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3/05 19:52:23 |
Name | 私律 |
Subject | 징병제의 침략전쟁 방지기능? |
우크라이나 전쟁이 아무도 생각치 못한 길로 가고 있습니다. 우리도 당하지 않으려면 찬찬히 뜯어보고 꼼꼼히 곱씹어봐야 겠죠. - UAV가 생각만큼 활약을 못한 것 같습니다만, 앞으로 다가올 전쟁에서 UAV가 덜 쓰일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저공비행을 하든 스텔스를 하든... - 대전차 미사일은 거의 스타가 되었죠? - 전차가 사라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만, 무인전차가 유인전차를 대신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그냥 제가 해본 뻘 생각들인데... 아마 군사분야 전문가들이 열심히 연구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건 그렇고, 저는 옛날부터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ㅡ모병제/징병제 논의 중 제대로 다뤄지지 않고 있는ㅡ 징병제의 가장 강력한 장점 가운데 하나는, 침략전쟁의 방지가 아닐까? 예전에 이라크 전(쿠웨이트를 침공했던 걸프전 말고)을 보면서, 만약 미국이 징병제 국가였다면, 전쟁이 일어났을까 생각했거든요. 그 앞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베트남전 당시 반전운동이 정말 컸다죠. 만약 징병제가 아니었어도 베트남전 당시 반전운동이 그렇게 크게 일어났고, 그 정도 정치적 의미를 가졌을까? 싶었습니다. 그런데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의 투항과 사보타지를 전해 듣자니, 다시 이 생각이 듭니다. 모병제였어도 이 정도였을까? 그리고 푸틴도 정치적으로 내상을 크게 입었구나 싶습니다. 과연 징병제가 아니었어도 이럴까? 만약 징병제로 군에 간 러시아 인들이 우크라이나 침략이 아니라 '미 제국주의자들의 침공에 맞서 제2차 대조국 전쟁을 했다면' 어떠했을까? 지금보다 더 잘 싸웠겠죠. 하지만 침략전쟁이 되면? 때 되면 제대하는데 제대로 싸울 리가. 물론 직업군인도 침략전쟁을 좋아할 리는 없습니다만, 징집병과는 다르겠죠. 그리고 사회의 일부일 뿐인 직업군인층의 사상자와 사회 대다수인 일반인 남성들의 사상자: 숫자는 같을지라도 사회적 파장과 정치적 의미는 완전히 달라지겠죠. 직업군인이 죽거나 다치면 그냥 안타까운 남의 이야기일 뿐이겠지만, 당장 내가 군에 가서 *될 수도 있고, 내 아들이 죽거나 다칠 수 있다면? 결국 침략전쟁에서는 제대로 말을 듣지 않는 군대, 사상자가 나오면 정치적 부담이 더욱 커지는 군대. 이것이야 말로 침략전쟁에 대한 확실한 안전판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앞으로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직업군인의 숫자와 군에서의 역할은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창칼들고 싸우던 시절도 갑사가 중요했다는데, 우린 듣도보도 못한 무기를 쓰는 요즘에야 말할 것도 없죠. 하지만 일반 국민이 군대에서 가지는 중요성도, 군사적 의미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의미까지 생각한다면 한동안 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무슨 얘기가 어떻게 나올지 몰라 카테고리를 정치로 했습니다. * 개인사정으로 댓글에 대한 답변은 내일 해드릴 것 같습니다. 1
|
징병제가 침략전쟁을 막는지는 모르겠지만 실패하게 만들기는 하는 것 같습니다. 우왕좌왕하는 러시아 군도 그렇지만 2020년대의 한국군만 봐도 징병제 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많거든요. 부적응자 및 복무기피자들이 엄청나게 많고 걔네들을 관리하는데 엄청난 자원이 소모되고 있습니다. 요새는 군에서도 꾸며내는지 아닌지 거르지 않고 최대한 빨리 내보내는 방식으로 해결하고는 있습니다만, 그 전까지는 괜찮은 대여섯명을 데려다 불성실한 병사 한 명을 관리하는 꼴이라 사실 제대로 돌아가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당장 군 의료체계만 해도 환자 아닌 환자들이... 더 보기
징병제가 침략전쟁을 막는지는 모르겠지만 실패하게 만들기는 하는 것 같습니다. 우왕좌왕하는 러시아 군도 그렇지만 2020년대의 한국군만 봐도 징병제 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많거든요. 부적응자 및 복무기피자들이 엄청나게 많고 걔네들을 관리하는데 엄청난 자원이 소모되고 있습니다. 요새는 군에서도 꾸며내는지 아닌지 거르지 않고 최대한 빨리 내보내는 방식으로 해결하고는 있습니다만, 그 전까지는 괜찮은 대여섯명을 데려다 불성실한 병사 한 명을 관리하는 꼴이라 사실 제대로 돌아가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당장 군 의료체계만 해도 환자 아닌 환자들이 너무 많아서 뭐가 안 돌아가고 있죠.
