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1/07 17:35:29 |
Name | right |
Subject | 지금 이대로도 완전할까 |
지금 이대로도 괜찮다는 말, 우리 사회에는 참 어울리지 않는 말 같습니다. 지금 이 상태는 문제가 있어보일때가 많습니다. 고시생들은 시험을 붙어야만 하고, 솔로들은 연애를 해야만 하고, 질병이 있으면 나아야만 한다고 생각하죠. 저의 삶을 돌이켜 보면 저는 항상 변해야 하고, 나아져야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엄마는 남자인 저에게 외향적인 사람이 될것을 강조했습니다. 남자는 씩씩하고, 재밌어야하고, 강해야 된다고 했죠. 그래서 저 스스로 남자다운 사람이 되려고 했습니다. 외향적인 사람에 대한 동경도 있었죠. 하지만 타고난 성격이 조용해서 쉽게 바뀌지 않았고, 대학에 입학하고도 한참 후에야 이런 제 성격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런데 지금이 부족하다고 여기는 습관은 변하지 않더라구요. 좋은 대학에 가야하고, 좋은 성적을 받아야하고, 좋은 직장에 취업해야하고, 연애도 해야하고, 키도 커야하고. 이 중 많은 것들은 이뤄내기도 했지만 그래도 지금에 만족하지 못하는건 마찬가지였습니다. '지금 이대로도 충분해, 좋아' 이런말을 가족들에게 들어본적은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항상 '~해야지, 이렇게 했어야지' 와 같은 말이었죠. 이런 말을 들으면 열심히 살것 같지만 오히려 회피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눈앞의 현실을 바라보기 싫어서 유튜브나 게임같은 것에 중독되기도 하고요. 이런 압박감으로부터 조금이나마 벗어나게 해준건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인생수업'이라는 책이었습니다. 거기에 이런 문구가 있어요. '죽음을 앞둔 사람을 보면 사람들은 더이상 그를 이뤄낸 성과, 학벌, 소득 등으로 보지 않습니다. 그가 생전에 잘못한 것들, 잘한 것들은 더이상 중요하지 않고, 그 사람 자체만 보게 됩니다' 라는 내용이 있어요. 이 말은 죽음이라는 필연 앞에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중요시하는 것들이 의미가 없어진다는 거죠. 그냥 그 자체로 완전한 존재가 있을 뿐입니다. 이걸 읽고나니 제가 해야만한다고 생각하던게 좀 줄어들더라구요. 대신 뭘 하고싶은지에 더 신경을 썼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것들은 남 눈치보지 않고 했습니다. 보드게임, 스케이트, 각종 동호회 등등... 진로도 바꿨구요. 지금의 나는 완전한가, 라고 물으면 사실 잘 모르겠어요. 막연한 생각으로는 완전하다고 생각하는데, 원하는게 좌절되면 여전히 화나고 불안하네요. 제 인생에는 아직 배울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마음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완전함을 충분히 느끼고 지내시는지요. 8
이 게시판에 등록된 right님의 최근 게시물
|
저는 내일 죽어도 후회없이 살려고 합니다. 내가 인생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뭔지 알고 그 우선순위대로 사는 것이죠. 저는 성실한 한량이라서 적당히 균형이 맞는것 같습니다.
고등학생때 친구 아버지께서 돌아가셔서 장례식장에 다녀왔는데.. 사람 목숨은 언제 어떻게 사라질지 모르는거라는게 두렵더군요. 미래를 위한 인내도 중요하지만 현재가 즐겁지 못하다면 갑자기 죽음이 찾아왔을때 너무 억울하지 않겠습니까.
이익은 실현해서 손에 쥐어야 진짜 이익이죠. 그게 수익률을 다소 깎아먹더라도 말입니다. 인내와 노력과 보상도 마찬가지로, 인생의 이익도 실현해서 지금 즐겨야 진짜 이익이라고 생각하고 지냅니다. ㅎㅎ
고등학생때 친구 아버지께서 돌아가셔서 장례식장에 다녀왔는데.. 사람 목숨은 언제 어떻게 사라질지 모르는거라는게 두렵더군요. 미래를 위한 인내도 중요하지만 현재가 즐겁지 못하다면 갑자기 죽음이 찾아왔을때 너무 억울하지 않겠습니까.
