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12/13 22:59:40
Name   뤼야
Subject   과학의 역사로 읽어보는 형이상학의 구성과 해체

장하석 [온도계의 철학](2013)



철학이란 무엇일까요? 철학을 공부하거나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흄이나 헤겔의 형이상학이 어떤 모양새인가를 물어보면 그 대답을 듣기는 쉽겠지만, 정작 [철학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라고 물어보면 머뭇거릴 공산이 높지요. 철학의 영역과 역할은 시대에 따라 달라져왔는데 이를테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았던 시대의 철학은 물리적 세계를 통해 유추되는 '세계의 총체성'에 관한 탐구였다고 말할 수 있겠고, 중세에 이르러선 '이러한 세계가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탐구가 철학의 영역이 되었죠. 오컴이 면도날을 들이댄 이후 '우리가 무엇을 아는가'에 대해 회의가 시작되었다고 한다면, 흄과 비트겐슈타인을 거치며 '세계를 언급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가'까지 이르게 되니, 철학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야망을 접고 점점 겸손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제게 철학이 무엇인가를 묻는다면, 철학이란 지적인 모험이며, 그 모험의 결과로 심적 태도의 변화를 기대하는 만드는 도구라고 답할 것입니다.

그럴 일은 절대 없겠지만, 만약 나란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다면 즉, 지금과 비슷한 지적능력과 인성을 유지한 채로 라는 가정하에, 저는 다시 과학을 공부할 것 같습니다. 학부로 끝내지 않고 어디까지 갈 수 있나 끝까지 공부해 볼 겁니다. 뭐... 그 끝이 좌절이라고 해도 받아들일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학부로 학업을 중단한 이유는 경제적인 것이었습니다만, 여건만 되었다면 더 공부를 했을테지요. 그러나 지금의 삶에 불만이 있다거나 한 건 아닙니다. 저는 나름 제 삶에 만족하고 있어요. 저는 세속적인 욕심은 거의 없는 편이지만 저 자신에 대한 욕심은 매우 많은 편입니다. 인간이라면 그래야한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얼마나 성공적인 지는 잘 모르겠어요. 그저 제 능력이 닿는 범위 안에서는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여깁니다.

만약 다시 과학을 공부한다면 어떤 분야가 좋을까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요즘 hot한 생명과학이나 인지과학도 좋겠지만, 그것보다는 반쯤은 박물학자와 같은 생물학자가 되어 필드에 나가거나 다시 화학을 공부하지 않을까 싶어요. 저는 뼛속 깊이 유물론자이고 그에 대한 허무와 반동으로 추동된 인식을 토대로 갈 수 있는 곳까지 가보자고 내부적 선언을 마친 존재론자입니다. 인식욕이란 제가 스스로의 정체성을 과학도로 여기는 것과 만큼이나 실존에 대한 추동과 맞물려 있긴 하지만, 이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욕심에 지나지 않으니 젊음을 바쳐 공부할 마음은 안생길 것 같습니다. 존경하는 학자도 모두 과학자에요. 닐스 보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라이너스 폴링을 가장 좋아합니다.

[온도계의 철학]은 2006년에 과학철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러커토시상을 수상했습니다. 우리에게 초판본 1쇄가 2013년에 소개되었으니 좀 늦은 감이 없지않죠.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를 읽고 이해한 사람이라면 장하석의 이 책이 인식론적 측면에서 그리 새로울 것이 없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사실 어떤 인식론도 쿤을 벗어나긴 힘들긴하지만요. 그러나 이 책의 장점은 다른 곳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아주 단순한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마치 제가 이 글의 처음에 [철학이란 무엇인가?]라고 물었던 것처럼 [온도계가 온도를 진짜 틀리지 않고 말해주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것입니다. 어찌보면 단순하지만 결코 그 답은 단순하지 않은 이러한 의문이야말로 과학도다운 것이며, 인식론으로서의 철학적 태도는 여기에서 출발할 수 있음을 알게 해주죠. 동시에 명색이 과학을 전공했다는 저라는 사람이 이런 의문을 한번쯤 품어보지 못했다는 사실이 부끄럽기도 합니다.

온도계가 틀리는지 틀리지 않는지를 알려면 정확한 온도를 알아야하는데 그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는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요? 너무나 당황스러운 질문입니다. 마치 단단한 땅에 발을 딪고 서있다 생각했는데 그 땅이 갑자기 사라지고 허공으로 던져진 느낌이죠. 과학자들은 이렇게 고약한 순환논리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었으며, 이런 문제를 물리적으로 어떻게 해결했을까요? 미지에 대한 도전은 앎(知)을 향한 것인데, 도전하면 도전할 수록 더욱 알 수 없게 되어버리는 아이러니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었을까요? 장하석의 이 책은 이러한 아이러니에서 벗어나기 위해 과학자들이 선택한 조작적 방법론과 인식론의 빈틈을 메우려는 노력이 바로 과학발전의 일등공신임을 차근차근 드러냅니다.

