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04 06:19:37
Name   뤼야
Subject   브람스 좋아하세요? - 클래식 입문하기
브람스의 교향곡이 단 4개 뿐인 사실을 아세요?
베토벤의 교향곡이 9개고, 말러의 교향곡은 그보다 한 개가 더 많은 10개죠.
베토벤과 말러의 교향곡 이야기는 다음 번을 기약하기로 하고 일단 브람스의 교향곡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1번부터 4번까지, 각 4개의 악장으로 도합 16개의 악장 중 다소 생뚱맞게 느껴지는 3번의 3악장을 제외하면
브람스의 교향곡은 개별 악장별로 기승전결이 매우 뚜렷하고, 악장 내부에서도 이미 탄탄한 완결성과 독특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나 브람스 1번의 1악장은 그 시작이 매우 강렬한데, 지휘자의 큐를 받자마자 관악기들이 일제히 내지르는 함성과 같은 소리는 청자를 혼란에 빠뜨립니다. 마치 롤러코스터를 탄 줄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추락하는 느낌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거대한 1악장에 비해 2악장은 상대적으로 왜소하게 느껴지는데 이는 3악장의 예고편격이죠.
4악장은 이제까지 전개된 주제를 하나로 완결하고, 강렬한 1악장을 다시 환기시키면서 마무리가 되지요.

대체적인 구조를 살펴보자면,
1악장 - A
2악장 - a'b
3악장 - b'c
4악장 - A'bC
와 같이 이루어 진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게 다 무슨 소용일까요? 정말 이런 구조를 아는 것이 클래식 음악을 제대로 이해하는 길일까요?
이 문제에 대해 온전히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연주자에 따라 30분에서 40분을 넘나드는 긴 곡을 '온전히 다 듣는다'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은
그저 흘려들어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클래식 음악을 입문할 때 제가 가장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방법이 곡을 온전히 다 듣지않고 듣기 좋은(?) 일부분만을 편집해서 듣는 것입니다.
시중에 이런 쓰레기같은 음반들이 많다는 것도 알고 있고, 궁금해서 그런 음반들을 들어보면 연주실력도 형편없는 것들이 보통입니다.
당연한 일입니다.
정말 좋은 연주는 이런 음반에 판권을 내 줄리가 없지요.

음악을 감상하는 것은 이론이 바탕이 된 사람이든 아니든 직관의 영역을 건드리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그 우열을 가리는 것은 무의미하죠.
그러나 한 사람의 직관은 단순하기도 하고 복잡하기도 합니다.
각자의 한계限界가 분명 존재하는 것이죠.
듣는 이의 경험과 지식, 그리고 감수성은 상호작용하며 길러지는 것으로 분명 거기에는 복잡한 역사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아마도 클래식을 듣는 재미라고 한다면 이렇게 [감수성을 훈련시키는 것]을 포함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무엇부터 들어야 할까요?
듣기 좋은 달달한 멜로디로 무장한 컴필레이션 음반으로는 이런 감수성이 길러지지 않는다고 했는데
그럼 바흐와 헨델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아님 더 앞선 몬테베르디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무음무조의 현대음악부터 시작해서 역사를 거스르는 방법은 어떨까요?
클래식 마니아들이 추천하는 [초보를 위한 100선] 이런 것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이 문제야 말로 가장 대답하기 어려운 문제이고, 가장 대답하기 싫은 문제이기도 합니다.
제 시작은 중학교 2학년때 들었던 모짜르트의 [Eine Kleine Nacht Musik] 이지만, 이 곡은 더 이상 제게 즐겁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만큼 제 감수성이 복잡해졌다는 뜻이지요.
여태 단 한번도 클래식을 들은 적이 없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 [감수성이 단순할 리는 전혀 없습니다.]
저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는 이유로 클래식에 입문하여 지금은 저보다 귀가 더 많이 트인 제 애인은 그 시작이 저와 같지는 않았으니까요.
아마도 애인에게 어린 시절 내가 걸었던 길을 그대로 답습하게 한다면 아마도 그는 클래식 음악을 지루하다 느꼈을테지요.

혹시나 Rock음악을 좋아하신다면, 브람스로 시작하는 것은 어떨까요?
1번 1악장을 듣고 토끼굴에 빠져본 경험이 당신을 몇년 후 클래식의 바다로 안내할 수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만약 제 글을 보시고 혹 하신 분이 계시다면 제가 추천드리는 브람스 1번 연주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좀 오래되었기 때문에 음원을 싼값에 구하기 매우 쉬운 것으로는

1. 푸르트뱅글러 지휘/베를린 필 연주/1952년도
2. 첼리비다케 지휘/뮌헨필 연주/1975년도 또는 1976년도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는

1. 아르농쿠르/베를린 필/1997년도
2. 사이먼 래틀/베를린 필/2008년도
3. 존 엘리엇 가디너/혁명과 낭만 오케스트라/ 2007년도

정도가 있겠습니다.

