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0/31 17:09:49
Name   진준
Subject   신춘문예의 계절이 다가옵니다.
저는 이과입죠.........네...이공계(.....)

그러나 초중딩 친구들은 상당수가 문과이고 문학을 전공했습니다. 그래서 이 맘 때쯤이면 열병(!)에 시달리지요.

작품(!)들을 준비하고, 저에게 심사를 부탁합.....니다. 그런데 문학 같은 건 교양 없는 아재형 아가씨가 알 도리가 없습! 니다!

아는 거라곤 안도현의 '너에게 묻는다' 석 줄에 문학 시간에 주워들은 거 몇 개 뿐이지만 이것도 온전히 아는 게 아니구요. ㅠㅠ




그런데 이 친구들 작품(!)이 상당히 그렇습니다.

희곡 등등은 다 모르니 제끼고, 소설과 시만 보자면



소설 : 욕 + 섹스 + 폭력 + 알 수 없는 문학적 장치들

시 : 이상보다 더 이상 같은 시들.........인데.




이렇게 안 쓰면 안 뽑히나요? ;;;;;;;;;;;

'너에게 묻는다'는 석줄이면서 콱 박히는 게 있잖아요. 얘네들은, 짧은 산문스러우면서 뭔가 아방가르드하고, 심사위원 정도가 아니면 풀 수 없는 암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안 쓰면 안 뽑힌대요. 뭥미?

당선작을 보래서 인터넷 뒤져서 당선작을 보니까, 당선작도 뭔 말인지 모르겠고요.

유명하다 할 법한 시는 어려운 부분이 조금 있어도 뭐랄까, 주제 정도는 느껴지고 감동 같은 것도 있고 그렇잖아요. '사평역에서'...같은 거 뭔지 몰라도 뭔가 뭉클한 구석이 있구요. 옆에서 누가 암호처럼 풀어주지 않아도(...) 딱 정확하게는 못 짚어내도 으아~ 하는 구석이...



문학하는 애들이 옆에 있어도 "요즘 신진 작가 누구누구가 괜찮다카더라" 라는 얘기 전혀 안 들리는 게 이런 거랑 약간 상관이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세대 교체가 안 된다고 해야 되나? 90년대 작가들이 지금도 한 끗발들 하는 거 같구요. 제가 서른 조금 안 됐으니까 상당히 젊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어리기도 한데, 아니 문청은 이렇게나 많은데 왜 젊은 작가는 없는 게지? 요? 제가 문외한이라 그런가요...

스마트폰에 인터넷 때문에 문학이 죽어간다는 건 사실일지도 모르겠는데...아무튼 꽤 슬픈 일입니다. 이런 게 뽑히면 쓴 애들이랑 심사위원이랑 시인 or 작가 밖에 못 읽는 거 아닐지...제가 무식한 건지 아니면 다들 이런 느낌이신지...이런 느낌을 없애고 아방가르드(제 기준)를 해석하려면 뭔 책을 봐야 되나요?


아니면 화끈하게 그냥 신춘문예가 다 없어져 버렸으.............(죄송합니다)


['너에게 묻는다'처럼 강력한 석 줄 쓰면 안 뽑히나요?]


홍차넷에 계신 문청들 화이팅입니다. 그런데요 저는 아방아방하지 않은 시와 소설이 보고 싶어요! 그렇게 휩쓸어주세요! 제가 책도 사드립니다!



3
  • 신춘문예글을 추천드려야지요!
  • 시는 황인찬 추천드립니다. 주류 스타일과 꽤 다른데 콱 박히는 게 있어요.


노력해볼게요
초판본 싸인해 드릴게요
..나중에요
마투잘렘
저 또한 일년의 반을 신춘문예뽕을 맞고 사는지라...남일같지가 않습니다.
신춘문예에 매번 도전하고, 당선작들을 매번 보지만서도 도대체 이놈들은 무슨 이야기를 이렇게 어렵게 써 놓은건지 알 수가 없을때가 많습니다.
문학이라는게 사람들에게 두루 공감을 주고 읽히고 재미있어야 한다는게 제 주의인데, 너무 현학적이고 철학적이라고 봐요. 물론 문학에 등수를 메기려니 기술적인 면도 볼 수 밖에 없다지만, 일반인들이 접하기에는 너무 어려운 글들이지요.

누구에게나 인상을 깊게 남길 수 있는 글이라는 게, 참 어렵네요.
givemecake
생각해보면 저도 순문학을 꿈꾸던 문학소년(?)이었는데 말이죠.(...)
지나가던선비
힙스터 처럼 글을 쓰는 사람들이 많은거같더군요 저도 공감합니다
국내문학에 쏟는 관심이라곤 이상문학상 정도만 매년 체크하는 정도인데... 재밌던데요 ㅎ
신춘문예에 먹히는 공식은 있다고 들었습니다. 뭔가 입시 느낌이지만 교수들이 키우기도 하구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01 도서/문학ㅋㅋㅋ 6 알료사 16/11/20 4126 0
4068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13 AI홍차봇 16/11/03 4821 0
4045 도서/문학신춘문예의 계절이 다가옵니다. 6 진준 16/10/31 4457 3
3968 도서/문학어른들을 위한 그림책 카페, 달달한작당 2 Toby 16/10/20 7034 5
3920 도서/문학노벨문학상 제도에 관한 단상 67 Moira 16/10/15 8341 3
3860 도서/문학밀란 쿤데라 무의미의 축제 5 알료사 16/10/10 5267 4
3814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10 AI홍차봇 16/10/03 4346 0
3784 도서/문학채식주의자(The Vegetarian) 번역자 데보라 스미스씨 만난 썰 39 기아트윈스 16/09/27 7589 7
3761 도서/문학책읽기에 관한 생각 하나. 28 기아트윈스 16/09/24 6978 3
3739 도서/문학[마르크스 사상사 시리즈] 1. 맑스?마르크스? 29 nickyo 16/09/21 5923 5
3637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6 AI홍차봇 16/09/03 3572 0
3597 도서/문학독서 노트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19 리틀미 16/08/28 6312 0
3570 도서/문학여러분의 국어 어휘력을 테스트하겠습니다. 44 Toby 16/08/24 53501 0
3522 도서/문학[책나눔]포토샵 배우실 분? 11 난커피가더좋아 16/08/15 5041 7
3457 도서/문학[스포] 블리치 13 피아니시모 16/08/06 5956 1
3431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2 AI홍차봇 16/08/03 3431 1
3387 도서/문학히틀러 <나의 투쟁>을 읽고 6 DrCuddy 16/07/28 9401 11
3353 도서/문학삼국지에서 가장 싸움을 잘하는 건 누구일까? 30 Raute 16/07/26 9185 0
3343 도서/문학[왕도의 개], 겨레의 형편을 넘어서는 도리가 있음을 믿는가? 6 커피최고 16/07/24 8018 4
3342 도서/문학보유 서적 중에 가장 소장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책은 무엇입니까? 72 관대한 개장수 16/07/24 11776 1
3219 도서/문학[펌] 글쓰기란 병법이다 14 기아트윈스 16/07/07 5479 3
3180 도서/문학지난 달 Yes24 도서 판매 순위 2 AI홍차봇 16/07/03 4223 0
3150 도서/문학레진코믹스 이용 한 달 후기 11 Raute 16/06/28 8000 2
3078 도서/문학정유정 신작 종의 기원을 읽고(스포없음) 4 nickyo 16/06/20 5314 2
3031 도서/문학"한국 노벨상 집착 당황스럽다" 33 기아트윈스 16/06/15 6229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