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8/30 06:58:13수정됨
Name   Danial Plainview
Subject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

※ 저는 경제학 전공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경제용어의 정확한 사용에 있어서 실수할 수 있으니, 발견하시면 지적해 주세요.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은 다음과 같은 논리 흐름 아래 전개되고 있습니다. 상기 내용은 <썰전>에서의 이철희 의원도 크게 다르다는 얘기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그대로 진행하겠습니다.

1) 저소득층은 고소득층에 비해 한계소비성향이 높다.
2) 따라서 저소득층의 소득을 높이게 되면 소비가 촉진된다.
3) 최저임금 상승은 저소득층의 소득을 높인다.
4) 따라서 최저임금 상승은 소비를 촉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수 경기가 활성화되어 경제는 성장한다.

혹은 최저임금 상승이 곧 소득주도성장의 동치어가 아니라는 주장을 받아들이면

4) (어떤 정책인지는 차치하고) 저소득층의 소득을 높여 주면 소비를 촉진하여 경제는 성장한다.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제가 보는 소득주도성장은 3)에서 실증 데이터에 부합하지 않고, 4)에서 이론적으로 옳지 않습니다.

먼저 3)부터 보겠습니다.

최저임금의 상승은 저소득층의 소득을 향상시키는가? 이에 대한 답은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정확히는 저소득층이 어떤 사람인가에 따라 바뀌겠죠. 물에서 다른 매질로 빛이 입사한다고 해서 빛이 어느 방향으로 꺾일지는 그 매질의 굴절률이 어떠냐에 달려 있는 것처럼, 최저임금은 저소득층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내릴 수도 있습니다. 단지 "저소득층"이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니까요.

문제는 노동이 대체가 불가능한 자원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K-L ratio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노동은 기술로 대체 가능하고, 급격한 최저임금의 상승은 고용주들이 저숙련 노동자들을 숙련노동자나 자동화 기기로 대체하려는 인센티브를 크게 합니다. 이는 수요-공급 곡선에서 도출되는 자연적인 흐름입니다. 또한 키오스크 도입의 확산 같은 우리의 관찰과도 부합합니다. 물론 그럼에도 저숙련 노동자들 중 몇몇은 이전보다 더 나은 임금을 받게 되겠죠. 하지만 몇몇은 아예 일자리를 잃게 됩니다. 즉, 총 M명 중 N명이 살아남았고, 노동가격이 C1에서 C2로 변했을 때, 최저임금의 상승으로 인해 원래 총 저숙련 노동자의 수입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는 N*C2와 (M-N)*C1을 비교했을 때에야 알 수 있겠죠.

두 번째로, 노동은 제품수요에 비해 경직적입니다. 예컨대 야간에 편의점을 열지 않을 때의 잃어버리게 되는 잠재수요는 탄력적이지만, 야간근무 노동자 한 명을 줄였을 때 점주는 50만원을 절약한다고 합시다. 매달 점주가 손해보는 이득이 30만원일지라도, 노동자 한 명을 줄여서 얻는 이득이 50만원일 때, 점주는 야간근무 노동자를 해고합니다. 그 말은 손해보는 이득이 50만원을 넘어가지 않는 모든 구간에서 노동자는 1명 해고된다는 뜻이므로, 실제로 감소하게 되는 제품수요보다 노동수요를 더 많이 줄이게 됨을 의미합니다. 아 물론 노동자의 숫자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노동수요를 변화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노동시간을 조절하면 되지요. 근무시간을 줄이면 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 소득주도성장이 의도하는 임금수입의 상승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결론은 투잡?)

세 번째로, 이번 정책의 지지자들은 아직까지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물론 대부분의 정책에서 정책시차는 존재합니다. 저도 이번 고용쇼크 등이 온전히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는 반대 방향의 정책시차도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즉, 일종의 [적응적 기대]죠. 정부는 현재 최저임금을 2년 연속으로 15%가량 올렸습니다. 이는 시장에 있는 자영업자(=노동시장에서의 소비자)에게 반대 방향의 시그널을 줍니다. 정부의 공약인 2020년까지 최저임금을 1만원까지 올리겠다는 시그널이 믿을 만한 것으로. 따라서 자영업자는 선제적으로 인건비를 필요 이상으로 줄여야 한다는 생각을 할 만합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보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은 자영업자에게 다음과 같은 행동을 취하게 합니다.
-저숙련자 피고용인을 숙련자 피고용인으로 대체한다.
-저숙련자 피고용인을 기계로 대체한다.
-피고용인의 근무시간을 줄인다.
-기존에 제공하던 보험/식대/휴가 등을 줄임으로써 인건비 상승을 상쇄한다.
-최저임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필요 이상으로 노동력을 감축한다.

이렇게 고용주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이 많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최저임금의 몇%상승이 얼마만큼의 소득 감소를 일으키는지 실증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최저임금이 증가한다고 저소득층의 소득이 올라간다고 말하는 것이 얼마나 쉽고 틀린 이야기인지 보여주는 데는 충분합니다.  

