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8/01 17:38:57수정됨
Name   메존일각
Subject   <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풀잎님께서 사진 게시판에 올리신 '고려청자 사진'( https://kongcha.net/?b=16&n=1933 ) 중 잔탁이 눈에 띄어 간단히 써보는 글입니다.

나무를 베니 남산이 빨갛게 되었고 / 落木童南山
불을 피워 연기가 해를 가렸네 / 放火烟蔽日
청자잔을 구워내 / 陶出綠甆杯
열 중 우수한 하나를 골랐구나 / 揀選十取一
선명하게 푸른 옥빛이 나니 / 瑩然碧玉光
몇 번이나 매연 속에 파묻혔었나 / 幾被靑煤沒
영롱하기는 수정처럼 맑고 / 玲瓏肖水精
단단하기는 바위와 맞먹네 / 堅硬敵山骨
이제 알겠네 술잔 만든 솜씨는 / 迺知埏塡功
하늘의 조화를 빌려왔나 보구려 / 似借天工術
가늘게 꽃무늬를 놓았는데 / 微微點花紋
오묘한 것이 단청을 그린 것 같구나 / 妙逼丹靑筆
* 한국고전종합DB의 해석을 자의대로 조금 수정했습니다.

고려의 재상이었던 이규보(李奎報)의 문집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제8권의 시 중 일부입니다. 문집 내에는 청자에 대해 묘사한 시들이 여러 편 존재하는데, 본편은 고려청자를 설명할 때 서긍의 <고려도경> 등과 함께 가장 빈번히 인용되는 대목입니다. 김군(金君)이 청자 술잔을 두고 시를 지어 달라 하여 이규보가 백거이의 시운을 따라 시를 지은 것으로, 본래는 제목이 없었는데 후대에 시에서 청자에 대한 묘사 부분만을 떼어내어 '청자송(靑瓷頌)' 또는 '綠瓷杯(녹자배)' 정도로 부르는 모양입니다.


청자상감국화문잔탁(靑磁象嵌菊花文盞托) / 12~13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하늘의 기술을 빌려와(借天工術)' 완성된 청자 술잔 하나의 빼어난 자태를 세심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규보의 생전에 읖어진 것이니 최전성기를 맞이하던 13세기 초의 고려청자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죠.  

가마에 넣을 땔감용 나무를 많이 베어 산이 민둥산이가 된 모습이나 연기가 해를 가릴 만큼 강한 화력으로 청자를 공들여 굽는 모습이 머릿속에서 생생하게 그려집니다. 술잔에 새겨진 꽃무늬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니 순청자는 아니고 상감청자라는 것도 알 수 있네요. 당대나 지금이나 녹이나 청을 잘 구분하지 않는 것과는 별개로 청자의 빛깔을 비(翡)색 대신 녹(綠)색을 언급한 점도 흥미롭습니다.

참고로 동시기 중국의 청자는 용천요(龍泉窯, 현재의 저장성 용천현)의 것들이 가장 유명합니다. 아래의 사진들이 용천요 청자로 북송 말기부터 남송~원에 이르는 13~14세기에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시유를 두텁게 하여 투명한 느낌의 고려청자보다 불투명하고 뽀얀 느낌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좌) 청자어룡장식 꽃병(靑磁 魚龍裝飾 花甁) / 13세기 / 원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신안선 발굴)
(우) 마황반(馬蝗絆) / 13세기 / 남송 / 일본 국립박물관 소장 / 중요문화재(한국의 보물급)

여담인데 <동국이상국집>에서 '동국'은 동쪽 나라인 고려를 뜻하는 것이고, '이상국'은 저자인 이규보를 가리킵니다. 이규보가 고려의 재상 관직인 문하시랑(門下侍郞) 자리까지 올랐기 때문에 상국(相國)이란 호칭을 붙인 것이죠. 요즘 말로 치환하면 <대한민국 이총리 문집> 정도가 되겠네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8-13 11:4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7


    잔탁이라고 부르나보네요. 명칭을 어떻게 부르는지 몰라서 컵과 받침이라고 생각했는데요...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차나 커피 같은 걸 좋아하기때문에 더 흥미로왔는데..차가 아니라 술잔이었네요. 저는 차도 참 예쁘게 담아서 먹네라고... :)
    메존일각

    아 저건 찻잔과 찻받침이 맞을 겁니다. 저 정도로 화려하니 대단한 고급품이었겠죠. 제 지식 수준으로는 술잔이 어떻게 생겼는지 잘 모르겠어서 어쩔 수 없이 잔탁 사진을 썼습니다. ㅠㅠ 고려인들은 미치도록 술을 마셨다니까 저 잔탁은 어쩌면 술잔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겠죠.

