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6/19 00:35:50 |
Name | 헤칼트 |
Subject | \'타는 목마름으로\'가 표절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습니다.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헤칼트님의 최근 게시물
|
전경린에 대한것도 시끌시끌 하더군요.
http://kangtaforever.cafe24.com/xe/?comment_srl=222959&mid=new_fee&order_type=desc&page=28&sort_index=readed_count&cpage=1&document_srl=323341
이게 성지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http://kangtaforever.cafe24.com/xe/?comment_srl=222959&mid=new_fee&order_type=desc&page=28&sort_index=readed_count&cpage=1&document_srl=323341
이게 성지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이름\'의 반복 \'쓴다\'의 반복, \'이름을 쓴다\'의 반복.
일반론적으로 말했을 때, 저 정도 유사성에 표절이라는 선고는 가혹해보임.
(물론 김지하가 \'자유\'를 먼저 읽고 몇 년 경과한 후 무의식적으로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름/상징\', \'이름을 쓴다\'라는 모티브/표현방식을 \'자기 기만적 창조 작업\'에 의해 \'타는 목마름으로\'를 썼을 가능성은 있음--창작자라면 거의 모두가 그러한 경험이 있음. 그렇다고 해서 바로 표절이 되는 것은 아님. 표절 여부는 표현의 유사성 여부가 핵심임. 내가 보기엔 분... 더 보기
일반론적으로 말했을 때, 저 정도 유사성에 표절이라는 선고는 가혹해보임.
(물론 김지하가 \'자유\'를 먼저 읽고 몇 년 경과한 후 무의식적으로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름/상징\', \'이름을 쓴다\'라는 모티브/표현방식을 \'자기 기만적 창조 작업\'에 의해 \'타는 목마름으로\'를 썼을 가능성은 있음--창작자라면 거의 모두가 그러한 경험이 있음. 그렇다고 해서 바로 표절이 되는 것은 아님. 표절 여부는 표현의 유사성 여부가 핵심임. 내가 보기엔 분... 더 보기
\'이름\'의 반복 \'쓴다\'의 반복, \'이름을 쓴다\'의 반복.
일반론적으로 말했을 때, 저 정도 유사성에 표절이라는 선고는 가혹해보임.
(물론 김지하가 \'자유\'를 먼저 읽고 몇 년 경과한 후 무의식적으로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름/상징\', \'이름을 쓴다\'라는 모티브/표현방식을 \'자기 기만적 창조 작업\'에 의해 \'타는 목마름으로\'를 썼을 가능성은 있음--창작자라면 거의 모두가 그러한 경험이 있음. 그렇다고 해서 바로 표절이 되는 것은 아님. 표절 여부는 표현의 유사성 여부가 핵심임. 내가 보기엔 분위기가 비슷하다/모티브가 비슷하다/영향을 받았다 정도이며 따라서 작품성에 흠이 생겼다 정도이지, 그걸 넘어 표절이라는 판정은 가혹하다 생각함.)
(참고로 요즘 문제되는 무슨 \'기쁨을 아는 몸\' 운운하는 문장은 한 번 읽고 바로 \'이건 표절이다\' 라는 생각이 들었음)
다만 詩라는 장르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그런 걸 잘 아는 전문가가) 표절이라 선언할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은 듦.(내 아마추어적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는 말)
문제는 그러한 특수성을 감안한 표절 입증이라는 결과물을 들이밀며 주장을(표절이라는) 해주어야 하는데,
눈을 씼고 봐도 그게 없음. 즉, 주장만 있고 전문적인 검증작업이 없음.
일반론적으로 말했을 때, 저 정도 유사성에 표절이라는 선고는 가혹해보임.
(물론 김지하가 \'자유\'를 먼저 읽고 몇 년 경과한 후 무의식적으로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름/상징\', \'이름을 쓴다\'라는 모티브/표현방식을 \'자기 기만적 창조 작업\'에 의해 \'타는 목마름으로\'를 썼을 가능성은 있음--창작자라면 거의 모두가 그러한 경험이 있음. 그렇다고 해서 바로 표절이 되는 것은 아님. 표절 여부는 표현의 유사성 여부가 핵심임. 내가 보기엔 분위기가 비슷하다/모티브가 비슷하다/영향을 받았다 정도이며 따라서 작품성에 흠이 생겼다 정도이지, 그걸 넘어 표절이라는 판정은 가혹하다 생각함.)
(참고로 요즘 문제되는 무슨 \'기쁨을 아는 몸\' 운운하는 문장은 한 번 읽고 바로 \'이건 표절이다\' 라는 생각이 들었음)
다만 詩라는 장르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그런 걸 잘 아는 전문가가) 표절이라 선언할 가능성도 있다는 생각은 듦.(내 아마추어적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는 말)
문제는 그러한 특수성을 감안한 표절 입증이라는 결과물을 들이밀며 주장을(표절이라는) 해주어야 하는데,
눈을 씼고 봐도 그게 없음. 즉, 주장만 있고 전문적인 검증작업이 없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