이것이 예측하는 공통적인 결과는 [고용이 줄어든다]겠죠. 그리고 데이터는 최근 노동시장에서 급격한 고용 쇼크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그 원인에 있어서 계절적 요인이나 경기변동 등을 들 수 있지만, 최저임금의 영향도 없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

사실 더 큰 문제는 4)에서 발견됩니다.

소득주도성장이 진정으로 성장을 만들 수 있는가? 이는 그럴 수 없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경제성장은 long-term에서 진행되는 일이고, 장기에서의 경제성장 변수는 노동, 자본, 기술과 같은 변수들이지 지금 당장의 물가는 아닙니다. 오히려 교육이 들어갔으면 들어갔겠죠. 그런데 소득주도성장의 지지자들과 이야기를 하다 보면 도대체 이 정책이 성장정책인지 분배정책인지, 아니면 단순한 경기 활성화를 위한 경기부양 정책인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일반적인 성장 모형(솔로우 모형)에서 소득이나 물가는 사실 중요하지 않습니다. 지금 당장 모든 물가가 2배씩 뛰고, 임금도 2배씩 뛰고, 임대료, 세금도 2배씩 뛴다고 합시다. 그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물가라는 건 사실 지속적으로 올라갈 수밖에 없는 그 시대의 약속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제지표에서 명목변수와 실질변수가 나뉘는 것입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실질임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입니다. 그래서 최저임금도 최저임금의 액수가 중요한 게 아니라, 중위임금 대비 몇 퍼센트인지를 중요하게 보는 것이죠. 중위임금이 물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까요.

소득이 늘어남으로써 소비가 촉진되고, 또한 이로 인해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가능한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이 세상에 있는 모든 물건이 사치재여야만 가능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소득의 증가분보다 소비의 증가분이 많으면 최소한 경기가 마를 일은 없겠군요. (대신 인플레이션 확정) 하지만 데이터는 그렇게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혹은 노동수요의 탄력성(고용의 증가%/임금의 증가%)이 양수가 나오던가요.

그렇다면 현재의 소득주도성장은 분배정책인가? 차라리 이 측면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라고 말할 것 같습니다. 이준구 교수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었죠. (http://jkl123.com/sub5_1.htm?table=board1&st=view&id=18353&vote=ok 참고)하지만 분배정책으로서 실효적인 효과를 내고 있는가? 라고 물으면 글쎄요. 오히려 저소득층의 소득과 고소득층의 소득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말할 것 같습니다. 이는 논란이 된 통계청의 수집방식을 새로운 청장 안으로 바꿔도 마찬가지입니다.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166339)

이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다음과 같이 예측할 수는 있습니다. 임금의 하한선인 최저임금의 증가, 혹은 이로 인한 물가상승은 임금을 이에 맞춰서 올려야 한다는 압력을 줍니다. 이로 인해 중위임금이 상승했을 경우. 혹은,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은 축적한 자본이 적기 때문에 자본소득이 임금소득 이상으로 커졌을 경우 이에 대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 아니면 비판자들의 말대로 저소득층의 소득 자체가 줄어들었을 가능성도 있겠네요. 아무튼 분배정책으로서 효과적인가라고 물으면 아직까지는 아니다라고 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근로장려세제(EITC) 같은 것들이 더 나아보이는데, 정부가 직접 돈을 푼다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지 굳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미 시행중이기는 합니다)

그렇다면 경기부양 정책인가? 이미 [성장]과 경기변동은 이미 아예 다른 이야기지만 일시적으로 정부가 불황기에 지출을 늘림으로써 경기 활성화를 도모하는 건 사용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그리고 공공근로 확대나 최근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역시 그런 정부지출의 일종이구요. 그런데 이런 것들에 대해 장단점이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죠.

예컨대 사회안전망 확충에 재정을 배정하여, 노동자 재교육 등을 실시하는 등의 복지지출확대로 재정지출을 하는 경우, 내용은 좋지만 재정건전성 측면에서 단점이 있습니다. 경기부양 국면에서는 세금을 증세하기가 무척 어렵습니다. 경기부양을 목적으로 사업을 하는데 지출을 늘어나지만 세금을 늘일 수는 없으니까요. 이런 경우 장기적으로 재정건전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을 수 있고. 그럼 지금 당장 지출을 늘리고 세금은 나중에 증세한다고 하면 되지 않느냐고 하는데, 세금을 나중에 올릴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생기게 되면 경기팽창 효과가 없어지므로 같은 이야기가 되죠.

사회간접자본(SOC) 같은 경우는 재정 건전성을 장기적으로 해치지 않으면서도 일시적인 지출을 늘리고 사회 복지적인 효과를 낼 수 있으나 대규모 토목 같은 경우에는 4대강 사업 등으로 인한 낙수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이 있고. 체육관 같은 경우는 얼마나 저소득층에게 사회복지면에서 큰 효과를 낼 수 있느냐. 혹은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에 체육관 동네마다 지었는데 쓰지도 않는 체육관만 양산되고 불황 탈출 못하지 않았느냐 등의 이야기가 나올 수 있죠. 뭐 각자의 주장 모두 합리가 있으므로 딱히 어느 주장이 옳다라고 주장할 생각은 없습니다. 다만 현재 분위기가 경기활성화가 되고 있느냐 하면 물론 아니구요.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소득주도성장은 가능한가? 불가능하다. 소득주도성장은 분배정책인가? 컨셉은 그런 것 같은데 실증 데이터는 아직 그에 미치지 못한다. 소득주도성장은 경기부양책인가? 공공근로 등은 그런 것 같은데 아직까지 지금 경기부양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사회적 합의는 잘 모르겠다. 정도가 되겠습니다.