글이 길어지지 않도록 신경쓰다보니 못다쓴 내용이 많습니다.
여러분께 도움이 될 지도 확신이 안서구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다음번에는 [나만의 레퍼런스]만들기에 대해 써볼까 합니다.





0


    Holy shit !
    클래식관련글 읽다보니 어렸을 때 생각나네요.명절때 긴 시간을 차 타고 내려가는데 항상 라디오에서 샹송,가곡,클래식을 틀어놓던 아버지..
    생각해보니 집에 LP판으로 클래식 레코드판이 꽤 있는데 언제 시간나면 한번 들어봐야겠어요.
    어렸을 때 아버지가 자주 들으셨는데 일이 바뻐지고 독립하고 이것저것 하다보니 들을 생각도 못해봤네요.
    저도 LP세대는 아니지만 음반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 같았던 시절,
    그라모폰 노란딱지에 카라얀, 베를린 필의 사진이 밖힌 음반에 대한 추억을 간직한 클래식 매니아들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그분들이야말로 진정한 매니아지요.
    요새는 음원 구하기가 쉬워져서 어떤 연주든 수십번씩 다시 듣는 경우가 없게 되어버렸는데,
    이것은 득이기도 하고 실이기도 합니다.
    이 이야기는 기회가 된다면 다음번 [나만의 레퍼런스 만들기]에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헤칼트
    클래식.. 집에 어머니께서 저 태교할 적에 사두신 전집이 있긴 합니다. 몇 번 돌려들은 적도 있어요. 들을 때마다 가장 궁금했던 것이, 대중 음악은 가사라든가 멜로디에서 얻는 공감이 가장 중요하잖아요? 자신과 비슷한 감성을 가진 노래들을 좋아하게 되고요. 저는 쿨, 성시경, 토이 정도를 좋아합니다. 아주 재밌고 활기차거나, 아니면 담백하게 슬픈 노래들.
    그런데 클래식은 무얼 위한 음악일까..? 클래식을 들을 때도 대중 음악을 들을 때와 같은 감성이 느껴지는가요?
    차가운 도시남자 헤칼트님께는 쇼팽을 권해 드립니다.
    단, 쇼팽 피협은 빼구요.
    쇼팽 피협에 관한 이야기는 쇼팽편(언제???) 에서 하도록 하지요.

