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3/09 19:59:16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독일언론에서 긁어오기 - 알파고
알파고와 이세돌간의 대국 기사가
메인 페이지에 떳길래 긁어옵니다...
((발번역 주의))

Google-Software gewinnt gegen Go-Weltmeister
구글 소프트웨어가 세계 바둑 챔피언을 이겼다.

Mensch unterliegt Maschine: 
Der Computer AlphaGo hat die erste Runde gegen den Go-Weltmeister gewonnen. 
Lee Sedol gab die Partie nach dreieinhalb Stunden auf.
인간이 기계에게 지고 말았다.
컴퓨터 알파고가 첫 게임에서 세계 바둑 챔피언을 이겼다.
이세돌은 3시간 반만에 그의 차례를 포기하였다.



Weltmeister Lee Sedol macht beim Duell mit dem Computer AlphaGo seinen ersten Zug. © Lee Jin-man/AP/dpa
바둑 챔피언 이세돌이 컴퓨터 알파고와의 대결에서 자신의 첫 수를 두고 있다. Ap통신 이진만 기자

Die erste Runde des Brettspielduells zwischen dem Weltmeister Lee Sedol und dem Computer AlphaGo hat die künstliche Intelligenz gewonnen. Nach dreieinhalb Stunden erklärte sich Lee Sedol für geschlagen, da er keine Siegeschancen mehr sah.  
AlphaGo ist eine Entwicklung von Google Deepmind, der Computer hat bereits den dreifachen Go-Europameister Fan Hui bezwungen. Das Duell zwischen Mensch und Maschine geht insgesamt über fünf Runden und findet in der südkoreanischen Hauptstadt Seoul statt. Der Gewinner erhält eine Million US-Dollar (900.000 Euro).
이세돌과 알파고 사이에서의 첫 바둑 대결에서 인공지능의 승리로 끝났다.
3시간 반만에 이세돌은 이길 수 있는 수가 더 이상 보이지 않자 패배를 인정했다.
알파고는 구글 딥마인드의 개량형이며 그 컴퓨터 인공지능은 이미 바둑 유럽 챔피언을 3회나 차지한 판 후이를 꺾은 적이 있다.
인간과 기계와의 대결은 5라운드까지 진행되며 한국의 수도인 서울에서 개최된다.
승리자는 100만 달러를 받게 된다.(90만 유로)

Go ist ein traditionelles asiatisches Brettspiel. Es gilt als komplizierter als Schach und sollte daher eigentlich für eine künstliche Intelligenz schwer zu verstehen sein. Experten für künstliche Intelligenz hatten bis vor Kurzem noch prognostiziert, es würde ein weiteres Jahrzehnt dauern, bis Computer professionelle Go-Spieler schlagen könnten. Lee, der 18 internationale Titel gewann, zeigte sich vor dem Auftaktspiel noch siegessicher: Er werde "haushoch" gewinnen. AlphaGo wurde allerdings entworfen, um Einfühlungsvermögen beim Bewältigen komplexer Aufgaben zu imitieren.  
바둑은 아시아 전통의 보드게임이다.
체스보다 더 복잡하다고 여겨지며 그래서 정말 인공지능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인공지능 전문가들은 컴퓨터가 프로 바둑기사를 이기려면 적어도 10년은 더 걸릴 것이라고 예견했었다.
18번이나 세계대회 타이틀을 거머쥔 이세돌 기사는 이 개막전에 앞서서 승리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또 큰 점수 차이로 이길 것이라고도 하였다.
그렇지만 알파고는 어려운 과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한 감정이입능력을 흉내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Beim Go-Spiel müssen die Spieler versuchen, die gegnerischen Steine zu umzingeln und wegzunehmen. Wer die meisten Felder erobert hat, gewinnt. Es gibt eine fast unbegrenzte Zahl von Positionen auf dem Spielfeld. Das erfordert von den Spielern auch, sich bei Zügen auf ihre Intuition zu verlassen.
Die Partie zwischen AlphaGo und Lee folgt einer Reihe von Brettspielduellen zwischen einer künstlichen Intelligenz und einem Menschen. Im Schach werden schon lange Computer eingesetzt. Für Aufsehen sorgte 1997 etwa der Computer Deep Blue von IBM, der gegen den Weltmeister Garri Kasparow gewann.
바둑에서 대국자는 상대의 돌을 포위하고 제거하도록 시도해야한다.
가장 많은 칸을 차지한 사람이 이긴다.
바둑판위에선 둘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거의 무한하다.
이것은 대국자에게 자신의 직관을 믿도록 만들기도 한다.
알파고와 이세돌 기사와의 대국은 인간과 기계와의 보드게임 대결과 맥을 같이 한다.
체스에서는 컴퓨터가 이미 오래전에 승리한 바 있다.
1997년에는 아이비엠 컴퓨터 딥블루가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겨서 주목 받은 바 있다.


2016년 3월 9일 10시 22분. 차이트지 온라인

Zeit라는 일간지입니다.. 굳이 한국어로 해석하자면 시대일보~(?) 쯤 됩니다..
어쨌든,,
인간과 인공지능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마지막 보루가 깨졌다라는 측면에서
이 대국을 다뤘네요...

다음에도 또 올릴게요~슝~



1


    Beer Inside
    바둑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람이 많으니 기사를 쓰기도 참 어렵군요.
    정작 이겼다 외에는 별 내용이 없이 바둑 설명이네요 ㅎㅎ
    그래도 덕분에 해외에서 보는 시선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마르코폴로
    독일소식 잘 보고갑니다.
    눈부심
    무인운전차가 나오기 6년 전쯤에는 인공지능이 차를 운전하는 건 \'불가능\'이라고 못박아 놓았더래요. 그런데 인공지능차가 떡 나옴.
    바둑도 인공지능이 이기지 못할 것이란 예측을 적지 않게 본 것 같은데 떡 이긴..
    근데 바둑을 몰라서 얼마나 대단한 건지 감이 안 와요.
    최고의 인공지능은 아무래도 유머감각과 화술이 뛰어나서 사람의 마음을 확 사로잡는 류가 최고가 아닐까 싶어요.
    그렇다면 인간의 가치는 뚝 떨어지고야 말 거란 생각이 들어요.
    April_fool
    인공지능 개발에 낙관적인 사람들의 불만이 그거죠. 왜 ‘인공지능이 할 수 없다’고 단언한 것이 가능해지면, 그건 어느새 [인공지능]의 범주에서 빠진 것처럼 되어 버린다고. 실제로는 모두 인공지능에 속하는 것인데 말이죠.
    그나저나 사람의 마음을 확 사로잡을 정도로 유머감각과 화술이 뛰어난 인공지능이라니, 그거야말로 사람 쩌리되기 딱 좋은 조건이군요.

    과연 인간은 다시금 고대 그리스·로마의 귀족과 같은 삶을 누릴 수 있게 될까요?
    서양인들도 관심이 많군요.
    April_fool
    당연하죠. 알파고는 딥블루, 왓슨을 잇는 AI 역사의 새로운 마일스톤이거든요.
    소노다 우미
    그러고보니 보통 독일언론이라고 언급되는 곳중에 Zeit의 비중이 상당히 높네요. 이름은 외워놔야겠습니다.
    눈부심
    한 50년 지나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수다 떠는 사람들 중 봇이 떡.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95 7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178 2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 큐리스 25/04/23 327 9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 흑마법사 25/04/22 294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682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77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19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94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8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74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33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53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51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58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57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65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6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89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79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98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61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53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72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94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6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