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9/29 01:20:37
Name   아침커피
Link #1   https://crmn.tistory.com/108
Subject   여백이 없는 나라
작년 말에 일본에 출장을 갔다가 쓴 글입니다.

출장 때문에 10년만에 도쿄에 갔습니다. 그 사이에도 몇 번 일본에 간 적은 있었지만 도쿄는 정말 오랜만이었습니다. 홍콩에 있다가 도쿄에 가니 땅이 참 넓었습니다. 홍콩에 살다 보면 길에서 사람들하고 부딪히는 것과 고층 건물 때문에 하늘을 못 보는 것이 일상이 되기 마련인데 도쿄에서는 길이 넓어서 걷기에 편했고, 고층 건물들이 띄엄띄엄 떨어져 있어서 하늘도 마음껏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분명 땅은 넓은데 뭔가 마음 한 구석이 답답했습니다. 왜 그럴까 고민하던 중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의문이 어느 정도 풀렸고, 저녁 식사 때문에 식당에 들어갔다가 의문이 완전히 해소되었습니다.

여백이 없어서 그랬습니다.

지하철에 붙어 있는 책 광고는 안그래도 띄어쓰기가 없는 일본어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여백도 없어서 광고판 테두리 직전까지 글자가 쓰여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박찬호 선수가 인스타그램에 일기를 논문 수준으로 빼곡히 쓴다고 화제가 되었지만 일본에서라면 아무런 화제가 되지 않을 것 같았습니다. 광고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지하철 역사도 온갖 표지판과 안내문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환승에 대한 표지판이 있으면 또한 그 표지판의 위치를 알려주는 화살표가 바닥에 그려져 있었고, 계단에는 모든 칸마다 우측통행이라고 딱지가 붙어 있었습니다. 그렇게 여백을 채우고 채우다 도저히 그 무엇도 붙일 수 없을 만한 곳이 나타나면 뜬금없는 문구라도 붙여 놓았습니다. "안전제일"

그렇게 지하철에서 어느 정도 생각이 정리된 상태로 식당에 들어갔습니다. 식당 안에도 여러 가지 안내문이 붙어 있는 것은 역시나였습니다. 의자에 앉았는데 그 순간 식탁과 의자 사이 공간에 참 절묘하다 싶을 정도로 가방 놓을 공간을 만들어 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여백이 없구나'라고 생각이 완전히 정리되는 순간이었습니다.

땅 좁고 사람 많은 것으로는 일본이 홍콩을 따라올 수 없습니다. 하지만 홍콩 사람들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넓게 삽니다. 식당 테이블이 4인용이면 그냥 거기에 앉아서 밥을 먹습니다. 그러다 보면 다른 사람이 별 거리낌 없이 바로 앞자리에, 심지어 어떤 때는 옆자리에 와 앉아서 밥을 먹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앉아서 밥을 먹게 될지언정 홍콩 사람들은 4인용 식탁에서 밥을 먹습니다.

일본은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 유명 라면집에 가면 한국 독서실 스타일로 1인용 식탁을 만든 뒤 칸막이까지 쳐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모르는 사람과 겸상하는 것은 일본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일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일본 문화는 개인에게 그 사람만의 공간을 만들어 주었지만 그 대신 그 사람의 공간은 그만큼 작아졌습니다. 칸막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400짜리 식탁을 홍콩식으로 4명이 공유하면 누군가는 120을 쓰고 누군가는 80을 쓰겠지만 식탁 400 전체를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식으로 칸막이를 치고 다 조각조각 나누어 놓게 되면 모든 사람이 각각 90씩을 쓰고 칸막이가 40을 차지하게 됩니다. 그 칸막이만큼 일본은 좁아집니다. 개인의 공간을 철저히 보장해 주는 대가는 공간의 축소인 것입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개인의 공간을 만들어 주었으니 수저통도 다 따로 놓아 주어야 하고 컵도 각각 따로 쌓아 놓아야 합니다. 홍콩식이었으면 하나만 있었으면 될 수저통이 네 개가 되어야 하고, 그 만큼 개인의 공간은 더더욱 줄어듭니다.

또한 개인 공간 보장은 각 개인의 무한한 책임을 수반합니다. 내 공간 안에서 내가 겪는 문제에 대해 그 누구의 도움도 기대해서는 안 됩니다. 내가 알아서 다 해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본 사람들은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으면 고맙습니다(아리가또 고자이마스)가 아니라 미안합니다(스미마셍)라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서(이를 '메이와쿠'라고 합니다) 안 그래도 좁은 내 공간 안에 모든 것을 다 갖추어 넣어야 하고, 그러다 보니 여백이 사라졌을 것입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엔가 그것이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친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을 것입니다.

식사를 마치고 다시 전철을 타고 숙소로 돌아오는 길, 광고판을 보니 역시나 일본어가 빼곡히 쓰여 있었습니다. 일본어와 한국어가 서로에게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언어라고 하지만 한국어에는 있는 띄어쓰기가 일본어에는 없습니다. 아마 앞으로도 주욱 그럴 것입니다. 그 띄어쓰기의 공간만큼 한국인은 일본에서 답답함을 느낄 것이고 일본인은 한국에서 허전함을 느낄 것입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10-12 00:1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6
  • 좋은 글은 추천입니다.
  • 멋진 비유와 통찰이 멋집니다.