    참참... 어머니의 태교전집은 듣지마세요. 어머니의 추억으로 남겨두시길...
    레지엔
    브람스가 락 좋아했던 사람한테 괜찮나보군요. 한 번 들어봐야겠습니다. 보통 락/메탈-클래식 같이 듣는 분들 같은 경우에 추천하는게 프록메탈이 좋으면 쇼팽, 파워메탈이 좋으면 말러, 인더스트리얼이나 하이브리드 계열이 좋으면 바흐, 하드락 성애자는 베토벤들으라고 많이들 추천하시더군요. 근데 다 제대로 들어본 적이 없다는게 함정(..)
    기본적으로 교향곡은 베토벤에서 시작해서 베토벤에서 끝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브람스가 단 네개의 교향곡에서 그친 이유는 베토벤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이고
    브람스의 경우 상당히 성공적이어서 브람스만의 세계라 말할 수 있는 요소가 상당하나
    말러의 경우 열 개의 교향곡으로도 베토벤의 그늘을 한 치도 벗어나지 못했죠.
    베토벤을 들으실 요량이면 3번부터 시작하시면 좋겠습니다.
    1번과 2번은 교향악의 롹적 요소(?)가 상당히 부족하지요.
    레지엔
    안그래도 클래식 추천해주는 친구가 클라우디오 압바도 베토벤 교향곡 시리즈를 추천해주긴 했는데 아직 묵히고 있습니다(..) 근데 말러 설명 참 맘에 드는군요. 파워메탈 그 자체인데(..)
    말러에 대한 이야기는 차차 하도록하고... 사실 한때 저도 그 말러리안 이었더랬죠. 그나저나 그 친구분 맘에 쏙 듭니다. 이런저런 연주 다 골치아프다 하면 단연 아바도지요. 저도 베토벤 전집 꼽으라면 아바도 꼽습니다. 브람스 전집도 레퍼런스로 손색없구요. 아바도 왕팬입니다.
    음... 쇼스타코비치 5번 교향곡과 바이올린 협주곡들 추천드립니다.
    음알못이긴 하지만 컴필레이션에 대한 의견에는 완전 동감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ast of Us
    클래식은 듣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해요 집중력도 필요하고 지휘자에 따라 듣는 맛이 다르기도 하구요
    집에 가서 브람스 찾아 들어봐야겠습니다
    꼭 브람스 좋아하게 되셨으면 좋겠어요.
    좀 하드한 면이 있지만 듣고 있으면 소름 끼쳐요.
    삼성그룹
    브람스하면 저는 자장가가 가장 먼저 떠오르네요. 흐흐 개인적으로는 KBS 1FM에서 중계해주는 실황특집 중계방송을 녹음해서 소장중입니다. 다시듣기 녹음이 대부분이긴 하지만요. 흐흐;
    브람스는 자장가도 좋죠. 흐흐흐
    마이스타일
    저는 노다메로 클래식에 입문하고 그 즈음에 음대 기악과 다니는 여자를 만나면서 연주회도 따라다니게 됐네요
    그러다보니 노다메에 나왔던 곡들을 대체적으로 좋아하고 그 중에서는 노다메 영화판에 나왔던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과 브람스 교향곡 1번을 좋아합니다.
    물론 가장 좋아하고 유투브로 영상을 많이 찾아본건 베토벤 9번이네요
    오! 저랑 취향이 많이 비슷하세요. 차이콥스키 바협같은 경우는 우리나라에서 무대에 매우 자주 오르는 곡에 속합니다. 여자친구분이랑 같이 다니시면 좋겠네요.
    좋은 글이네요. 음악처럼 색깔도 경험에 따라 다양한 색을 구분하고 볼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색을 보는 것도 스스로 훈련시키면 어느정도까지 일반 사람들보다 예민하게 구분할 수 있던데,
    음악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게 있어서 브람스와 다른 사람의 브람스는 같아보여도 정말 다르겠죠.
    저는 한아님의 영화글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artino
    전 개인적으로 브람스 음악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저와 맞지 않아요...ㅠ_ㅠ
    브람스를 좋아하려고 몇 번이나 시도해봤는데 잘 되지 않더라구요... 비슷하게 쇼팽 피아노 협주곡도 저와 맞지 않는...
    락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그런가... 흐흐흐
    음... 쇼팽의 피협은 쇼팽 특유의 감성이 덜하고 매우 고전적인 양식을 취하고 있지요. 혹시나 루빈스타인의 연주를 구하실수 있으면 한 번 들어보세요. 루빈스타인이 쇼팽 피협 2번 2악장 중간에 삑사리 낸걸 찾아내면서 좋아하게 되실 수도 있지요.
    표절작곡가
    브람스는 완성도와는 별개로 저와는 궁합이 안맞나봅니다....
    여행으로 치면,,,
    교향곡국에 베토벤 광역시는
    구석구석 골목까지 거의 아는데 반해
    심지어 주소를 외우는데도 있죠,,,
    한때는 제가 합창구에서 좀 살았었드랬죠..^^
    브람스시는 시내에 주요 명소만
    조금 아는 정도네요...^^
    거의 시내 조금 들려서 셀카 몇 개 찍는 정도만
    했드랬죠...

    오히려 브람스곡에 감동 받은 건
    현악 사중주, 현악 오중주입니다...
    여린 감수성을 깨우기에는
    이만한게 없어요...... 더 보기
    브람스는 완성도와는 별개로 저와는 궁합이 안맞나봅니다....
    여행으로 치면,,,
    교향곡국에 베토벤 광역시는
    구석구석 골목까지 거의 아는데 반해
    심지어 주소를 외우는데도 있죠,,,
    한때는 제가 합창구에서 좀 살았었드랬죠..^^
    브람스시는 시내에 주요 명소만
    조금 아는 정도네요...^^
    거의 시내 조금 들려서 셀카 몇 개 찍는 정도만
    했드랬죠...