말하자면, 과학의 기본 개념이 완전히 흐릿해지는 순간, 그 조작의 순간에 [정당화에 관한 토대론과 정합론의 상대적 이점을 어떻게 조율할 것인가]를 통해 과학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었다는 것이지요. 조금 더 상세히 기술하자면 정당화가 순환논리에 빠지는 것을 넘어서기 위해 즉, 여러 표준의 수렴에 의존하다 보면 토대론의 실패를 인정할 수 밖에 없고 그 결과 정합론을 채택하는 데에 이르는데, 이러한 정당화에 관한 토대론과 정합론의 상대적 이점은 엄격한 정당화 자체가 아니라 개념 형성과 지식 구축이 역동적 과정으로 나아가는 길 그 자체라는 것입니다. 장하석은 이 과정을 빈 학파(Wiener Kreis)의 지도자 오토 노이라트(Otto Neurath)의 말을 인용하여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선박 건조대에서 배를 해체하고 최상의 부품으로 다시 건조할 수 없는 항해자들이, 바다 한가운데에서 자신들의 배를 건조해야하는 처지와 같다."라고 말이죠. 참 근사한 비유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저자는 퍼시 브리지먼의 책 [지적 진실을 위한 투쟁]을 다음과 같이 인용합니다. [수학은 물리적 범위가 증가하면 기본 개념이 흐릿해져서 결국에는 물리적 의미를 완전히 잃고, 그렇게 되면 조작 측면에서 매우 다른 개념들로 대체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는다. 예컨데 외부 공간에서 우리 은하 안으로 들어오는 항성의 운동이건 원자핵 주변 전자의 운동이건 운동 방정식에는 차이가 없다. 방정식에 쓰는 양의 조작 측면에서, 그 물리적인 의미는 이런 두 가지 경우에 완전히 다른데도 말이다. 우리 수학의 구조는 우리가 원하건 아니건 간에 물리적으로 아무런 의미도 부여할 수 없다 해도 전자의 내부에 관해서도 이야기하도록 만드는 그런 것이다.]

더 풀어 기술하자면 이런 것입니다. 전자의 지름이 10의 -13승이라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그 유일한 답은 10의 -13승이라는 숫자를 얻는 조작을 살펴봄으로써 얻을 수 있습니다. 즉, 전기동역학의 장 방정식에서 유도한 특정 방정식에다 실험에서 얻은 수치 데이터를 대입하는 방식으로 얻어진 것이지요. 그러므로 길이의 개념은 이제 변형되어, 장 방정식에 구현된 전기이론(theory of electricity)까지 포함하게 되며, 더욱 중요하게는 이런 방정식의 확장이 올바르다는 전제를 갖게 됩니다. 이런 장 방정식이 미시 척도에서 올바른지 확인하려면 무엇이 길이 측정에 개입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전자기력(electric and magnetic force)과 공간좌표(space coordinate) 사이에서 그 방정식이 요구하는 관계식을 증명해야 하나 공간좌표가 그 방정식과 동떨어진 독립적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면, 그 방정식은 증명 시도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런 물음 자체도 무의미해지고 말지요.

과학을 지탱하는 기초개념이 모두 이런 식의 순환논리에 빠질 수 밖에 없음을 알고 나면 [온도계가 온도를 진짜 틀리지 않고 말해주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가지게 된 것을 오히려 후회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허공에 던져진 듯한 느낌을 애써 기분탓인이라고 생각했는데 진짜 허공에 던져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얼마나 기분이 더럽겠습니까? 그러나 加一手! 시지프스처럼 달려들어 돌을 굴려봅시다. 인문학이 그러하듯 과학이라는 지식의 구조 역시 이러한 역설적인 순환의 구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 참으로 재미있습니다. 

