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7/25 14:42:50수정됨
Name   기쁨평안
Subject   재보험(Re-Insurance)에 대해 간단한 설명
보험도 어려운 판에 재보험이 왠말이냐? 싶으실 수도 있지만,
그래도 알아두시면 모르는 것보다는 나을 것 같아서 조금이나마 풀어봅니다.

아마 일반분(?)들은 보험이라고 하면 가입해 두신 생명보험이나 실손보험, 그리고 차가 있으신분들은 매년 가입하시는 자동차보험 이정도만 접하실 것 같은데요.
이 보험이라는 것은 원래는 기업들이나 정부와 같은 사업현장에서 제일 먼저 발생했고 발전을 해왔답니다.

최초의 화재 보험은 1666년에 발생한 런던 대화재로부터 생겨났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해에 런던의 한 빵공장에서 불이 납니다. 그런데 그 당시 소방담당관이 안일하게 대응을 하는 바람에 런던 시내로 확산이 되었고 총 5일동안 런던은 불바다가 됩니다. 당시 인구 8만 명 중 7만 명(...)이 집을 잃고 노숙자가 되고 만 대참사였죠.
이 이후 화재보험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해상보험은 이보다 300년이나 앞서 르네상스 시절에 이미 발생을 했구요.

이런 보험들, 특히 이번에 라오스 댐 건설같은 것들도 다 공사 시작 전에 건설공사보험을 들어놓게 됩니다. 이건 거의 필수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이런 프로젝트는 사고가 날 확률은 엄청 적은 반면 한번 사고가 터졌다 싶으면 걷잡을 수 가 없는 것이 문제입니다.

보통 보험을 가입하고 보험료를 내야 하는데, 이게 보험료 책정이 애매한 거에요.
예를 들어 이런 댐 공사시 사고가 났을 때 5천억원을 보상해주는 보험을 든다고 가정해봅시다.
(아직 피해추산도 안나온 상황이니만큼 그냥 예시를 들어봅니다.)

그러면 이 5천억원에 대한 보험료는 얼마로 책정해야 할까요?
5백억원? 50억원? 5억원?

원래 보험이라는 것이 "위험을 분산해서 떠넘기는 것" 입니다. 발생확률 1%인 사고에 대해 100만원 보상을 받으려고 100명의 사람들이 1만원씩 걷는게 보험이거든요. 그렇게 모인 100만원을 가지고 있다가 사고가 난 사람에게 주는 구조인데,

이런 대형 프로젝트는 수가 많지도 않고 사고날 확률은 극히 희박한데, 한번 나면 회사가 망할 판이라 가입이 너무 부담스러운 거에요.

그래서 대부분의 보험회사는 이런 초대형 사고를 대비해서 자체적으로 또 보험에 가입을 합니다. 이걸 [재보험(Re-Insurance)]라고 해요.

1차적으로는 건설사는 사고의 [위험(Risk)]를 돈을 주고 보험회사에게 떠넘기죠.
그리고 보험회사는 인수한 위험을 다시 재보험회사에게 돈을 주고 넘깁니다.

이런 재보험회사들은 말 그대로 초대형 금융그룹인 경우가 많아요. 워렌버핏으로 유명한 버크셔 해서웨이라던가, 스위스 리, 뮌헨 리 (뮌헨린지 뮈닠 리 인지 ㅋㅋ), 로이즈 등등이 유명해요. 우리나라에는 코리안 리 (Korean Re)라고 한군데 밖에 없어요. 예전에는 (다들 그렇듯이) 국가기업이었다가 민간으로 전환되었죠.

그리고 이런 재보험사들도 넘겨받을 걸 그대로 다 인수하지 않고 또 잘게 분산해서 다시 재보험을 들거나 해요. 그래서 위험을 끊임없이 잘게 잘게 분산해서 나눠갖는 거죠.

그래서 앞서 말한 초대형 건설프로젝트의 경우에는 국내 보험사가 위험을 인수하는 경우가 잘 없어요. 받는 즉시 100% 다 재보험으로 넘기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면 사고가 나도 한푼도 안물어줄 수 있거든요. 대신 재보험회사에게 위험을 넘기면서 수수료를 받죠. 이게 꽁돈이에요. 예를 들어 보험료가 500억원이다. 수수료 5%만 받아도 25억원이 그냥 생기거든요. 위험부담이 전혀없는 그냥 날로 먹는 금액이죠.

그래서 또 이런 대형 프로젝트는 보험회사 한군데하고만 계약하는 경우도 별로 없어요. 보통 손해보험회사가 5개 이상 참여를 하고 시장점유율대로 계약을 나눠 갖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대충 몇억씩 챙기고 뭐 이런 구조가 있습니다.



* 수박이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8-06 08:3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3
  • 말로만 듣던 로이드...
  • 상식추


