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0/23 14:13:01수정됨
Name   Hard Rock Cafe,
Subject   개신교 이야기가 자주 나와서 적어보는 글 (부제 : 인간은 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가?)

개신교 계열은 이미 완료된 신의 행동을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범접할 수 없는 신의 행동을 미천한 인간이 어떤 의미일까 해석하는 구도입니다. 그 층위의 차이에서 논리적 불합리가 발생합니다. 신의 전언을 인간의 입으로 말하는 순간, 신의 의도가 왜곡되며, 모순이 발생하는 메타적인 발언이 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태초에 하나님이 모두의 의견을 수용하라 하셨나니." 라고 말했다고 가정합시다.
신실한 신자 A는 이를 실천합니다. 그런데 불신자 B가 "나는 모든 의견을 수용하지 않을거야!" 라고 말합니다.
A는 B를 보고 a) "옳지 않아, 당신은 하나님의 말대로 모든 의견을 수용해야해!" 라고 말하거나 b) "그래, 나는 B의 의견도 수용해야해."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둘 다 깨림칙하죠? 1번은 모순이 되어버리고, 2번은 신의 전언을 무시하는 사람을 방임한겁니다.

이렇듯 인간의 어떤 발언도 신의 전언을 완벽하게 적용하고 실천할 수 없으며, 그것이 인간의 '원죄'' '죄성의 근원'이라고 생각합니다. 원죄는 성경 처음인 창세기에 기록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그걸 읽은 인간들은 무엇이 달라졌을까요? 몇 천년 간 (자잘하게 또는 크게) 종파 교체가 반복되면서도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이들은 권력을 얻어 성장하고, 자신을 부인하는 신흥세력을 박해하며, 암암리에 퍼져나간 신흥세력을 이기지 못하고 권력붕괴로 쇠퇴합니다. 역사를 지배했던 종파들은 왜 떳떳하게 내려오지 못했을까요? 그렇다면 이들이 잃은 것은 궁극적인 진리일까요? 아뇨, 그들이 잃은 것은 권력과 품위이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추하게 버텼습니다.

현재 시대에도 상황은 동일합니다. 모든 기독교, 개신교인은 (이런 글을 쓰는 저를 포함해서) 자신의 고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신앙생활을 합니다. 나의 믿음이 진리이고 되길 원하며,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신앙생활' 이란 것을 합니다. 그렇게 하면 내가 죄에서 벗어나고, 진리에 가까워진다는 착각과 함께요. 아이러니하게도 예수는 인간세상에 내려면서 신이라는 고결함을 버렸습니다. 그리고 십자가형은 더러움의 끝이 된거고요. 개신교인들은 예수님처럼 살겠다고 외칩니다. 그러려면 당신은 유다보다 더 끔찍한 사람이 되어야합니다. 성경의 다른 멋있는 인물이 되겠다는 사람은 많지만, '내가 유다가 되겠다!'라는 사람은 못봤습니다. 오히려 그런 유다들을 '일부'라고 칭하며 배척하는 모습은 셀 수 없이 목격했습니다.

여하튼 요즘 종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서 기시감을 느낍니다. 구조적으로 썩을 수 밖에 없는 속을, 나의 믿음이라는 코팅으로 감싸고, 벗겨지고 상처나는 걸 싫어하는 모습에서 말입니다. 저는 그런 분들의 믿음이 산산조각 났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만 썩을 수 밖에 없는 자신의 본질을 목격할테니까요. 물론 저도 마찬가지고요.

----------------------------------------------------

글감은 예전부터 생각을 해두었는데, 글쓰기 버튼을 못누르고 있었네요.
홍차넷에 명필 분들이 많다보니 내놓기 부끄럽습니다



1


    [그러려면 당신은 유다보다 더 끔찍한 사람이 되어야합니다] 라는 표현은 선뜻 동의가 되지 않네요.
    더럽고 힘든 일도 감수하거나 기꺼이 받아들여야 한다고 하면 동의하겠습니다만, 고결함을 버리는 행동의 결과를 끔찍함이라는 부정적인 표현으로 설명하거나, 유다에 연결하는게 자연스럽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예수는 선한 행동을 위해 고결함을 버린 것이지만, 유다는 그렇게 해석하기 어려우니까요.