1장에서 4장까지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습니다만, 열역학에 대한 지식은 좀 필요합니다. 마냥 쉽지만은 않아요. 천재 뉴튼이 체온으로 온도계의 0점을 정하려고 했다는 대목을 읽으면 웃음이 나지만, 이런 '맨땅에 헤딩하는' 당대 과학자의 노력을 그저 지나간 오류로 치부하고 후대에 태어난 우리가 개이득이라는 말을 하려고 저자가 아까운 지면을 통해 여러 일화를 소개하는 것은 아닐겁니다. 장하석은 이러한 오류의 역사가 바로 존중돼야 할 [지식의 구조]임을 곧이어 확인할 수 있게 하니까요. 전문가적 지식을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현대의 우리가, 바로 그런 이유로 전혀 품어보지 못했을 지식의 구조에 대하여 의문을 품게 만들죠. 그리고 이러한 지식의 구조야 말로 인식의 구조이며, 여기에 의문을 품는 것이 바로 철학이라는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여, 읽으면 읽을수록 겸손해지는 것이 당연합니다. 온도계의 0점을 얻기위해 고분분투한 과학자들만큼이나 이제는 아무도 들추어보는 일이 없는 옛문헌을 샅샅이 훓으며 고정점을 얻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차근차근 풀어내고 있는 장하석도 존경스럽긴 마친가지입니다. 5장과 6장은 본격적인 과학철학의 논의로 넘어갑니다. 전문가적 과학이 아닌, 과학의 기초 진리를 배우는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이며 왜 받아들여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상기시키고 동시에 풀 수 있을 것입니다. 500페이지 정도 되는 책입니다. 장하석이라는 학자의 근기에 감탄하게 됩니다. 이 사람 진짜 학자에요. 책을 쓰려면 이 정도 근기는 있어야죠. 존경과 찬사를 함께 보냅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12-27 14:3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
  • 좋은 내용 소개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서평에서 독자의 근기가 묻어나네요.
근기 vs 근기! 근기있게 책을 쓰는 저자가 있는한 저는 항상 그들의 편입니다.
아마 태어나길 과학도가 아닌 독자로 태어났는데 혼자 착각하고 있나봐요. 흐흐흐
좋은 서평 감사합니다. 읽을까말까 고민중이었는데 읽어보겠습니다:)
우리 시대의 고전이 되기 충분한 책입니다. 쓰레기더미 속의 보물이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눈부심
저는 다시 대학생이 되라면 우주생물학 배우고 싶어요. 천문학도 배우고 생물도 배우고. 존재의 근원을 파헤치는 거니까 철학과 병행하면 그것도 재밌고.
우주생물=인간...
그러므로 우리는 우주생물이면서 우주생물학자...
눈부심님은 학부때 뭘 공부하셨능가욤?
눈부심
씨잘데기 없는 영어영문.....
왜 쓰잘데기 없다셔요... 재밌을거 같은데...
새의선물
물리화학시간에 열역학적으로 온도를 정의하는 부분에서 정신이 혼미해졌던 기억이 나네요. 흐흐...