***

과거 폴 크루그먼은 그의 저서 <경제학의 향연(원제: Peddling Prosperity)>에서 어떻게 경제학자들의 조심스러운 주장이 급진적인 정책 도그마로 변질되어서 정치적 구호가 되는지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바로 마틴 펠스타인 같은 보수주의 경제학자들의 주장, 어떻게 세율 인상이 저축과 투자, 노동 의욕을 감퇴시는지, 어떻게 사회보장 제도가 경기를 침체시키는지에 대한 주장이 아서 래퍼와 같은 정책 기획가들에 의해 조세 감면에 따라 생산도 더욱 늘어남으로써 실질적으로 세수도 증가할 것이라는 과격한 주장으로 변했던 것이죠. 보수주의 경제학자들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자본투자소득에 대한 세수를 줄이고 지나치게 왜곡된 조세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지만, 아서 래퍼를 필두로 한 공급 중시론자들은 조세가 경제난의 근원이며 세율 인하를 통해 자동적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 심지어는 세금을 감면함으로 인해 경제가 성장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같이 어떤 조심스러운 경제적 주장들이 정책 기획가들에 의해 급진적이고 만능통치약 같은 구호로 바뀌는 건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일입니다. 다만 이번 소득주도성장은 그 조심스러운 경제적 주장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포스트 케인지안 등으로 나오기는 하는데, 이건 들어본 적도 없는 비주류라... 그리고 이런 주장의 총 본원으로 장하성 실장이 주로 지목되는데, 일반인들이 내각 내에서의 파워 게임을 모르는 이상 논할 필요는 적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그래서 경제를 어떻게 성장시키자는 거냐, 라고 묻는 분들에 대해서는...

사실 모든 국가는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처방을 갖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임기 중 경제성장의 여부는 행정부의 능력보다는 운에 기반하는 면이 더 큽니다. 다만 나쁜 정책에 대해서만 약간의 컨센서스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경기팽창이나 축소에 대한 처방 등이 그렇지요. 그래서 많은 경제학자들이 경제성장을 위해서 건전한 시장의 질서를 유지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고, 신용을 높이며,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창업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라라는 조언으로 끝나는 것입니다. (본인도 확실한 처방이 없기 때문)  

고용 문제로만 한정지으면, 이미 자동화의 압력이 강한 지금, 더 이상 교육자본에 투자한다고 해도 특별히 더 고숙련 노동자로 진입한다는 게 어렵기 때문에 차라리 교육자본에 투자하는 양을 줄이도록 유도(부실대학 정리 등)하고, 쉬운 해고 없이 쉬운 고용도 없다라고 말할 수밖에 없겠네요. 예전에 읽은 글 두 개를 링크합니다.
http://santa_croce.blog.me/221278217329
http://santa_croce.blog.me/221327489887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9-11 13:4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4
  • 감사합니다. 항상 공감하던 건데 전문적 내용을 읽기 쉽게 써주셨네요.


Danial Plainview
아 그리고 제가 안 적은 내용이 있는데, 최저임금제나 주 52시간 같은 경우 전 산업의 모든 섹터에 걸쳐 일률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어느 산업에 잘 맞으면 다른 산업에는 맞지 않을 수밖에 없다는 점도 지적하고 싶네요. 특별한 가정이 필요하지 않은 무조건적인 후생 감소죠.

주 52시간 제한으로 신규 일자리 진입이 가능한지의 여부도 다뤄보고 싶었는데 결론적으로 고소득 노동자가 아닌 이상 시간 제한으로 인한 소득 감소로 다른 부업 등으로의 진출을 할 것입니다. 이 경우 기존의 부업(대리운전 등)의 경쟁은 더 커질 것입니다. 따라서 이 정책이 기존의 무직자에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할 지는 미지수겠네요. 저숙련 노동자의 경우 조삼모사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글이 술술 잘 읽히는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마지막 두 문단에 동의합니다. 특히 뒤에서 두 번째 문단요.

예전 직장에서 그런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판가가 임원을 만들고 임원의 고과를 결정한다” 고.

제가 있었던 곳은 제품의 판가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폭이 적지 않은 곳이었는데,
정말 웃긴게 연구개발을 통해 엄청난 원가절감을 이뤄내도 판가가 미친듯이 떨어져서 적자가 나면 엄청난 인재라 해도 부장급들의 임원승진이 좌절되고 괜찮은 임원들은 귀가하고...
앉아서 코만 파고 있는데 판가가 미친듯이 올라가면 별거 ... 더 보기
글이 술술 잘 읽히는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마지막 두 문단에 동의합니다. 특히 뒤에서 두 번째 문단요.

