 봅니다.
    1. 이제는 손 놓은지 오래되었음에도 제가 응원했던 리버풀을 무시하고 떠나려는 아놀드가
    오웬처럼 레알에서 삽질하다 맨유가서 욕 더 먹길 바라는 마음이 가끔 듭니다.

    2. 스타여캠대학을 보면 이상하게도 타팀선수보다 자기팀 선수들을 비난하고 퇴학거리고 꼬투리잡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얼굴도 이쁘고, 스타는 무조건 이겨야되고, 방송감까지 그 중 하나라도 없으면 욕하고 퇴학시키라고 하고...보기 좋진았습니다.

    왜 그러는걸까요
    저는 '우리'를 지키려고 그러는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라는 단어 뒤에 숨어 타인을 배척하며 본인만의 자존감을 지키려하는 짓
    자신의 '우리'라는 기준은 옳고, 그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모든 것들은 열등하다는 심리적 표출? 같은거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우리'라는 단어가 연대와 소속의 따뜻함을 담기보다, 배척과 단절의 도구로 쓰이는 모습은 씁쓸합니다.
    진심으로 좋아했던 것들, 함께 응원했던 기억들까지 이런 분위기 속에서 희미해질 때, 더 이상 팬심이라 부르기도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
    그저, 누군가를 좋아하고 지지하는 마음이 더는 상처받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5
    알료사
    헐 2번 얘기 하려다가 말았는데 써주신 분이 계시네요 ㅋㅋ

    스타대학 보면서 신기한게

    아무래도 어린 BJ들이다 보니까 약간 공적인 감각도 부족하고 크고작은 실수들을 하게 되는데

    어떤 이슈가 터졌을 때 그 소속팀 응원하는 사람들이 제일 엄격하더라구요.. 오히려 다른 팀 응원하면 그럴수 있지 하거나 잠깐 불탔다가 다른 사건사고로 넘어가는데..

    특히 몇몇 메이저 대학일수록 더 그런 경향성이 있는듯 합니다. 돈을 그만큼 잘 버니까 거기에 따른 세금 같기도 하고..
    2
    절름발이이리
    좋아함의 폭력성이 아니라, 정체성의 폭력성입니다.
    맞는 말씀이긴 한데 또 단순히 “아니”라고 할 수 없는 문제이긴 합니다.
    좋아한다는 것은 감정적인 것이고 강약이 있는 반면, 정체성은 자기 규정이라 그런 것이 덜하죠. 내가 “한국인이다”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데 누군가 한국에 욕을 하면 한국에 대한 애정에 따라 낮으면 무덤덤하게 받아들일수도 있고, 많이 좋아하면 심한 반응이 나오는 것처럼요.
    절름발이이리
    공격에 대한 반발 크기는, 좋아함 여부나 강약보다는(물론 이것도 영향을 주지만) 위협감에 달려 있습니다. 정체성이란 것은 어떤 대상을 '나'로 포함하는 것입니다. 무언가를 좋아하면 그 역시 '나'의 범주에 포함될 가능성이 올라가긴 하지요. 하지만 결국 내가 그것을 정체화 하기 전까지는 상관이 없습니다. 반대로 내 정체성에 편입된 요소는 내가 싫어하는 것이더라도 격렬한 반응을 끌어냅니다. 조선인을 혐오하던 조선엘리트들도 일제에게 차별 받을 때는 극렬하게 반발심을 갖고, 서로 싫어하는 한중일 교포들도 다른 아시안이 차별 받을 때는 화를 내는데, 모든 것은 나에대한 실존적 위협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그르니에
    어떤 스마트폰에 대해 강렬한 애착을 가지고 있다던지, 자신이 좋아했던 과거의 영화나 게임이 리메이크를 했는데 그런 것들에 대해 반발심을 갖는 것은 '나의 소유'의 심리적인 소유권을 침해했다고 생각하는 억울함이나 분개가 핵심감정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말씀하신 위협감에 대한 내용은 비슷하더라도 '나'라는 정체성적인 측면으로 온전히 설명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어쨌든 저는 '좋아함'이라는 감정의 출발선으로부터 어떻게 '싫어함'에 해당하는 폭력으로 변화하기 쉬운지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었던거구요. 말씀대로 좋아함은 정체성을 위협하는 여러 요인중에 하나라고 보면 되겠네요.
    절름발이이리수정됨
    심리적 소유권 이라는 해석은 좋은 것 같네요. 나의 아스카는 그러지 않아가 떠오릅니다. 그 경우 정체성이란 설명과는 다소 괴리가 있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내 소유물이 강탈당할 때의 반발심은 정체성까지 등장하지 않더라도 비교적 실존적 위협일테지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585 일상/생각온돌, 우크전쟁 그리고 일본 겨울난방 온도 7 곰곰귀엽 25/07/07 465 4
    15578 일상/생각급속한 체중 감량이 삶과 관계에 미치는 영향 6 azureb 25/07/04 687 5
    15553 일상/생각까만 강아지 설렘이, 성견이 되다 5 골든햄스 25/06/26 511 16
    15552 일상/생각결국은 그냥 반품했다. 4 방사능홍차 25/06/26 886 7
    15551 일상/생각돈이 매우 많다면 어떻게 살 것인가? 45 right 25/06/25 1474 0
    15548 일상/생각대규모 언어 모델은 우리의 뇌를 어떻게 망가뜨리는가 13 azureb 25/06/25 1260 4
    15537 일상/생각 넷플릭스를 보다가 찡하고 아려온 백인우월주의자. 1 코리몬테아스 25/06/19 964 4
    15535 일상/생각경험의 주관성에 대해서 6 큐리스 25/06/19 554 9
    15534 일상/생각와이프랑 둘이 같이 연차를 냈는데요.ㅠㅠㅠㅠ 8 큐리스 25/06/19 1076 5
    15533 일상/생각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9 사슴도치 25/06/19 718 18
    15527 일상/생각5개의 아비투스를 지나… 4 골든햄스 25/06/17 752 5
    15525 일상/생각와이프는 언제나 귀엽습니다. 7 큐리스 25/06/17 754 3
    15524 일상/생각진공청소기가 내게 가르쳐 준 것 1 큐리스 25/06/16 619 5
    15518 일상/생각감각은 어떻게 전이되는가 – 타인이 그려낸 감각의 지도 4 사슴도치 25/06/13 647 10
    15514 일상/생각현명하게 소비를 하는 길은 멀다 3 풀잎 25/06/11 724 1
    15508 일상/생각가입한지 몇시간만에 삭제당할만한 글을 올린점 반성합니다 3 로이드포저 25/06/09 876 2
    15506 일상/생각그럴 듯함의 시대 6 사슴도치 25/06/09 733 9
    15505 일상/생각현충일에 거위한테 선빵 맞은 썰 5 열한시육분 25/06/08 803 8
    15500 일상/생각쳇가) 도끼의 언어와 AI의 언어 1 알료사 25/06/06 548 2
    15483 일상/생각내란 밤 이야기 거소 25/06/03 719 38
    15482 일상/생각처음으로 주택을 매수했습니다. 15 right 25/06/03 874 17
    15478 일상/생각최근 AI 툴 사용 방식 변화와 후기 6 kaestro 25/06/01 1128 6
    15476 일상/생각와이프한테 야설쓰는거 걸렸습니다. 10 큐리스 25/05/31 1703 6
    15473 일상/생각접대를 억지로 받을 수도 있지만.. 9 Picard 25/05/30 1364 6
    15472 일상/생각자동차 극장 얘기하다가 ㅋㅋㅋㅋ 6 큐리스 25/05/29 92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