이익은 실현해서 손에 쥐어야 진짜 이익이죠. 그게 수익률을 다소 깎아먹더라도 말입니다. 인내와 노력과 보상도 마찬가지로, 인생의 이익도 실현해서 지금 즐겨야 진짜 이익이라고 생각하고 지냅니다. ㅎㅎ
부모와 형제 같은 가족도 그렇고 친구들도 그렇고
연인도 그렇고 전부 다 내편 같으면서도 교묘하게
자기네들이 원하는 이상형을 나 자신에게 부여하고
인도한다면 그건 내편이 아니라 적일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면은 결국 나 자신을 책임지는건 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게 답이죠. 바뀔려 해도 안바뀌어지면 안바뀐 모습이 진정한 자신 아닐까 싶습니다
연인도 그렇고 전부 다 내편 같으면서도 교묘하게
자기네들이 원하는 이상형을 나 자신에게 부여하고
인도한다면 그건 내편이 아니라 적일수도 있다고
생각이 들면은 결국 나 자신을 책임지는건 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게 답이죠. 바뀔려 해도 안바뀌어지면 안바뀐 모습이 진정한 자신 아닐까 싶습니다
사회의 기준에 맞춰서 살 필요 없다고 생각해요. 대신에 용기가 필요한데요. 남들이 다 이렇다 할 때에, 내 생각은 다른데? 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완전한 나를 찾아가는데에 중요한 구성요소인듯해요. 그런데 그런 배짱이 있을려면 지혜가 있어야해요. 20대에도 지혜가 있을 수 있고 나이어린 사람도 가질 수 있지만... 경험이 많으면 좀 더 가까와지겠지요.
우리 사회에서는 지혜를 위한 노력보다는 밖에서 보이는 보상/지위 겉보기에 좀 더 점수를 많이 주는 경향이 있다고 보아요. 사실 지혜가 있으면 위험을 맞이해도 슬기롭게 이겨나가... 더 보기
우리 사회에서는 지혜를 위한 노력보다는 밖에서 보이는 보상/지위 겉보기에 좀 더 점수를 많이 주는 경향이 있다고 보아요. 사실 지혜가 있으면 위험을 맞이해도 슬기롭게 이겨나가... 더 보기
사회의 기준에 맞춰서 살 필요 없다고 생각해요. 대신에 용기가 필요한데요. 남들이 다 이렇다 할 때에, 내 생각은 다른데? 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가 완전한 나를 찾아가는데에 중요한 구성요소인듯해요. 그런데 그런 배짱이 있을려면 지혜가 있어야해요. 20대에도 지혜가 있을 수 있고 나이어린 사람도 가질 수 있지만... 경험이 많으면 좀 더 가까와지겠지요.
우리 사회에서는 지혜를 위한 노력보다는 밖에서 보이는 보상/지위 겉보기에 좀 더 점수를 많이 주는 경향이 있다고 보아요. 사실 지혜가 있으면 위험을 맞이해도 슬기롭게 이겨나가고 위험에 빠지는 빈도수를 줄일 수 있거든요. 그런 지혜로운 이가 된다면 온전한 완전한 혹은 liberated 된 사람이 되겠지요.
다른하나는 삶이란 그런 완성된 자가 되기 위한 지혜롭기 되기 위한 끊임없는 오롯이 자신과의 경쟁인거지요. 끝없이 이룰 수 없는 스스로와의 고독한 줄다리기 같다고 생각해요. 포기도 하고 절망도 하고 하지만 좀 더 어제보다 나은 사람이 되도록 하면 좀 더 마음이 편하지 않을까요? 그런 이들에게는 타인의 잣대나 타인의 가치는 크게 중요치 않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다시 돌아가서, 내일이되면 완전해지나? 그래서 오늘은 완전하지 않다는 말인가? 그건 아니에요.
오늘도 완전하고 내일도 완전한 나인거지요. 왜냐면 오늘 하루 멋지게 후회없이 살고 재밌게 산다면 적어도 본인이 그렇게
생각하는 만은 소시민들은 행복하다고 느끼며 살고 있거든요.
우리 사회에서는 지혜를 위한 노력보다는 밖에서 보이는 보상/지위 겉보기에 좀 더 점수를 많이 주는 경향이 있다고 보아요. 사실 지혜가 있으면 위험을 맞이해도 슬기롭게 이겨나가고 위험에 빠지는 빈도수를 줄일 수 있거든요. 그런 지혜로운 이가 된다면 온전한 완전한 혹은 liberated 된 사람이 되겠지요.
다른하나는 삶이란 그런 완성된 자가 되기 위한 지혜롭기 되기 위한 끊임없는 오롯이 자신과의 경쟁인거지요. 끝없이 이룰 수 없는 스스로와의 고독한 줄다리기 같다고 생각해요. 포기도 하고 절망도 하고 하지만 좀 더 어제보다 나은 사람이 되도록 하면 좀 더 마음이 편하지 않을까요? 그런 이들에게는 타인의 잣대나 타인의 가치는 크게 중요치 않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다시 돌아가서, 내일이되면 완전해지나? 그래서 오늘은 완전하지 않다는 말인가? 그건 아니에요.