예전 직장에서 그런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판가가 임원을 만들고 임원의 고과를 결정한다” 고.

제가 있었던 곳은 제품의 판가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폭이 적지 않은 곳이었는데,
정말 웃긴게 연구개발을 통해 엄청난 원가절감을 이뤄내도 판가가 미친듯이 떨어져서 적자가 나면 엄청난 인재라 해도 부장급들의 임원승진이 좌절되고 괜찮은 임원들은 귀가하고...
앉아서 코만 파고 있는데 판가가 미친듯이 올라가면 별거 없는 부장급들이 쉽게 임원 승진을 하고 무능력한 임원들도 고과가 좋고.... 그랬죠.

물론 회사도 뭘 모르는 바는 아니라서 무조건 잘라내는건 아니고 말씀하신 대로 어느 정도의 컨센서스를 가지고는 있디만, 경험상 대개 안좋을 때 사람이 뭔가 무리하다 더 큰 실수를 하기가 쉽더라고요.

그래서 뭘 어쩌라는거냐? 하면 저도 딱히 모르겠습니다. 임원들이 너무 멀리 보고 일하면 당장의 고과가 안좋아서 짤리듯 이 정부도 너무 멀리 보고 이상적으로 일하면 정권 재창출이 나가리 될거고
너무 코앞만 보고 일하면 당장의 고과가 좋아 인센티브를 받듣 요 몇년간의 지지율 상승과 정권 재창출은 가능하겠지만 결론적으로는 나라 말아먹은 방향으로 갈 수도 있고요.

그동안의 낙수효과 이론이 무용지물이라 반대쪽으로 뭔가를 해보려고 하는데 말씀하신대로 사람들이 다들 눈치가 있으니까.... 이게 방향을 반대로 좀 틀려고 브레이크를 살살 밟아 세워서 유턴을 슬슬 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라 주행중에 갑자기 후진 기어가 들어간 느낌이랄까요.

어렵네요.
Danial Plainview
낙수효과로 인해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일으킨다고 말하는 건 허상이죠. 일시적인 경기부양이면 모를까요. 소득주도성장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한국처럼 수출주도형 경제에서는 가뜩이나 외부 경제의 영향을 많이 받고 대기업의 실적이 미치는 영향이 큰 편인데 경제성장의 공과 과가 너무 자의적으로 해석된다는 생각을 합니다. 굳이 논란거리를 뽑자면 MB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경제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복하였는가 정도?
늘어난 소득만큼 소비를 한다는 개념이 키 인거 같은데, 제 주변의 20대의 경우만 한정해보면... 몇달의 모아놓은 수입을 외국여행에서 쓰거나, 직구를 하거나 등 국내에서 소비되지 않는 부분이 많지 않나 하는 막연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요즘 케이블 보면 전부 외국에서 뭐 먹는 방송들만 나오고, sns등에서도 이만 강조되니 더 그런 현상이 가속화 된다고나 할까요. 이런쪽 분석도 누가 해줬으면 좋겠는데 아직은 고용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있고, 국내소비의 진작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론으로만 퉁치고 있으니.. 물론 정량적 데이터가 없는 경알못의 느낌 그 자체이지만 요즘 티비를 보면 해외 소비 조장이 너무 심한거 같아 걱정대는 꼰대의 의견입니다 ㅎ
1
켈로그김
실제로 국내소비 1.8%늘어나고 해외소비가 10%이상 상승했다는걸 최근 뉴스에서 본 기억이 납니다.
그런 통계가 있군요.
한 10년전 생각해보면 1박2일 전성기때 1박2일 팀이 돌고 간 지역은 대박이 낫습니다. 거품도 있고 어쨌던 간에 그 지역의 내수진작도 되고 관광지가 되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었어요. 오죽하면 나만 알고 있던 지역에 1박2일이 제발 오지 말기를 하던 사람도 있었죠. 지금 수요미식회 처럼..

요즘 케이블을 보면, 80% 이상은 외국에서 관광을 하거나, 뭐를 먹거나 혹은 외국에서 뭐를 먹거나 입니다. 대표적인게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죠. 더 이상은 국내 컨텐츠로 사람들에게 어필 못... 더 보기
그런 통계가 있군요.
한 10년전 생각해보면 1박2일 전성기때 1박2일 팀이 돌고 간 지역은 대박이 낫습니다. 거품도 있고 어쨌던 간에 그 지역의 내수진작도 되고 관광지가 되는 일석 이조의 효과가 있었어요. 오죽하면 나만 알고 있던 지역에 1박2일이 제발 오지 말기를 하던 사람도 있었죠. 지금 수요미식회 처럼..