    개신교의 많은 이들이 자의적인 믿음으로 신앙생활을 하고, 배척하지 않아야 할 이들을 배척하며, 썩어있는 모습들이 있다는데는 동의합니다.
    1
    어느 한 쪽을 선택하면 논리적으로 모순이 되는 상황을 가정하시면서 그것을 원죄라고 표현하신데에 대해서도 동의하기는 어렵습니다. 기독교는 그 게임을 거부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 여인을 돌로 쳐야하는지 대답하라는 게임과 돌로 떡을 만들어 먹으라는 게임을 예수가 거부했던 것 처럼요. 출구를 막아놓은 이지선다를 들이 밀며 신에게 따져묻는 인간에게 하나님의 능력은 그러한 게임을 뛰어넘는 층위에 있다. 라고 말하는 것이 성경의 스탠스라고 생각합니다.

    원죄는 사람들마다 다른 해석을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저는 원죄라는 개념을 말하는... 더 보기
    어느 한 쪽을 선택하면 논리적으로 모순이 되는 상황을 가정하시면서 그것을 원죄라고 표현하신데에 대해서도 동의하기는 어렵습니다. 기독교는 그 게임을 거부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 여인을 돌로 쳐야하는지 대답하라는 게임과 돌로 떡을 만들어 먹으라는 게임을 예수가 거부했던 것 처럼요. 출구를 막아놓은 이지선다를 들이 밀며 신에게 따져묻는 인간에게 하나님의 능력은 그러한 게임을 뛰어넘는 층위에 있다. 라고 말하는 것이 성경의 스탠스라고 생각합니다.

    원죄는 사람들마다 다른 해석을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저는 원죄라는 개념을 말하는 것이 참된 기독교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원죄를 얘기하면 인간은 모두 죄를 물려받았다 식으로 얘기 되는 경우가 많아서요. 죄인된 본성이 있다는 것과 죄를 지은이의 후손이어서 죄인이다는 완전히 다른 얘기이니까요. 후자는 기독교를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는 잘못된 관점이라고 봅니다.

    음... 하드락카페님이 얘기하신건 제가 얘기한 후자는 아니지만... 말씀하신 설명으로 원죄라는 개념을 동의하기 어렵고 '왜 이 맥락에서 그 표현이 나오지?' 라는 생각이 드는 의아한 방식으로 사용하신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저와는 다른 방식으로 원죄를 이해하고 계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Hard Rock Cafe,
    오... 피드백 감사합니다! 생각 정리하여 댓글 드려보겠습니다..
    제가 어떻게 원죄를 이해하는지는 제대로 안적은 것 같아서 부연해보자면...

    저는 아담이 죄를 지어서 우리가 죄인이 된게 아니라, 아담이 지었던 죄를 똑같이 짓는게 우리 인간이다. 라는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더 옳다고 생각합니다. 아담이 지었던 죄라는건 [하나님의 다스림 안에서, 하나님과 함께 세상을 다스리는 동반자로 살아가는 질서]를 버리고, [하나님을 배제한 채로 자신이 이 세상의 주인이 되어 살아가고자 했다] 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님 ... 더 보기
    제가 어떻게 원죄를 이해하는지는 제대로 안적은 것 같아서 부연해보자면...

    저는 아담이 죄를 지어서 우리가 죄인이 된게 아니라, 아담이 지었던 죄를 똑같이 짓는게 우리 인간이다. 라는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더 옳다고 생각합니다. 아담이 지었던 죄라는건 [하나님의 다스림 안에서, 하나님과 함께 세상을 다스리는 동반자로 살아가는 질서]를 버리고, [하나님을 배제한 채로 자신이 이 세상의 주인이 되어 살아가고자 했다] 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님 처럼 되고자 했다' 라는 말의 의미는 이것을 뜻한다고 생각하고요.

    그리고 원죄, 자범죄라는 개념은 이미 구원을 받았다고 믿는 신자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은혜를 생각하게 하는 맥락에서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존재적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죄와, 지은 죄 모두를 예수가 해결해주셨다라는 차원에서요.