오늘도 완전하고 내일도 완전한 나인거지요. 왜냐면 오늘 하루 멋지게 후회없이 살고 재밌게 산다면 적어도 본인이 그렇게
생각하는 만은 소시민들은 행복하다고 느끼며 살고 있거든요.
로스 박사님 책은 저도 아버지 돌아가시기 전에 많이 읽었습니다. 읽을 때는 안정되었어요. 아버지 돌아가시고 난 지금은 솔직히 모르겠어요.
인생은 외향(돈, 지위)과 내향(자기만족) 두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정말 섬에서 혼자 살지 않는 이상은 타자로부터의 인정욕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없겠지요.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가 괜히 오두막 짓고 자신을 고립시켰겠어요 ㅎ) 그런데 (죄송합니다 욕좀 하겠습니다) 이 빌어먹을 세상은 두가지가 양립할 기회를 좀처럼 주지 않아요. 대부분의 경우 두가지는 모순되고 여기에 ... 더 보기
인생은 외향(돈, 지위)과 내향(자기만족) 두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정말 섬에서 혼자 살지 않는 이상은 타자로부터의 인정욕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없겠지요.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가 괜히 오두막 짓고 자신을 고립시켰겠어요 ㅎ) 그런데 (죄송합니다 욕좀 하겠습니다) 이 빌어먹을 세상은 두가지가 양립할 기회를 좀처럼 주지 않아요. 대부분의 경우 두가지는 모순되고 여기에 ... 더 보기
로스 박사님 책은 저도 아버지 돌아가시기 전에 많이 읽었습니다. 읽을 때는 안정되었어요. 아버지 돌아가시고 난 지금은 솔직히 모르겠어요.
인생은 외향(돈, 지위)과 내향(자기만족) 두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정말 섬에서 혼자 살지 않는 이상은 타자로부터의 인정욕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없겠지요.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가 괜히 오두막 짓고 자신을 고립시켰겠어요 ㅎ) 그런데 (죄송합니다 욕좀 하겠습니다) 이 빌어먹을 세상은 두가지가 양립할 기회를 좀처럼 주지 않아요. 대부분의 경우 두가지는 모순되고 여기에 현대인의 정신병이 시작된다고 봐요.
그럼 어떻게 살 것인가. 정답은 없어요. 내가 완전하다고 믿으면 완전한거죠. 아니라면 아닌거고요. 욕망과 능력의 방정식에서 무엇을 가감할 것인가, 나는 어떤 삶을 살 것인가에는 무한한 조합이 나올거에요. 저는 삶의 완전성은 결국 개인의 욕망(desire)-능력(capacity)<=0 이 될 때 이뤄진다고 보거든요. 그 욕망과 능력이 외향에 따른 것이냐 내면을 따른 것이냐에 차이는 있겠지요.
잡설이 길었습니다만 저 둘 사이의 괴리를 줄이는 것이 인생의 목적이자 목표 같습니다. 부디 삶의 순간순간을 즐기며 완전함을 맛 보시길. 저도 그러길 바랍니다.
인생은 외향(돈, 지위)과 내향(자기만족) 두가지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정말 섬에서 혼자 살지 않는 이상은 타자로부터의 인정욕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없겠지요.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가 괜히 오두막 짓고 자신을 고립시켰겠어요 ㅎ) 그런데 (죄송합니다 욕좀 하겠습니다) 이 빌어먹을 세상은 두가지가 양립할 기회를 좀처럼 주지 않아요. 대부분의 경우 두가지는 모순되고 여기에 현대인의 정신병이 시작된다고 봐요.
그럼 어떻게 살 것인가. 정답은 없어요. 내가 완전하다고 믿으면 완전한거죠. 아니라면 아닌거고요. 욕망과 능력의 방정식에서 무엇을 가감할 것인가, 나는 어떤 삶을 살 것인가에는 무한한 조합이 나올거에요. 저는 삶의 완전성은 결국 개인의 욕망(desire)-능력(capacity)<=0 이 될 때 이뤄진다고 보거든요. 그 욕망과 능력이 외향에 따른 것이냐 내면을 따른 것이냐에 차이는 있겠지요.
잡설이 길었습니다만 저 둘 사이의 괴리를 줄이는 것이 인생의 목적이자 목표 같습니다. 부디 삶의 순간순간을 즐기며 완전함을 맛 보시길. 저도 그러길 바랍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