요즘 케이블을 보면, 80% 이상은 외국에서 관광을 하거나, 뭐를 먹거나 혹은 외국에서 뭐를 먹거나 입니다. 대표적인게 스트리트 푸드 파이터죠.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죠. 더 이상은 국내 컨텐츠로 사람들에게 어필 못하기도 하고, 그 뒤에 대형 여행사/관광사들의 스폰싱도 있고 기타등등.. 이런 방송이 나오는 것도 당연히 수요에 따른거고 자연스러운거라곤 생각합니다만.. 반대로 요즘은 국내여행을 가는 사람들을 호구취급 하는게 인터넷이나 주변에서 공공연하게 말하는 분위기가 좀 안타깝습니다. 외국 여행지도 그 동안은 동남아, 일본 등의 접근성이 좋은 지역만 많이 갔는데 이쪽도 레드오션 싸움이다 보니 이젠 정말 쉽게 가기 힘든 곳도 많이 가더군요. 이렇게 연예인이 외국에 가고, 나도 거기에 똑같이 가서 연예인과 같은 포즈로 사진찍고, 같은거 먹고, SNS 질하고.. 이런 스노우볼링이 엄청난거 같습니다. 물론 2,30대 한정이긴 하지만..
1
Under Pressure수정됨
그건 국내 기업, 지자체들이 잘못해서죠. 어쩔 수 없습니다.
글킨한데.. 정책을 짤때 늘어난 소득이 외국으로 샌다는걸 아예 전제로 두고 감안해야한다는 게 제 생각이어서요. 물론 이걸 줄일 방향도 모색해야지만 현상은 현상이니..
Under Pressure
아 그 말은 맞습니다.
졸려졸려
소득이 외국으로 샐까봐 국산차를 이용하면 호갱이되고, 국내여행을 다니면 바가지를 쓴다는걸 다들 너무 잘 알고 있어서욤.
삼성갤팔지금못씀
근데 그건 한국, 일본 그리고 (최근의 추세상) 중국이 보이고 있는 공통된 현상이고
네덜란드, 독일 같은 전통의 '제조업 강국'들이 보이는 현상입니다.

수출이 많으면 해외 여행이 많을 수 밖에 없어요.

화폐라는게 우리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물건이니까 개인으로서 오해하기 쉽지만
사실 이건 지불보증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을 담은 물건이거든요.

열심히 물건을 팔아서 외국에서 돈을 쓸어 온 다음에
그걸 안 쓰고 국내에 가만히 갖고만 있으면 환율 악화로 수출 경쟁력이 약해져
자기 스스로를 엿먹이는 짓이 됩니다.

... 더 보기
근데 그건 한국, 일본 그리고 (최근의 추세상) 중국이 보이고 있는 공통된 현상이고
네덜란드, 독일 같은 전통의 '제조업 강국'들이 보이는 현상입니다.

수출이 많으면 해외 여행이 많을 수 밖에 없어요.

화폐라는게 우리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물건이니까 개인으로서 오해하기 쉽지만
사실 이건 지불보증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을 담은 물건이거든요.

열심히 물건을 팔아서 외국에서 돈을 쓸어 온 다음에
그걸 안 쓰고 국내에 가만히 갖고만 있으면 환율 악화로 수출 경쟁력이 약해져
자기 스스로를 엿먹이는 짓이 됩니다.

그러다보니 유럽에서도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에 놀러가보면
네덜란드, 독일 사람 만나기가 그 나라 사람 다음으로 쉽고
전 세계 어딜 가나 일본, 중국, 한국 사람 만나기가 쉬운거지요.

아마 일본이 1970년대 경제 호황을 맞은게 아니라 2010년대 경제 호황을 맞이했으면
플라자 합의와 그에 따른 장기 경기침체는 일어나지 않았을겁니다.
버는 돈 전부 다 미국이랑 유럽에 가서 썼을거거든요...
무적의청솔모
전체적으로 맞는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 덧붙이자면, 최저임금을 올리면 딱 최저임금에 걸리는 사람들의 임금이 오르면서 (직장을 잃지 않는다면요), 그 이상의 임금을 받는 사람들의 임금도 오르게 됩니다. 안 그러면 그 사람들이 편한-기술이 없어도 되는-쉬운 일을 하는 사람과 똑같은 임금을 받게 되잖아요. 물론 이런 효과는 원래 임금이 높아질 수록 없어지겠지만요. 요 효과까지 생각한다면 최저임금이 생각보다 덜 나쁠 수도 있을수도있고없을수도있으니 데이터를 보면 참 좋겠네요. 저도 EITC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Danial Plainview
그렇겠죠. 단순히 모형만으로 끝내면 안되고 실증 데이터랑 비교를 해봐야겠죠.
Under Pressure수정됨
근로시간 단축이 고용증가를 전혀 불러오지 않는다는 것은 전세계적으로나 우리나라나 완벽하게 실증되어있는 결론입니다. 최저임금과 고용간의 음의 상관관계는 뭐 말할 필요도 없구요. 단 어디가 최적의 최저임금선이냐...에 대해서는 결론이 없습니다.

노동-자본의 대체탄력성은 0과 1 사이, 그 중에서 많은 연구에서 0.5 근방으로 추정됩니다.


정책의 방향조차 모르겠다는건(이명박이 알고보니 확대재정 덕후였다던가) 그만큼 경제에 대해서 모른다는 이야기도 되죠. 개인적으로는 747=창조경제=소득주도성장 급으로 봅니다.
3
Danial Plainview
747은 잠재성장률을 4%라고 잡아놓고 그 위에다가 리더십 등등해서 3%를 더했을 때 가관이었고(잠재성장률의 개념조차 모른다는 뜻이니)

창조경제 역시 이름부터 느껴지는 쌈마이함과 본인도 설명을 못하는 이론으로 망했죠.