와퍼세트라지
오 선생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규모가 큰 보험회사들만 재보험을 취급하는 것으로 읽었는데, 국내 보험회사들은 재보험 취급하지 않나요?
기쁨평안
재보험을 취급하려면 일단 어마어마한 자본금이 있어야 합니다. 말씀드렸듯이 대형위험을 다뤄야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국내 보험회사는 그정도 돈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 대형위험은 사실 위험의 평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 이정도면 사고는 안나겠다. 아 이건 위험한데...?. 보험료를 대충 이정도로 하자...' 이런 판단이 중요한데 기초 통계가 없는 상황에서 산정을 하는 것이 매우 핵심적인 노하우입니다. 그리고 이런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우리나라에는 많지 않고 거의 다 코리안 리에 가있죠.
3
삼성갤팔지금못씀
첨언하자면 국내 일반 보험사들도 다 재보험 합니다.
다만, 글에서 언급하신 대형규모의 계약에 대한 재보험을 안(못) 할 뿐이지요.
솔루션
재보험회사가 그렇게 꿀직장이라는 소문이 있던데 사실일까요?
기쁨평안
저도 그런 소문을 듣기는 했지만, 직접 경험해보지 못해서요...
잘 모르겠네요 ㅎㅎ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지인을 통해보니...업무강도가 장난아니더군요
많이 버시는만큼 일도 증말 많은...
배바지
국내 보험회사는 모두 코리안리 요율 준용이라, 실상 까놓고 보면 가격 경쟁이라는게 없더라고요. 박터지는 대면 영업과 보험 사고 터지면 얼마나 잘 갈무리해주냐 업무 능력의 차이 정도인 것 같았습니다.
기쁨평안
대형 프로젝트와 관련된 요율은 그렇지만, 개인보험이나, 주택화재보험, 자동차보험은 자체 요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재보험요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간혹가다 브로커들과 이해관계가 잘 맞아떨어지면 해외 요율을 사용해서 비딩 들어가는 경우도 있어요~

ㅎㅎ [요율]이라니 얼마만에 들어보는 말인지..
1
CONTAXS2
재보험과는 별 무상관이긴 하지만

얼마전에 저희 프로젝트 보험사인 알리안츠 소속 엔지니어가 와서 한참 들여다 보고 갔습니다.
이게 보험요율 1%p에 수억원이 왔다갔다 하니까 진짜 최선을 다해서, 위험은 감추고, 리스크는 은폐하고, 기회는 과장하고, 미래는 밝게 묘사하느라 죽을뻔.
기쁨평안
으엌ㅋㅋㅋㅋㅋㅋㅋㅋ 맞다 선생님도 연관이 있으시죠.

아마 그 알리안츠도 재보험을 들꺼에요. (알리안츠도 사이즈가 되어서 자체 재보험사가 있는걸로 알고있어요)
원샷원킬
국내에서 아무도 안하는 프로젝트의 보험을 들었더니

ㅇㅇ화재 - 코리안리 - 영국 로이드 담당자에게 모두 전화해서 프로젝트를 설명해야 하는 고통이 있었습니다...
코쟁이 아저씨에게 설명하기가 어찌나 힘든지
기쁨평안
이 생각만으로도 빡세네요 ㅎㅎㅎ
: ) 홍차넷에서 재보험 이야기를 들으니 좋은데요?
재보험자가 다시 위험을 전가하는 것은 [재재보험]
마지막에 적어주신 여러 원보사가 하나의 물건을 같이 인수하는 것을 [공동인수]라고 하는데
이 공동인수 제도가 우리나라 밖에 없습니다.
이것때문에 재보험 처리 시스템이 복잡해 져요.
그래서 표준화된 패키지형 재보험 시스템을 국내에선 도입해 처리하기 어려운 실정이기도 하구요~(어우 차세대 ㅠ)
정청산 오류도 많이 발생하구요.
여튼 재보험자 입장에서는 없어졌으면 하는 제도 입니다.(원보사분들 화내시면 안되옵니다 ㅠ)
1
코리안리 주주입니다.
투자할만한 기업이라 생각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046 8
1320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7 김비버 23/08/12 3846 28
1270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4 카르스 23/01/27 4530 10
1263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9 카르스 23/01/04 3274 15
1224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25 Wolf 22/07/20 5173 23
1201 경제최근 한전 적자에 대한 해설 34 Folcwine 22/05/13 4932 10
1189 경제넷플릭스: 주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19 코리몬테아스 22/04/21 5158 30
1162 경제게임이 청년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줄였다? 28 카르스 22/01/20 5603 23
1161 경제인구절벽발 노동인력 부족 우려는 과장인가 32 카르스 22/01/12 6467 41
1159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전문번역) 8 소요 22/01/06 5280 21
1142 경제최순실로 인해 불거진 ODA 문제는 해결되었는가 6 정중아 21/11/08 5074 17
1021 경제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24 Leeka 20/10/21 7948 19
1010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37 기아트윈스 20/09/23 8141 28
911 경제파이어족이 선물해준 세가지 생각거리 6 MANAGYST 20/01/19 6803 10
910 경제홍차넷 50000플 업적달성 전기 79 파란아게하 20/01/17 6911 72
901 경제인구가 줄어드는 것만으로 경제가 망할까? 15 MANAGYST 19/12/21 8644 18
829 경제퀀트는 어떤 일을 하고,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25 굴러간다 19/07/10 8085 26
815 경제바뀌지 않는 국책사업의 이면 5 쿠쿠z 19/06/11 6002 19
691 경제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 28 Danial Plainview 18/08/30 8784 14
668 경제재보험(Re-Insurance)에 대해 간단한 설명 14 기쁨평안 18/07/25 6690 13
597 경제'식근론'에 대한 단상, 한국은 독립국이 맞는가? 25 hojai 18/02/23 9158 6
576 경제원전으로 보는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 24 소맥술사 18/01/10 8756 18
519 경제외감법 개정과 감사인 지정제는 왜 해야하는가 75 CathedralWolf 17/09/26 8667 9
493 경제LTV-DTI 규제 강화는 현 여당에 유리한 정치지형을 만드나? 40 소맥술사 17/08/16 8888 18
392 경제약간만 양심을 내려 놓으면 댓가는 달콤하다. 하지만... 51 tannenbaum 17/03/20 7776 1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