    그런데 현실은 단어 자체의 뉘앙스가 '아담이 죄 지어서 너놈도 죄인됐음'의 뉘앙스가 너무 강해서 그냥 그 단어를 안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Hard Rock Cafe,
    우선 긴 피드백 감사합니다. 홍차넷 분들의 회초리 맞을 각오로 적었는데, 막상 받고나니 너무 아파서 댓글 보기가 무서웠습니다. 그만큼 괴팍한 내용이었는데도, 정성스러운 피드백을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1. '원죄'가 아니라 아담부터 내려온 인간의 '죄성의 근원' 이 조금 더 적절한 표현 같습니다.
    선생님께서 이해하신 원죄는 제가 이해한 원죄와 같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내가 하나님이 되겠다.] 라는 내용이겠죠. 동일하게 생각합니다. 인간의 죄성과 그 근원에 대해선 이렇게 정리하겠습니... 더 보기
    우선 긴 피드백 감사합니다. 홍차넷 분들의 회초리 맞을 각오로 적었는데, 막상 받고나니 너무 아파서 댓글 보기가 무서웠습니다. 그만큼 괴팍한 내용이었는데도, 정성스러운 피드백을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1. '원죄'가 아니라 아담부터 내려온 인간의 '죄성의 근원' 이 조금 더 적절한 표현 같습니다.
    선생님께서 이해하신 원죄는 제가 이해한 원죄와 같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내가 하나님이 되겠다.] 라는 내용이겠죠. 동일하게 생각합니다. 인간의 죄성과 그 근원에 대해선 이렇게 정리하겠습니다. 1.인간은 어쩔 수 없이 죄를 지을 수 밖에 없는 불완전한 존재이다. (즉, 자연적인 인간은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있다.) > 2. 그 원인이 본문에서 [이렇듯 인간의 어떤 발언도 신의 전언을 완벽하게 적용하고 실천할 수 없으며..]이다. (온전히 이해할 수 없음에서 비롯된다.) > 3. 즉, 2는 '1의 근원'이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1을 '인간의 죄성'이라고 한다.
    라고 정리하겠습니다. 본문에서 '원죄'라 작성한건 1,2,3의 논리흐름을 정립하지 못해 첨예하게 도출하지 못한 단어입니다.
    1
    스톤위키
    거의 모든 문단이 기독교 교리에 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이뤄져있어..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1
    Hard Rock Cafe,
    선생님 혹시 하나만 짚어주실 수 있겠습니까?
    1
    스톤위키
    [개신교 계열은 이미 완료된 신의 행동을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일단 개신교는 종교지 학문이 아닙니다. 학문은 "신학"이라는 별도의 영역이 있습니다.
    완료된 신의 행동을 해석하지 않습니다. (솔직히 완료된 신의 행동을 해석한다는 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개신교의 신은 시간의 영역을 초월해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완료"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인간의 관점에서는 시간의 전부터 시간의 종말까지 이 우주가 신의 주관아래 있으며
    신자는 그 안에서 신이 이 지구 위에서 신자... 더 보기
    [개신교 계열은 이미 완료된 신의 행동을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일단 개신교는 종교지 학문이 아닙니다. 학문은 "신학"이라는 별도의 영역이 있습니다.
    완료된 신의 행동을 해석하지 않습니다. (솔직히 완료된 신의 행동을 해석한다는 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갑니다.)
    개신교의 신은 시간의 영역을 초월해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완료"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인간의 관점에서는 시간의 전부터 시간의 종말까지 이 우주가 신의 주관아래 있으며
    신자는 그 안에서 신이 이 지구 위에서 신자 자신이 존재하는 의미를 찾고 그것을 행하기 위해 살아갑니다.
    그것의 개념은 "Alreday But Not Yet"의 개념입니다.

    신의 행동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성경이나 꾸란을 말하는 건가요? 그건 인간에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해준 메세지입니다.

    범접할 수 없는 신의 영역을 이해할 수 있도록 경전으로 쓰여진 것을 (기독교 한정) 성경이라 하고 그것을 계시(Revelation)이라고 합니다.
    스톤위키
    [예를 들어 "태초에 하나님이 모두의 의견을 수용하라 하셨나니." 라고 말했다고 가정합시다.]

    가정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건 "이 세상에 동그란 삼각형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랑 같은 말입니다.
    모든 의견을 수용하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일단 개신교에서 신의 요구사항은 "신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 입니다. 사랑의 정의가 일치되지 않고 많은 의견들이 있지만 일단 대전제는 그러합니다.