    오히려 브람스곡에 감동 받은 건
    현악 사중주, 현악 오중주입니다...
    여린 감수성을 깨우기에는
    이만한게 없어요...
    베토벤이야 더 말이 필요없지요.
    위에도 밝혔지만 교향곡은 베토벤에서 시작해 베토벤에서 끝난다고 생각해요.
    브람스 현악사중주도 좋아하지만,
    개인적으로 현악사중주는 베토벤 후기 작품을 매우 좋아합니다.
    저는 교향곡 자체가 너무 어렵습니다. 클래식을 듣게 되면 바흐 파르티타/무반주첼로/평균율/골드베르크변주곡만 계속 돌려 듣게 되더라고요. 이 기회에 브람스도 한 번 들어봐야겠네요. 앞으로 쓰실 글들이 더 넓게 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근데 사실 브람스보단 프랑수와즈 사강 책이 더 끌리네요. 아직 안읽어봤거든요 흐흐. 먼저 읽는다고 브람스를 더 재밌게 들을 수 있다거나 하진 않겠지만..
    바흐를 좋아하는 은님은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스타일???
    기회가 된다면 안너 빌스마가 고악기 첼로로 연주한 첼로조곡을 들으러 예당갔던 이야기 해볼게요. 은님 반가와요.
    분석하면서 듣는 게 아니라서 잘 모르겠네요 흐흐. 여튼 저도 정말 반갑습니다.
    darwin4078
    브람스 좋아합니다. 웬지 무겁고 음울하고 늦가을에 에스프레소 한잔 하면서 들어줘야 할것만 같은 그 느낌적인 느낌이 좋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브람스 교향곡 1번 1악장의 포스는 진짜...
    합창 4악장 도입부와 더불어 좋아하는 부분입니다.
    저랑 취향 완전 일치하는 분을 드디어 발견했네요. 반갑습니다!!!! 브람스 1번은 사실 머리에 쥐가 나는 느낌이에요. 팔다리에 닭살도 돋아요. 크크크 ^^;;;
    XellOsisM
    여유 있을때 무료로 풀린 클래식 음원 하나 둘씩 다운받아 듣는게 요즘 소소한 취미인데 저는 베토벤이 맞는것 같아요. 위에 레지엔님이 하드락 성애자는 베토벤이라 하셨는데 그래서 그런가요 흐흐. 락음악에는 브람스라고 하시니 브람스도 한번 시도 해봐야겠습니다. 얼마전에 소소하게 head-fi 구성했더니 음악이 땡깁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려요.
    좋은글이라 해주시니 감사해요. 베토벤은 뭐랄까요. 찬사를 하는 것이 우스운 음악가죠. 그의 교향곡 9개는 인류를 외계인에게 소개할때 필요한 예술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즐겁게 들으시고 같이 이야기도 나눠요.

    제가 많이 컴맹이라 그림 올리는 것도 잘 모르고... 공부해서 그림도 올려볼께요.^^;;;
    어린시절, 학교에서 공책 앞면에 존경하는 위인과 좌우명을 적으라고 했었죠. 그 위인이 베토벤이었습니다. 하하
    존경하는 위인이니까 당연히 그의 음악을 테입으로 구해서 돌비로 들었었죠;; 교향곡 5번과 9번. 아마 카라얀 80년대 연주였을 겁니다.
    베토벤 대푸가도 충격이었구요.
    말러는 왠지 저와 안맞는것 같고, 의외로 부르크너가 좋더군요~
    말러는 참 극명하게 호불호가 갈리는 듯한데...
    사실 말러는 특유의 뽕끼(?)가 있지요. 흐흐흐
    그런 면에서 말러는 음악홀에 어울리는 작곡가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홀에서의 잔향과 반향이 주는 입체감이 없다면, 그외의 매력이 좀 부족하다는 생각이거든요.
    자꾸 베토벤과 말러를 비교하는 것 같아 혹시나 말러를 좋아하는 분들께 죄송하긴 하지만
    베토벤은 전무후무 더 이상 말이 필요없지요. 너무나 명료해서 머리가 시원해지는 느낌이지요.
    부르크너를 좋아하신다니 나중에 부르크너 이야기도 좀 하고 싶어지네요.
    혜리님 반갑습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60 7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532 10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314 7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김비버 25/04/06 406 3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297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10 명동의밤 25/04/05 991 10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848 33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808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740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104 8
    15355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574 16
    15354 일상/생각이상적인/사악한 아름다운 한국 사회 11 골든햄스 25/04/02 951 9
    15352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2.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15 토비 25/04/02 602 21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477 43
    15350 오프모임4월 5일 5시 학동역 세종한우 갑시다. 20 송파사랑 25/04/01 1006 6
    15349 정치젊은 공화국의 미망 - 12·3 계엄과 장기 내란 3 meson 25/04/01 755 7
    15348 경제[개업인사] 법률사무소 간성 김태웅 변호사 개업인사 135 김비버 25/03/31 1916 102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4 kaestro 25/03/31 417 2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409 5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719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400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663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55 명동의밤 25/03/26 2269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 25/03/26 534 5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21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