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25/06/27 23:15:20 |
Name | [익명] |
File #1 | 514237319_18411862033096690_961519368893012396_n.jpg (102.4 KB), Download : 2 |
Subject | 17년만에 백수가 되었습니다 |
익명은 개인정보가 많다보니 검색 방지를 위해 적용했습니다(__).. 재취업은 할 생각이지만 사실 빙하기라 언제 할지는 몰루... 17년간 개발/서비스 해본 장르는 MMORPG 소셜게임 보드게임 방치형게임 로그라이크 전쟁게임 피씨, 웹, 모바일 싱글, 멀티 스타트업, 중견기업, 대기업 팀원, 파트장, 팀장, 디렉터 게임 초기 컨셉부터 직접 잡아서 출시 다 해봤으니 17년간 나름 폭넓은 경험은 해본걸로? 모든 분야에 걸쳐서 질문 받습니다. (사생활이던 뭐 뻘소리던 기타 등등) 0
|
효도여행 + 애기 방 인테리어 새로 해주고 집 정리하기 + 애기 어린이집 방학때 또 추억 만들어주기
=> 요걸로 슝
바빠서 못봤던 지인들 돌아가면서 얼굴보기
포트폴리오 준비 및 구직 준비
그리고 남는 시간에 밀린 게임 조금
이렇게?..
=> 요걸로 슝
바빠서 못봤던 지인들 돌아가면서 얼굴보기
포트폴리오 준비 및 구직 준비
그리고 남는 시간에 밀린 게임 조금
이렇게?..
업무적으로는 처음부터 끝까지 게임을 만들어서 출시한 게임이 라이브를 9년 넘게 하고 있다는것?..
희망하는건 언제나 이직 안하고 정년까지 다닐만한 팀에서 쭉 게임 만들어보기..
희망하는건 언제나 이직 안하고 정년까지 다닐만한 팀에서 쭉 게임 만들어보기..
1. 네오플 노조 파업에 대해서 향후 전망을 어떻게 보시나요?
2. 조직 문화를 건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가 및 보상 체계의 투명성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십니까? 실무자부터 상급 관리자까지 다양한 입장을 경험 해 보셨다니 포지션에 따라 생각이 바뀔 수 있다면 어떤 부분이 달라지는지도 말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고용계약서 첫 항목에 급여에 대한 보안유지 못 하면 징계하겠다는 조항부터 넣는 회사만 다니고 있는데 경험해 보신 기업 중 이에 대하여 개방적인 문화를 가진 곳이 있으셨는지 궁금합니다.
2. 조직 문화를 건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가 및 보상 체계의 투명성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십니까? 실무자부터 상급 관리자까지 다양한 입장을 경험 해 보셨다니 포지션에 따라 생각이 바뀔 수 있다면 어떤 부분이 달라지는지도 말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고용계약서 첫 항목에 급여에 대한 보안유지 못 하면 징계하겠다는 조항부터 넣는 회사만 다니고 있는데 경험해 보신 기업 중 이에 대하여 개방적인 문화를 가진 곳이 있으셨는지 궁금합니다.
1. 그건 노조쪽 이야기만 슬쩍 듣고 있다보니 편향된 시각이 많이 들어가서...
전망보단 성공하면 좋겠다?.. 하는 바램이 있네요.
2. 포지션에 따라 바뀌는 점이라고 한다면..
실무자의 90%는 본인이 A급 이상의 기여도를 찍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
+
평가라는건 뭐로 가도 관리자 평가 지분이 클 수밖에 없긴 하다는 점?..
지분이 클 수밖에 없다는게 뭐 예를들면
> A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와
> B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가
둘이 '실력이 동등하다고 해도' 컨텐츠의 특성으로... 더 보기
전망보단 성공하면 좋겠다?.. 하는 바램이 있네요.
2. 포지션에 따라 바뀌는 점이라고 한다면..
실무자의 90%는 본인이 A급 이상의 기여도를 찍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
+
평가라는건 뭐로 가도 관리자 평가 지분이 클 수밖에 없긴 하다는 점?..
지분이 클 수밖에 없다는게 뭐 예를들면
> A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와
> B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가
둘이 '실력이 동등하다고 해도' 컨텐츠의 특성으로... 더 보기
1. 그건 노조쪽 이야기만 슬쩍 듣고 있다보니 편향된 시각이 많이 들어가서...
전망보단 성공하면 좋겠다?.. 하는 바램이 있네요.
2. 포지션에 따라 바뀌는 점이라고 한다면..
실무자의 90%는 본인이 A급 이상의 기여도를 찍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
+
평가라는건 뭐로 가도 관리자 평가 지분이 클 수밖에 없긴 하다는 점?..
지분이 클 수밖에 없다는게 뭐 예를들면
> A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와
> B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가
둘이 '실력이 동등하다고 해도' 컨텐츠의 특성으로 평가가 갈릴 수 있는데. 그럼 '그 업무를 맡긴 관리자의 마음' 하나로 개인의 평가가 바뀌는거라서...
단지 제 기준에서는
실무자는 '잘 했다면 연봉으로 보상을 받고'
관리자는 '잘 했다면 성과급이나 스톡으로' 보상을 받는게 가장 괜찮지 않나?.. 하는 생각은 했습니다.
급여에 대한건 사실 개방적인 곳이 딱히 없지 않나 싶네요..
근로자의 90%는 본인이 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개되면 사실 서로 좋을게 없다고 봐서...
(이게 롤처럼 뭐 페이커, 쵸비가 짱이고 이런 대외적인 그런게 있는것도아닌데)
전망보단 성공하면 좋겠다?.. 하는 바램이 있네요.
2. 포지션에 따라 바뀌는 점이라고 한다면..
실무자의 90%는 본인이 A급 이상의 기여도를 찍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
+
평가라는건 뭐로 가도 관리자 평가 지분이 클 수밖에 없긴 하다는 점?..
지분이 클 수밖에 없다는게 뭐 예를들면
> A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와
> B 컨텐츠를 맡아서 한 기획자가
둘이 '실력이 동등하다고 해도' 컨텐츠의 특성으로 평가가 갈릴 수 있는데. 그럼 '그 업무를 맡긴 관리자의 마음' 하나로 개인의 평가가 바뀌는거라서...
단지 제 기준에서는
실무자는 '잘 했다면 연봉으로 보상을 받고'
관리자는 '잘 했다면 성과급이나 스톡으로' 보상을 받는게 가장 괜찮지 않나?.. 하는 생각은 했습니다.
급여에 대한건 사실 개방적인 곳이 딱히 없지 않나 싶네요..
근로자의 90%는 본인이 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개되면 사실 서로 좋을게 없다고 봐서...
(이게 롤처럼 뭐 페이커, 쵸비가 짱이고 이런 대외적인 그런게 있는것도아닌데)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