    왜나면 이러한 신의 요구사항은 인간의 본성이 근원적으로 지향하는 바... 더 보기
    [예를 들어 "태초에 하나님이 모두의 의견을 수용하라 하셨나니." 라고 말했다고 가정합시다.]

    가정 자체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건 "이 세상에 동그란 삼각형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랑 같은 말입니다.
    모든 의견을 수용하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일단 개신교에서 신의 요구사항은 "신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 입니다. 사랑의 정의가 일치되지 않고 많은 의견들이 있지만 일단 대전제는 그러합니다.

    왜나면 이러한 신의 요구사항은 인간의 본성이 근원적으로 지향하는 바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신학에서는 내재적인, 선험적인 도덕률에 대한 것 역시 신의 속성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렇게 인간의 근원적인 본성은 선을 행하기 원하나 또 다른 근원적인 욕망이 그 선을 이루는 것을 방해합니다.
    여름날 내가 덥운게 싫어서 에어컨을 트는 것은 죄가 아닙니다.
    그러나 그런 사람들의 욕망이 모여서 거대한 환경파괴를 초래합니다.

    어느정도 중진국 이상의 생활수준을 영위하는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 필요한 단백질의 양보다
    초과하는 고기를 먹습니다.
    이게 죄가 아닙니다. 그러나 그런 사람들의 욕망이 모여서 비인간적인 동물 사육, 또 거대한 자연 오염을 초래합니다.

    원죄라는 것은 이런 광의의 "자기 중심성"에 가깝습니다. (보다 신학적인 논의를 할 상황은 아니라 판단되네요)

    어찌됐건 이러한 요구사항은 신자의 입장에서만 유효합니다. 비신자의 입장은 '그게 나랑 무슨 상관이야?' 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걸 강요하는 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정상적인 신자들은 하지 않습니다.

    다만 맛집을 소개하거나 좋은 영화를 추천하듯이 '소개'를 하는 것이고 또 실제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써
    신의 뜻에 부합하도록 노력하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이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을 감화시키는 것. 이것이 전도입니다.

    [깨림칙][모순][방임]이 무슨 말인지 전혀 모르겠네요.
    ------------------------
    신실한 신자 A는 이를 실천합니다. 그런데 불신자 B가 "나는 모든 의견을 수용하지 않을거야!" 라고 말합니다.
    A는 B를 보고 a) "옳지 않아, 당신은 하나님의 말대로 모든 의견을 수용해야해!" 라고 말하거나 b) "그래, 나는 B의 의견도 수용해야해."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둘 다 깨림칙하죠? 1번은 모순이 되어버리고, 2번은 신의 전언을 무시하는 사람을 방임한겁니다.
    서포트벡터
    먼저 저는 비종교인임을 밝히고 말씀드리자면

    종교적으로 "전언"을 정언명령으로써 문자에 맞춰 해석하는 것이 매우 신앙과 거리감 있게 느껴집니다. 이를테면 "너의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이 이웃에게 성애를 가지라는게 아닌 것을 비종교인인 저조차도 본능적으로 압니다. 그렇게 주장하는 자가 있다면 논리적인 사람이 아니라 미친 사람이겠죠.

    저처럼 비종교인에게조차 울림이 되는 로마서 2장 15절을 예시로 하겠습니다.

    "그들의 양심이 증언하고 그들의 엇갈리는 생각들이 서로 고발하기도 하고 변호하기도 하면서, 그들은 율법에서 요구... 더 보기
    먼저 저는 비종교인임을 밝히고 말씀드리자면

    종교적으로 "전언"을 정언명령으로써 문자에 맞춰 해석하는 것이 매우 신앙과 거리감 있게 느껴집니다. 이를테면 "너의 이웃을 사랑하라"는 것이 이웃에게 성애를 가지라는게 아닌 것을 비종교인인 저조차도 본능적으로 압니다. 그렇게 주장하는 자가 있다면 논리적인 사람이 아니라 미친 사람이겠죠.

    저처럼 비종교인에게조차 울림이 되는 로마서 2장 15절을 예시로 하겠습니다.

    "그들의 양심이 증언하고 그들의 엇갈리는 생각들이 서로 고발하기도 하고 변호하기도 하면서, 그들은 율법에서 요구하는 행위가 자기들의 마음에 쓰여 있음을 보여 줍니다."