절름발이이리
일본의 문자는 그렇다 치고, 절대적 공간의 여백이 부족한 이유중에는 마천루가 적고 스프롤현상이 만연한 탓도 크지 않나 마 생각을..
경계인
저도 일본에 있어보니 학회발표 슬라이드라든가, 영화포스터 에도 여백을 허용하지 않는 경향은 명확합니다.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다 집어넣어야 속이 시원하듯이 쏟아내는데, 정작 정보의 수용자 입장에서는...적당히 했으면 좋겠는데 라는 생각이 듭니다.
1
그저그런
심지어 일본은 사람들 마음에도 여백이 없는것 같아요.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가이브러시
뭔가 일본은 큰데 작다는 느낌을 갈때마다 받았는데..
완전동감합니다.
답은 대동아공영권이다! 아 이게 아닌가요...
아침커피
댓글 감사합니다 ^^ 대동아공영권의 공(共)이 일본 문화에게는 참 어색한 글자라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는 소리가 비는걸 원하지 않고 일본은 공간이 비는걸 원하지 않는건가요
1
왼쪽을빌려줘
일본어에는 띄어쓰기가 없었군요!! 분명 제2외국어 일본어 했었던거 같은데 전혀 기억이 안나네요.....
이상과 비상
집단주의적이지만 오타쿠 문화처럼 내부로 파고들어가는 개인주의는 인정하는 나라가 일본이라 그런 기묘한 모습이 나오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Thursday
존 목사님 띄어쓰기를 한글에 적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흑흑
1
Merrlen
생각해보니 그렇네요. 저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이며 봤습니다. 어디로 눈을 돌려도 빽빽한 느낌...
말씀하신대로 반대로 일본인의 우리나라에 와서 뭔가 허전함을 느낀다면, 그게 어떤 느낌일지도 궁금해집니다.
순수한글닉
아리가또라는 말도 어쩌면 여백 없음을 담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리(있다)+가토우(~기 어렵다라는 뜻의 고어)가 합쳐친 말이거든요. 즉, "있을 수 없는 일인데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뿌리를 가진 감사의 말입니다. 내 영역의 일은 내가 알아서 했어야 했는데...라는 죄책감을 전제로 한 것 같아 이 어원을 배우고선 찝찝했는데, 아침커피님의 통찰로 저도 생각 정리가 되네요.
3
띄어쓰기의 공간만큼 한국인은 일본에서 답답함을 느낄 것이고 일본인은 한국에서 허전함을 느낄 것입니다.
마지막 문장이 너무 멋지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972 16
1409 문화/예술2024 걸그룹 4/6 5 헬리제의우울 24/09/02 2572 13
1404 문화/예술[영상]"만화주제가"의 사람들 - 1. "천연색" 시절의 전설들 5 허락해주세요 24/07/24 1840 7
1402 문화/예술2024 걸그룹 3/6 16 헬리제의우울 24/07/14 2141 13
1393 문화/예술2024 걸그룹 2/6 24 헬리제의우울 24/05/05 2549 16
1349 문화/예술커버 댄스 촬영 단계와 제가 커버 댄스를 찍는 이유. 6 메존일각 23/12/25 2474 15
1306 문화/예술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반복 대사들 22 서포트벡터 23/06/14 4933 8
1304 문화/예술'이철수를 석방하라' 1 열한시육분 23/05/29 3232 13
1291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2. 샐리의 짝사랑 14 서포트벡터 23/04/05 3410 12
1289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1. 원작 만화처럼 로맨스 즐기기 16 서포트벡터 23/04/03 3600 9
1194 문화/예술2022 걸그룹 1/3 17 헬리제의우울 22/05/01 4544 19
1174 문화/예술한문빌런 트리거 모음집 27 기아트윈스 22/03/06 5700 53
1145 문화/예술회사 식당에서 만난 박수근 12 순수한글닉 21/11/19 6565 46
1011 문화/예술여백이 없는 나라 13 아침커피 20/09/29 6521 36
1009 문화/예술초가집과 모찌떡과 랩실 7 아침커피 20/09/24 4783 17
1003 문화/예술한복의 멋, 양복의 스타일 3 아침커피 20/08/30 5149 5
998 문화/예술술도 차도 아닌 것의 맛 7 아침커피 20/08/17 4859 19
988 문화/예술지금까지 써본 카메라 이야기(#03) – Leica X2 (이미지 다량 포함) 12 *alchemist* 20/07/23 5570 7
964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5746 18
947 문화/예술[번역] 오피니언 : 코로나 19와 동선추적-우리의 개인적 자유를 희생시킬 수는 없다. 39 步いても步いても 20/04/13 6460 6
856 문화/예술여러 나라의 추석 4 호타루 19/09/05 6570 8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740 7
809 문화/예술알라딘은 인도인일까? 28 구밀복검 19/05/28 10349 46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6756 11
773 문화/예술우리가 머물다 온 곳 9 사탕무밭 19/02/27 6312 1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