https://upload.wikimedia.org/math/b/6/e/b6e569d0001ea59b983220a2cd04b57a.png
제가 태어나서 가장 좌절했던 때가 물리화학 배울때 였어요. 그때 생각하면 울고 싶어요. 진짜...
나는 누구? 여긴 어디? 이랬다능...
근데도 다시 도전하고 싶으니 아직 정신 못차린듯...
DoubleYellowDot
EBS에서 장하석 교수님께서 강의하시던 내용에 관한 책인가보군요. 강의도 조근조근 잘하셔서 티비로 보는데도 꽤 몰입이 잘됐습니다
오... 그랬군요. 동영상 찾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DoubleYellowDot
어..찾아보니 EBS에서 13부작으로 한 \'과학, 철학을 만나다\' 라는 프로그램인데 이건 동명의 책이 따로 있네요;;;
재밌겠어요. 한꺼번에 복습 겸 좀 봐야겠어요.
리니시아
[온도계가 틀리는지 틀리지 않는지를 알려면 정확한 온도를 알아야하는데 그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는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요? 너무나 당황스러운 질문입니다. 마치 단단한 땅에 발을 딪고 서있다 생각했는데 그 땅이 갑자기 사라지고 허공으로 던져진 느낌이죠]
와 이거 진짜 재밌네요.
과학을 중학교 이후 완전히 놔버린 제 입장에선 \'수학 = 과학\' 이라는 생각만 했었습니다.
무언가 법칙이 있고 계산하고, 가설을 세우고 또 계산하고 뭐 그런?
그런데 본문에 쓰신 온도계가 틀렸는지에 대한 문제, 단단했다고 생각했던 땅이 갑자기 허공으로 사라지는 듯한 느낌.
제가 생각했던 과학과 다른 느낌이라 굉장히 재미있네요~
과학=수학이라고 생각하기가 매우 쉽죠. 그런데 과학적 지식은 그것 또한 지식이기에 지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지식의 구조는 인식의 구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토대론과 정합론의 소통은 이러한 지식의 구조에 의탁할 수 밖에 없는 과학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구요.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오로지
글 재밌게 잘읽었습니다! 온도계 이야기가 흥미롭네요. 저는 (바슐라르-)알튀세르-바스카로 이어지는 과학철학을 공부했는데요. 이쪽 사람들은 온도계를 어떻게 믿을것인가의 문제가 과학적 질문이라기보다는 철학적 질문이고 철학이 과학을 전유하기 위한 시도라고 이해해요. 과학의 기초로서 철학(인식론)이 존재해야 한다는, 철학이 다시 학문의 여왕으로 등극하기 위한 시도들이라는 거죠. 저도 한번 읽고 감상평을 남겨보고 싶지만 게으름이 문제네요ㅠㅠㅠㅠ
오로지님 오랫만에 뵈어요. 전에 제 글에 댓글 달아주신거 기억하고 있어요. 항상 궁금했다능...
바슐라르에 대해 궁금한게 많은데, 후대의 학자들이 바슐라르와 쿤을 엮어 이야기한다는 이야기 들은 적이 있어요. 예전에 제 블로그 이웃이며 책도 여러권 펴내신 독서가 한 분이 가스통 바슐라르 엄청 좋아하셨거든요. 그때 귀동냥 좀 할걸... ㅠㅠ 바슐라르의 책은 구하기도 더럽게 어렵다능... 글좀 써주셔요. 저같은 사이비가 숨좀 죽이게요.
오로지
으악 기억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ㅜㅜ 부끄럽네요. 사실 저도 본문에 논의된 것과 비슷한 생각을 많이 했어요. 사회과학의 철학적 토대가 중요하다는 생각에 철학에서 사회학으로 전공을 바꾸고 대학원으로 진학했죠. 원래는 사회과학의 방법론과 인식론이 기초하고 있는 철학적 토대를 건드려볼 생각이었는데... 이게 실질적인 문제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 경험연구로 선회했어요. 게으름도 게으름이지만 사실 저도 초짜라 ㅠㅠㅠ 학부때 철학공부좀 더 해둘걸 그랬습니다 ㅠㅠㅠㅠ
음... 사회학의 방법론적 측면과 실질적 문제해결에 있어서 철학보다는 사회생물학이 더 유효하지 않나요? 그런 의미에서 철학이 과학을 전복할 일은 없지 않나 싶은데... 현상학이나 구조주의로 사회학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아직도 유효한지 궁금하네요. 지금의 사회학은 오히려 과학(생물학)쪽으로 기울지 않았나...저는 그렇게 알고 있어요.
오로지님이 말씀을 해주셔서 언젠가 한번은 이야기해보고 싶은 주제에 대해 다시 환기하게 되었어요. 저는 에드워드 윌슨 이후의 사회생물학에도 꽤 관심이 있어서... 나중에 이 주제로 글 한번 써보고 싶거든요. 그때도 좋은 의견 나눠주세요. ^^
\'노이라트의 배\' 메타포 이거 처음 봤는데 막 전율을 일으킵니다. 와...
원문이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여기 http://plato.stanford.edu/entries/neurath/

There is no way to establish fully secured, neat protocol statements as starting points of the sciences. There is no tabula rasa. We are like sailors who have to rebuild their ship on the open sea, without ever being able to dismantle it in dry-dock and reconstruct it from its best components. Only metaphysics can disappear without a trace. Imprecise ‘verbal clusters’ [Ballungen] are somehow always part of the ship. If imprecision is diminished at one place, it may well re-appear at another place to a stronger degree. (Neurath 1932/1983, 92)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그쵸? 정말 무릎을 탁 쳤다는 표현을 이럴 때 쓰는 것 같습니다. 원문을 찾아주시다니!!!
스마트폰 메모장에 저장해두고 그냥 외워버릴라고요.
링크해주신 페이지도 즐겨찾기 해뒀다능. 틈틈히 읽어야쥐~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꾸벅~)
*alchemist*
어라, 철학 이야기를 많이 하시길래 인문학이나 사회학도인줄 알았는데 과학도셨군요!
저는 고2때 수열, 극한, 미적분을 하면서 거기서 묘하게 \'신이 존재하시는구나\' 라는 걸 느꼈습니다.
오묘하게 딱딱 맞아나가는 그 세계의 규칙 속에서 \'이런 건 킹왕짱 쩌는 창조주가 만들었을꺼야\'라는 근거 없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그렇다고 기독교 식 일신론을 믿는 건 아니고... 세상 만물에 영혼이 있다 식+그래도 최고 창조주는 있을꺼야. 라는 식의 나름의 절충안(?)을 선택했습니다. 크크
어떻게 보면 비겁한 선택이긴 한데요. 아... 더 보기
어라, 철학 이야기를 많이 하시길래 인문학이나 사회학도인줄 알았는데 과학도셨군요!
저는 고2때 수열, 극한, 미적분을 하면서 거기서 묘하게 \'신이 존재하시는구나\' 라는 걸 느꼈습니다.
오묘하게 딱딱 맞아나가는 그 세계의 규칙 속에서 \'이런 건 킹왕짱 쩌는 창조주가 만들었을꺼야\'라는 근거 없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그렇다고 기독교 식 일신론을 믿는 건 아니고... 세상 만물에 영혼이 있다 식+그래도 최고 창조주는 있을꺼야. 라는 식의 나름의 절충안(?)을 선택했습니다. 크크
어떻게 보면 비겁한 선택이긴 한데요. 아무튼 보통은 과학공부하시는 분들이 유물론적이 되는 게 많은 걸로 아는데 저는 나름 특이한 테크트리를 탄 셈이지요..

