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01 14:23:35 |
Name | 녹풍 |
Link #1 | http://hackya.com/kr/%ED%81%B4%EB%9D%BC%EC%9A%B0%EB%93%9C%ED%94%8C%EB%A0%88%EC%96%B4-cloudflare-%EB%A5%BC-%EC%93%B0%EC%A7%80-%EB%A7%90%EC%95%84%EC%95%BC-%ED%95%98%EB%8A%94%EC%9D%B4%EC%9C%A0/ |
Subject | 유료 DNS 서비스 사용시 장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
유료로 프리미엄 DNS 서비스를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DNS 속도가 올라가 SEO가 개선된다거나 DDOS 방어에 좋다거나 그런 장점이 있는 것일까요? DDOS 방어 때문에 클라우드플레어를 사용할까 하고 알아 봤는데, TTFB(Time to First Byte, 첫 바이트 도달 시간)을 늦게 만들어 구글 SEO에 불리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일단 유보하고 테스트해 보는 중입니다. 그럼 차라리 dnsever 같은 유료 DNS 서비스를 사용해서 TTFB를 더 빠르게 만들고 DDOS 방어 기능도 갖추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제가 모르는 프리미엄 DNS 서비스의 장점이 있지는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어떻게들 생각하시나요? 0
|
DNS를 뭘 쓰느냐에 따라 첫응답이 느릴 수 있다는 얘기군요.
클라우드 플레어인지 뭔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링크타고 접속한 사이트에서 ddos방지용 페이지가 뜨는걸 최근에 많이 본 것 같습니다.
몇초 카운트를 세고 해당 사이트로 redirect시키는 방식이었는데, 그 페이지를 거치니 접속은 3~4초 이상 느려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만, 그렇게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걸 감수하고 ddos를 완벽히 막을 수만 있다면 선택할만한 선택지일수도 있겠다 싶더군요.
한번은 오유에서 봤고, 한번은 나무위키에서 본 것 같습니다. 둘 다 ... 더 보기
클라우드 플레어인지 뭔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링크타고 접속한 사이트에서 ddos방지용 페이지가 뜨는걸 최근에 많이 본 것 같습니다.
몇초 카운트를 세고 해당 사이트로 redirect시키는 방식이었는데, 그 페이지를 거치니 접속은 3~4초 이상 느려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만, 그렇게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걸 감수하고 ddos를 완벽히 막을 수만 있다면 선택할만한 선택지일수도 있겠다 싶더군요.
한번은 오유에서 봤고, 한번은 나무위키에서 본 것 같습니다. 둘 다 ... 더 보기
DNS를 뭘 쓰느냐에 따라 첫응답이 느릴 수 있다는 얘기군요.
클라우드 플레어인지 뭔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링크타고 접속한 사이트에서 ddos방지용 페이지가 뜨는걸 최근에 많이 본 것 같습니다.
몇초 카운트를 세고 해당 사이트로 redirect시키는 방식이었는데, 그 페이지를 거치니 접속은 3~4초 이상 느려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만, 그렇게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걸 감수하고 ddos를 완벽히 막을 수만 있다면 선택할만한 선택지일수도 있겠다 싶더군요.
한번은 오유에서 봤고, 한번은 나무위키에서 본 것 같습니다. 둘 다 같은 페이지였고...
저도 DNSever.com 을 유료로 쓰고 있긴 합니다. 과거엔 무료였던걸 유료화한건데... 그냥 단순히 관리상의 편의 때문에 쓰던걸 계속 쓰는 거구요.
성능상의 잇점은 없지 않을까 싶네요.
트래픽 적은 사이트 도메인을 여러개 걸어놓으면 너무 요금이 많이 나가는거 같아서 지금은 많이 사용하는 몇개 도메인만 걸어놓았습니다.
클라우드 플레어인지 뭔지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링크타고 접속한 사이트에서 ddos방지용 페이지가 뜨는걸 최근에 많이 본 것 같습니다.
몇초 카운트를 세고 해당 사이트로 redirect시키는 방식이었는데, 그 페이지를 거치니 접속은 3~4초 이상 느려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만, 그렇게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걸 감수하고 ddos를 완벽히 막을 수만 있다면 선택할만한 선택지일수도 있겠다 싶더군요.
한번은 오유에서 봤고, 한번은 나무위키에서 본 것 같습니다. 둘 다 같은 페이지였고...
저도 DNSever.com 을 유료로 쓰고 있긴 합니다. 과거엔 무료였던걸 유료화한건데... 그냥 단순히 관리상의 편의 때문에 쓰던걸 계속 쓰는 거구요.
성능상의 잇점은 없지 않을까 싶네요.
트래픽 적은 사이트 도메인을 여러개 걸어놓으면 너무 요금이 많이 나가는거 같아서 지금은 많이 사용하는 몇개 도메인만 걸어놓았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