소득주도성장은 좀 더 발전한 약팔이라고 생각합니다. 언뜻 보면 맞는 얘긴 것 같은데 자세히 보면 영구기관급 이야기죠.
퓨질리어
https://news.joins.com/article/21176118
노동시간 단축은 사회정책적 측면도 있어서 단순히 경제정책으로 보기는 그렇죠.
정부도 저출산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해야 된다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구요.
삼성갤팔지금못씀
노동시간 단축이 현대 대한민국의 시대적 사명이라고 굳게 믿는 저로서도
근로시간 단축과 고용증가를 연결시키는 정부 홍보를 볼 때마다
OTL 하게 됩니다.

일관된 정부 홍보 정책의 방향을 보자면
아무리봐도 현 정부 관계자들은 근로시간 단축과 고용증가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굳게 믿는 것 같습니다.
2
Under Pressure
아, 그리고 북유럽의 사례는 빼시는 게 어떨까요. 전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는 완전히 아웃라이어라고 생각합니다. 엄청나게 고도로 자본주의가 발달한 나라라..
Danial Plainview
확실히 제가 모르는 이야기를 함부로 하는 건 아니었나 봅니다. 그나저나 전 지금 GDP 때문에 심근경색이 왔으니...글 수정은 나중에...끅
꿀래디에이터
셋 다는 아니지만
일단 기름/가스 나오는 나라는 우리와 비교할때 빼야.. ㅠㅠ
3
일단 한국의 모델에서 '기름/가스등'으로 꿀빠는 나라 모델은 다 뺴고 봐야 하니...
최저임금보다는 부의 소득세제가 당연히 나은데 대중들의 상징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에선 쨉이 안되서... 아마 일반국민들이 최저임금의 효과라고 표상하는 이미지에 딱 들어맞는게 부의 소득세제고 최저임금은 보조수단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안전망 정도로 보는게 맞을텐데 말이죠.

꼭 부의 소득세제가 아니더라도 같은 수준의 보조를 위해 최저임금보다 비효율성을 덜 유발하는 제도는 얼마든지 있기도 하고, 세원 확보가 문제라고 하는데 현시스템에서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비율로 증세해서 풀어버리는게 적어도 최저임금보다는 효율적이며 또한 정당한 시스... 더 보기
최저임금보다는 부의 소득세제가 당연히 나은데 대중들의 상징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에선 쨉이 안되서... 아마 일반국민들이 최저임금의 효과라고 표상하는 이미지에 딱 들어맞는게 부의 소득세제고 최저임금은 보조수단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안전망 정도로 보는게 맞을텐데 말이죠.

꼭 부의 소득세제가 아니더라도 같은 수준의 보조를 위해 최저임금보다 비효율성을 덜 유발하는 제도는 얼마든지 있기도 하고, 세원 확보가 문제라고 하는데 현시스템에서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비율로 증세해서 풀어버리는게 적어도 최저임금보다는 효율적이며 또한 정당한 시스템일 겁니다. 세수에 관해서도 사업소득세와 근로소득세의 투명성 비대칭은 한국사회에서 굉장히 큰편인데 이걸 개선하는게 적어도 최저임금 같은 제도보다는 자영업자 입장에서도 낫죠. 돈을 못버는 사람이 세금 낼일은 없으니. 그외에도 재산세 증세 정도는 해볼만한 실험 같고.

본문에 설명해주셨듯이 장기적 효과는 제로에 수렴할 확률이 굉장히 높은 발상을 가지고 있는데 심지어 극걸 실행하는 방법도 매우 어색해보여요. 소득주도성장을 그렇게 믿는다면 위에서 언급한 제도들이나 그에 준하는 방식을 생각해보는게 순리상 맞는 것 같거든요.

최저임금에 대해서 굳이 좀 써보자면 소득재분배 같은건 1차적 정책목표가 되기 힘들어요. 탄력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으면 노동자들의 총소득이 늘어나는지조차 불분명하고 희생되는 비효율성의 크기가 워낙 크기 때문이죠. 여기서 크다는건 나라가 망할수도 있다는 의미에서 큰게 아니라 같은 목표를 수행함에 있어 다른 제도들과 비교해서 지나치게 크다는 겁니다. 같은 정책목표에 대해서 다른제도들이 더 쉽게 더 적은 손실을 발생시키면서도 달성할 수 있다면 열등한 제도에만 집중하는게 이상해 보일 수 밖에 없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나라에는 각자의 최저임금이 존재하는데 그건 최저임금이 소득재분배 이외에도 많은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그 중 하나는 '사람 쓰지 않아도 될 일에 사람 쓰지 말라'겠고요. 한국처럼 24시 영업이 많고 배달 문화가 발달한 나라에선 충분히 제기 가능한 논점이기도 합니다. 더 나아가서 부실한 자영업자들은 좀 시장에서 나가라의 논점도 충분히 제기 가능하죠. 마냥 정의롭지는 않지만 의미가 없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저임금이 소득재분배의 견지에서 빠져서는 안되는 엄청나게 중요한 제도로 포장되어 반대하는 쪽과 찬성하는 쪽이 실제 현상과 무관한 이념 투쟁을 시도때도 없이 매일같이 하는 꼴은 참 의미 없어보여요.
14
Danial Plainview
말씀하신 대로 분배정책을 하고 싶다면, 정책적으로는 할 수 있는 선택지가 꽤 있는데 최저임금 하나 가지고 이렇게 싸우는 건 이게 이미 정책적 도그마로 변질되어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결국 현재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방향은 한계생산성 밑의 자영업에 대한 구조조정 형태가 되고 있구요.