    한데 청자 수요가 확 늘어난 건 차문화와 관련성이 큽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왕실, 귀족이나 사찰에서 차문화가 성행하기 시작했고 불교시대인 고려시대에 만개했거든요. 그게 청자의 고급짐과 딱 맞아 떨어져서 12세기부터 다구들이 엄청나게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 더 보기
    아 저건 찻잔과 찻받침이 맞을 겁니다. 저 정도로 화려하니 대단한 고급품이었겠죠. 제 지식 수준으로는 술잔이 어떻게 생겼는지 잘 모르겠어서 어쩔 수 없이 잔탁 사진을 썼습니다. ㅠㅠ 고려인들은 미치도록 술을 마셨다니까 저 잔탁은 어쩌면 술잔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있겠죠.

    한데 청자 수요가 확 늘어난 건 차문화와 관련성이 큽니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왕실, 귀족이나 사찰에서 차문화가 성행하기 시작했고 불교시대인 고려시대에 만개했거든요. 그게 청자의 고급짐과 딱 맞아 떨어져서 12세기부터 다구들이 엄청나게 유행하기 시작합니다.

    여담인데 고려시대의 찻잔은 지금의 것과 비교하면 엄청 컸습니다. 일반적인 찻잔은 사진의 완(宛)이었는데 입지름이 12~15cm 정도이고 두 손으로 받치고 마셨습니다. 지금은 잔이 극히 작아졌지만 이때의 습관은 그대로 이어져서 두 손으로 마시는 것 같습니다.
    사실 차를 마시게되면 머그컵 정도의 양으로 마시게되니 큰 사이즈도 말이되는것 같아요. 설명감사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972 16
    1409 문화/예술2024 걸그룹 4/6 5 헬리제의우울 24/09/02 2573 13
    1404 문화/예술[영상]"만화주제가"의 사람들 - 1. "천연색" 시절의 전설들 5 허락해주세요 24/07/24 1842 7
    1402 문화/예술2024 걸그룹 3/6 16 헬리제의우울 24/07/14 2142 13
    1393 문화/예술2024 걸그룹 2/6 24 헬리제의우울 24/05/05 2550 16
    1349 문화/예술커버 댄스 촬영 단계와 제가 커버 댄스를 찍는 이유. 6 메존일각 23/12/25 2475 15
    1306 문화/예술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반복 대사들 22 서포트벡터 23/06/14 4934 8
    1304 문화/예술'이철수를 석방하라' 1 열한시육분 23/05/29 3233 13
    1291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2. 샐리의 짝사랑 14 서포트벡터 23/04/05 3410 12
    1289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1. 원작 만화처럼 로맨스 즐기기 16 서포트벡터 23/04/03 3600 9
    1194 문화/예술2022 걸그룹 1/3 17 헬리제의우울 22/05/01 4545 19
    1174 문화/예술한문빌런 트리거 모음집 27 기아트윈스 22/03/06 5701 53
    1145 문화/예술회사 식당에서 만난 박수근 12 순수한글닉 21/11/19 6565 46
    1011 문화/예술여백이 없는 나라 13 아침커피 20/09/29 6522 36
    1009 문화/예술초가집과 모찌떡과 랩실 7 아침커피 20/09/24 4783 17
    1003 문화/예술한복의 멋, 양복의 스타일 3 아침커피 20/08/30 5151 5
    998 문화/예술술도 차도 아닌 것의 맛 7 아침커피 20/08/17 4860 19
    988 문화/예술지금까지 써본 카메라 이야기(#03) – Leica X2 (이미지 다량 포함) 12 *alchemist* 20/07/23 5571 7
    964 문화/예술간송미술관 두 보물 불상의 경매 유찰, 그리고 아무 소리 13 메존일각 20/06/01 5747 18
    947 문화/예술[번역] 오피니언 : 코로나 19와 동선추적-우리의 개인적 자유를 희생시킬 수는 없다. 39 步いても步いても 20/04/13 6461 6
    856 문화/예술여러 나라의 추석 4 호타루 19/09/05 6571 8
    840 문화/예술<동국이상국집>에 묘사된 고려청자 3 메존일각 19/08/01 5740 7
    809 문화/예술알라딘은 인도인일까? 28 구밀복검 19/05/28 10350 46
    798 문화/예술문화재로 지정된 전통 고택의 현황과 활용상 문제 22 메존일각 19/04/24 6759 11
    773 문화/예술우리가 머물다 온 곳 9 사탕무밭 19/02/27 6313 1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