    우리는 이미 날 때부터 양심이 있는 자들이 아니겠습니까. 그 사실을 외면하고 마치 종교인들의 신앙을 양심에서 벗어난 정언명령에 대한 추종으로 이해하면 맹목적인 신앙을 신앙 전체로 확장시키는 것이 아닐까요?
    블레쏨
    [모든 기독교, 개신교인은 (이런 글을 쓰는 저를 포함해서) 자신의 고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신앙생활을 합니다. ]
    전 자신을 돌아보기 위해서인 것 같아요. 그리고 나 자신을 살필때마다 고결함과의 거리가 멀다는 사실을 확인하죠.

    "고결함을 유지"한다는 말이 참 인상적이네요.
    교회 다닌다는 사람은 꽤 많이 만나봤지만 [유지]할만한 고결함을 가진 분은 거의 못 본 것 같거든요. 물론 저 자신을 포함해서요.
    듣보잡
    종교라는 게 결국 자신의 믿음에 기반한 것이고 이 글도 상당히 종교적인 것이 맞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24 철학/종교파시즘의 망령 1 Anthony's father 25/01/20 956 0
    15222 철학/종교교회에 대한 기대를 조금 더 버리며(의식의 흐름에 따라) 4 레일리처럼될래요 25/01/20 926 9
    15090 철학/종교할일 없는김에 써보는 미신(신점 사주 등) 후기 9 다른동기 24/12/04 1218 0
    14570 철학/종교토비와 함께한 월요일 [1편] 7 saint 24/04/01 2007 0
    14393 철학/종교저는 종교는 없지만 유신론자입니다. 9 인프피남 24/01/11 2163 0
    14219 철학/종교개신교 이야기가 자주 나와서 적어보는 글 (부제 : 인간은 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가?) 12 Hard Rock Cafe, 23/10/23 2423 1
    13966 철학/종교성경 탐구자를 위한 기초 가이드북을 만들어보았습니다.(무료) 4 스톤위키 23/06/08 2537 7
    13952 철학/종교기독교가 동성애를 죄악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8 컴퓨터청년 23/06/05 2759 0
    13148 철학/종교뉴스레터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홍보- 3 Thy킹덤 22/09/11 3338 6
    12084 철학/종교태극기 네 귀퉁이의 막대기는 무엇일까? 5 요일3장18절 21/09/17 5188 2
    12021 철학/종교설문조사 결과 발표 (두둥) 9 매뉴물있뉴 21/08/27 4094 4
    12012 철학/종교[설문조사 진행중] 건전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시급) 30 매뉴물있뉴 21/08/25 3951 2
    11923 철학/종교덤으로 사는 인생입니다. 좋은 일 하며 살겠습니다. 7 right 21/07/26 4768 6
    11819 철학/종교바라는대로 되는것이 꼭 좋은 것은 아니다 16 right 21/06/25 5523 3
    11543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2 기아트윈스 21/04/02 6473 26
    11397 철학/종교(번역)자크 엘륄: 우리가 자유롭다는 환상 6 ar15Lover 21/02/06 5172 6
    11164 철학/종교보증 서는 것에 대한 잠언의 이야기 2 아침커피 20/11/23 4936 6
    11153 철학/종교천륜에 도전하는 과학, 더 이상 회피할 수 없는 철학 28 sisyphus 20/11/19 5949 4
    11055 철학/종교타이완바 세계사중국편 (5.4운동) 4 celestine 20/10/15 4108 8
    10959 철학/종교"꽃들도" 가사에 담긴 일본 기독교 사상 분석 3 아침커피 20/09/16 7076 4
    10903 철학/종교나이롱 신자가 써보는 비대면예배에 대한 단상 8 T.Robin 20/08/31 6387 6
    10894 철학/종교5월 이후 종교별 코로나 집단감염사례 6 유럽마니아 20/08/28 5487 0
    10878 철학/종교이별의 시간이 정해져 있는 나는 오랜 친구에게.. 25 사나남편 20/08/24 5680 9
    10865 철학/종교교회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7 호타루 20/08/17 5576 2
    10848 철학/종교최소한 시신은 없었다 6 아침커피 20/08/10 5319 1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