그 다음으로 재정정책에 대해서는 저는 정부지출에서 결국 노인빈곤, 노인복지 문제에 대한 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고령자가 은퇴할 나이를 더 늦추던가... 문제는 이런 건 결국 한정된 재원을 어디에 쓸 것인가의 문제인데 다 맞는 이야기들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는 데 있겠네요.
1
삼성갤팔지금못씀
최저임금은 사회적 안전망이라기 보다 도태되어야 할 산업 구조를 개편시키는 구조적 '메기'라고 보는게 더 타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봉제업에서 1인당 임금 월 500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봅니다. (아직 봉제업의 경우, 특히 여성복의 경우에, 자동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합니다.)
만약 최저임금제도가 없고 부의 소득세제만 있어서 한국에서 계속 봉제업을 유지했을 경우 전체적인 사회 발전에 마이너스가 됨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겠죠.

그런 의미에서 최저임금제도가 적정한 수준 존재하는 건 강제적 산업구조 개편... 더 보기
최저임금은 사회적 안전망이라기 보다 도태되어야 할 산업 구조를 개편시키는 구조적 '메기'라고 보는게 더 타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봉제업에서 1인당 임금 월 500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봅니다. (아직 봉제업의 경우, 특히 여성복의 경우에, 자동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합니다.)
만약 최저임금제도가 없고 부의 소득세제만 있어서 한국에서 계속 봉제업을 유지했을 경우 전체적인 사회 발전에 마이너스가 됨은 자명하다고 할 수 있겠죠.

그런 의미에서 최저임금제도가 적정한 수준 존재하는 건 강제적 산업구조 개편을 위한 구조적 방책이 됩니다.

다만 최저임금수준이 너무 높아져버리면 아직은 도태되어서는 안 될 산업구조까지 강제로 재편시켜버리는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하겠지요.
그것 역시 맞는 말이죠. 착취의 방지라는 것도 크루그먼이 예전에 주장했듯이 그것조차 없는 제 3 세계에선 사치일 뿐이니까요. 결국 착취의 기준이라는건 상대적이며 조건적이라는 이야기고, 도태될 산업 역시 그 속에서 결정되겠죠. 사회적 안전망이라고 이야기한건 국가가 가지고 있는 경제 구조에 비추어 보아 지나치게 열악한 직업들을 경제에서 배제해준다는 관점에서 그런건데, 확실히 말씀하신 내용이 전체 얼개에 대한 더 정확한 진술인 것 같네요.
안경쓴 멧돼지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이야기는 소득주도 성장을 옹호하거나 무조건적인 비판을 전제로 하지 않습니다.
원래 소득주도 성장의 근원이 임금주도 성장에 있고,
해당 정책의 포커스도 임금노동자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애당초 생계형 자영업자들이 많은 한국의 서비스부문에서의
최저임금 상승정책은 부작용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우리식의 소득주도 성장에 문제점에 있는 것이지 임금주도 성장방법론 자체에 문제라고 속단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모든 정책적 실험이란 것이 있고 그러한 정책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 더 보기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이야기는 소득주도 성장을 옹호하거나 무조건적인 비판을 전제로 하지 않습니다.
원래 소득주도 성장의 근원이 임금주도 성장에 있고,
해당 정책의 포커스도 임금노동자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애당초 생계형 자영업자들이 많은 한국의 서비스부문에서의
최저임금 상승정책은 부작용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우리식의 소득주도 성장에 문제점에 있는 것이지 임금주도 성장방법론 자체에 문제라고 속단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모든 정책적 실험이란 것이 있고 그러한 정책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배합이 중요(공급정책과 수요정책의 병행)하다고 봅니다. 애당초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주도 성장의 모든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나 최근 들어 최저임금인상에 대한 비판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저의 견해들을 반박의 형태로 제시하겠습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최저임금의 상승은 저소득층의 소득을 향상시키는가? (개조식으로 쓰더라도 양해주세요)