측정 장비의 calibration, 정확성에 대한 고민은 진짜 크크.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무한히 말도 안되는 순환에 빠지죵... 그런 면에서 과학자들 존경함다 크크
DoubleYellowDot
연구 열심히 하다가 과학적 신뢰에서 종교적 신앙으로 진화하는 황우석 같은 사례를 떠올려보면 특이한 테크트리가 아니십니다 크크
*alchemist*
엥 흐흐 황우석씨가 그런 사례였었군요 크;;;
물리공부하다가 음양오행 찾는 이야기는 하루이틀 이야기가 아니라서... 흐흐흐
*alchemist*
크크;; 역시 그랬었군요!
세상의빛
최근 읽을 책에 갈증을 느끼고 있었는데, 좋은 책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이고... 제 흥에 겨워 쓰는 글인데 좋게 읽어주시고 일부러 인사남겨 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 (꾸벅~)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16 철학/종교비 내리는 진창을 믿음으로 인내하며 걷는 자. 8 심해냉장고 24/10/30 1459 21
1077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4 기아트윈스 21/04/02 8374 31
1018 철학/종교타이완바 세계사중국편 (5.4운동) 6 celestine 20/10/15 4883 11
1004 철학/종교나이롱 신자가 써보는 비대면예배에 대한 단상 14 T.Robin 20/08/31 5335 6
994 철학/종교최소한 시신은 없었다 6 아침커피 20/08/10 5664 17
981 철학/종교자제력, 지배력, 그리고 이해력 13 기아트윈스 20/07/10 6631 30
757 철학/종교율법주의 : 최후의 유혹 34 구밀복검 19/01/11 9044 28
742 철학/종교인생은 아름다워 22 기아트윈스 18/12/08 7922 50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952 24
653 철학/종교칸트 전집 번역 논쟁은 왜때문에 생겼나. 76 기아트윈스 18/06/28 8833 16
605 철학/종교감동(感動) 23 기아트윈스 18/03/22 7810 31
596 철학/종교옛날 즁궈런의 도덕관 하나 6 기아트윈스 18/02/23 7148 21
592 철학/종교푸코의 자기 배려와 철학상담(1) 3 메아리 18/02/11 6927 10
591 철학/종교한국 사회주의의 역사적 기원과 종말. 9 quip 18/02/11 8462 18
501 철학/종교정상영웅 vs 비정상영웅 93 기아트윈스 17/08/26 10553 25
335 철학/종교산타가 없다는 걸 언제쯤 아셨어요? 51 기아트윈스 16/12/30 8474 11
268 철학/종교다윗왕과 밧세바 이야기 구약 시대의 가장 큰 섹스 스캔들 20 기쁨평안 16/09/21 10590 14
261 철학/종교손오공과 프로도 배긴스 32 기아트윈스 16/09/04 8629 18
253 철학/종교주디 버틀러가 말하는 혐오언어의 해체 75 눈부심 16/08/21 11028 3
162 철학/종교매너의 진화 11 눈부심 16/02/28 7880 7
130 철학/종교과학의 역사로 읽어보는 형이상학의 구성과 해체 30 뤼야 15/12/13 8824 5
53 철학/종교보수, 진보, 도덕, 공리주의 23 눈부심 15/07/27 10512 0
14 철학/종교[서평] 빅데이터 시대 : 알고리즘적 자아와 존재론적 위기, <만물의 공식> 4 그녀생각 15/06/07 10528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