아무리 기깔나는 장비를 쓰고 시스템이 잘 되어있더라도 (그렇지도 않습니다만) 일선 병사들이 타국에서, 심지어 침략전쟁이라는 멍에를 쓰고 주어진 군사적 활동을 수행할 능력이 없으리라고 봅니다.
뭐 모병제 하면 아예 사람 자체가 없어서 방어전도 못하는거 아니냐! 고 물으시면 사실 할 말은 없습니다만ㅋㅋㅋ 여성 징병도 솔직히 나도 갔으니 니네도 가야된다! 이런 차원의 주장이지 군대의 기능이나 역량을 고려해서 하는 주장은 아니니까요.
아무리 기깔나는 장비를 쓰고 시스템이 잘 되어있더라도 (그렇지도 않습니다만) 일선 병사들이 타국에서, 심지어 침략전쟁이라는 멍에를 쓰고 주어진 군사적 활동을 수행할 능력이 없으리라고 봅니다.
뭐 모병제 하면 아예 사람 자체가 없어서 방어전도 못하는거 아니냐! 고 물으시면 사실 할 말은 없습니다만ㅋㅋㅋ 여성 징병도 솔직히 나도 갔으니 니네도 가야된다! 이런 차원의 주장이지 군대의 기능이나 역량을 고려해서 하는 주장은 아니니까요.
제가 04년도 입대했을 때 배치된 대대에는 2중대가 없었습니다. 2중대는 통채로 이라크에 파병이 되었고 중대 단위로 파병 간 것은 전 군에서 단 두 경우 뿐이라고 대대 간부들은 자부하더군요. 전투부대였습니다. 장갑차 대대였으니까.
제가 들어왔을 때에는 이미 끝난 일이었지만, 당연히 부모님까지 동의해야 하는 파병동의서를 받아야 했었는데 대대 내에서 경쟁률이 엄청났고 떨어진 사람이 많았다고 하더군요. 그 이유는 일반병이면 단돈 한 푼 없이 전역하지만 이라크 파병 된 사람은 복무는 2년 똑같지만 파병수당 때문에 전역 시 몇 천 단... 더 보기
제가 들어왔을 때에는 이미 끝난 일이었지만, 당연히 부모님까지 동의해야 하는 파병동의서를 받아야 했었는데 대대 내에서 경쟁률이 엄청났고 떨어진 사람이 많았다고 하더군요. 그 이유는 일반병이면 단돈 한 푼 없이 전역하지만 이라크 파병 된 사람은 복무는 2년 똑같지만 파병수당 때문에 전역 시 몇 천 단... 더 보기
제가 04년도 입대했을 때 배치된 대대에는 2중대가 없었습니다. 2중대는 통채로 이라크에 파병이 되었고 중대 단위로 파병 간 것은 전 군에서 단 두 경우 뿐이라고 대대 간부들은 자부하더군요. 전투부대였습니다. 장갑차 대대였으니까.
제가 들어왔을 때에는 이미 끝난 일이었지만, 당연히 부모님까지 동의해야 하는 파병동의서를 받아야 했었는데 대대 내에서 경쟁률이 엄청났고 떨어진 사람이 많았다고 하더군요. 그 이유는 일반병이면 단돈 한 푼 없이 전역하지만 이라크 파병 된 사람은 복무는 2년 똑같지만 파병수당 때문에 전역 시 몇 천 단위로 돈을 쥐고 나갈 수 있고 간부의 경우 이렇게 파병 선발 되면 진급 점수가 ++++++가 된다고....
파병나갔던 2중대 사람들은 제가 전역 할 때 쯤 조금 씩 돌아와 한 두달 놀다가 전역하였습니다.
파병 당시에는 이라크 상황이 어찌 될 줄 몰랐지만 어차피 2년 꼴아박아야 하고, 나라 안에서 군 생활 해봤자 X같은 건 마찬가지니 돈이라도 손에 쥐고 나갈 수 있다면 파병 가겠다!! 하는 쪽이 대세였던 거 같습니다.
결국은 돈 문제인 거 같아요.
제가 들어왔을 때에는 이미 끝난 일이었지만, 당연히 부모님까지 동의해야 하는 파병동의서를 받아야 했었는데 대대 내에서 경쟁률이 엄청났고 떨어진 사람이 많았다고 하더군요. 그 이유는 일반병이면 단돈 한 푼 없이 전역하지만 이라크 파병 된 사람은 복무는 2년 똑같지만 파병수당 때문에 전역 시 몇 천 단위로 돈을 쥐고 나갈 수 있고 간부의 경우 이렇게 파병 선발 되면 진급 점수가 ++++++가 된다고....
파병나갔던 2중대 사람들은 제가 전역 할 때 쯤 조금 씩 돌아와 한 두달 놀다가 전역하였습니다.
파병 당시에는 이라크 상황이 어찌 될 줄 몰랐지만 어차피 2년 꼴아박아야 하고, 나라 안에서 군 생활 해봤자 X같은 건 마찬가지니 돈이라도 손에 쥐고 나갈 수 있다면 파병 가겠다!! 하는 쪽이 대세였던 거 같습니다.
결국은 돈 문제인 거 같아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