정책의 목표가 하위계층에 두고 있는 것임에는 틀림없음. 다만 해당정책은 저소득층 중 임금노동자 계층에만 포커스가 있음.
노동은 대체 가능하다는 점에는 동의하나, 고용주들이 저숙력 노동자들을 숙련노동자(??)나 자동화 하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림. 논의하신 사항들은 다소 중기적인 관점으로 판단됨. 만일 노동시장의 자유롭다면 외국인 노동자 또는 불법체류자들에 대한 고용 증가로 이야기할 수 있겠으나 한국에서는 불가능함. 따라서 근로시간 조정이나 각종 수당축소로 대응할 가능성이 높음. 물론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따라 그 반응들은 다를 것임.
실제로 2007년 이후 최저임금 상승속도는 빨랐으나 고용수준은 감소하지 않음. 최저임금 상승 그 자체를 비용 상승의 관점에서 고용축소로 연결하기에는 다양한 상황들을 함께 고려해야 함. 최저임금 상승폭이 노동의 한계비용을 뛰어넘는지 여부가 중요할 수도 있고. 실제로 최저임금 수준이 크게 낮았다면 애당초 고용감소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임. (핵심은 중간임금과 최저임금 간의 갭이 문제임) 따라서 최저임금과 관련된 문제는 최저임금 상승속도와 적정 최저임금 수준에 달려 있음.

노동에 대한 수요를 제품에 대한 수요와 등치시키는 것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시장의 잠재수요는 다양한 요소들에 영향을 받겠지만 시간 당 판매량, 판매시간, 단위당 판매단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겠죠. 논의하신 사항은 시간만을 고려하셨습니다만… 즉, 판매시간 당 인건비로 비교하기 보다는 판매량, 판매시간, 판매단가 모두를 함께 고려하셔야 된다고 봅니다. 말씀하신 사항들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합니다만 논의하신 글의 뉘앙스가 시간당 추가 고용에 따른 비용이 시간당 추가 이익보다 크다는 전제로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조금은 제품가격=노동비용으로 동일시 하는 방식으로 접근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만일에 적응적 기대를 시장에 반영 한다면 과거 15%만큼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오히려 합리적 기대란 표현이 더 나은 것이 아닐가 생각함. 뒤에서 물가상승으로 실질임금 상승률이 하락하거나 정책 무력성을 표현하시고자 하였다면....
만일에 시장이 완전경쟁시장이라면 고용감소로 나타날수도 있겠지만 시장이 불완전 경쟁시장이라고 한다면 조금 다른 결과가 나타날수도 있음.

공급주의 경제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감. 하지만 모든 경제정책에는 분배정책들이 내재됨. 그 방향만 다를 뿐입니다.(낙수효과 Vs. 소득주도 성장) 투자, 수출주도 성장이냐 소득, 소비주도 성장이냐, 성장의 주체가 기업이 되느냐 가계가 되느냐에 차이가 아닐가 함. 모든 것은 어느 한쪽에만 몰려있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성장에는 불균형이 내재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봄.

소득이 증가해 소비가 촉진되어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모든 재화들이 사치재야 한다는 이야기가 잘 이해가 안됨. 만일 소득의 증가분보다 소비의 증가분이 많게 되면 상대적인 저축의 증가분은 감소하게 되므로 국가경제는 차입 경제에 빠지게 됨. 결국에는 과소 저축은 자금시장에서의 금리를 높이게 되어 투자가 위축되죠. 경기는 투자 변동에 민감하므로 경기등락폭은 높아지고 경제는 불안정하게 된다고 봄. 왜 경기가 지속적으로 확장이 된다고 표현했는지... 생략된 부문이 있다고 봄.

정부의 재정지출이 사회안정망을 확충하거나 사회간접자본에 투자하는 것 모두가 어느 정도는 적절합니다. 단순히 정부의 재정지출이 경기부양적 성격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소비안정성과 투자 생산성을 높일수도 있다고 봄.

끝으로 만일에 한 나라의 경제가 운에 좌우된다고 한다면 정부는 아무일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본주의 체제의 근간이 흔들리는 이야기가 됩니다. 정부 재정정책의 목적 중에 하나는 안정적인 경제성장 및 거시적 안정성 확보에도 있음.

어려운 내용들을 알기 쉽게 잘 표현하신 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견해들도 글쓴님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통계의 신뢰성에 대한 생각

대학 시절 교수님이 말하시던 '통계는 경향, 증명이 아냐' 에 공감하며,

대부분이 저지르는, '원하는 주장을 하기 위해 원하는 통계 자료를 인용하면서 주장을 강화시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필요.

그리고 제가 단편적으로 읽었기 때문에, 양해 바라며, '쉬운 해고 없이는 쉬운 고용도 없다'는 말,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둘 다 '보장'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쉬운 해고와 어려운 고용' 대 '어려운 해고와 쉬운 고용' 이 다투게 되나요? 자율적으로 최적지점에 도달하게 되나요? 아니오. '쉬... 더 보기
통계의 신뢰성에 대한 생각

대학 시절 교수님이 말하시던 '통계는 경향, 증명이 아냐' 에 공감하며,

대부분이 저지르는, '원하는 주장을 하기 위해 원하는 통계 자료를 인용하면서 주장을 강화시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필요.

그리고 제가 단편적으로 읽었기 때문에, 양해 바라며, '쉬운 해고 없이는 쉬운 고용도 없다'는 말,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둘 다 '보장'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쉬운 해고와 어려운 고용' 대 '어려운 해고와 쉬운 고용' 이 다투게 되나요? 자율적으로 최적지점에 도달하게 되나요? 아니오. '쉬운 해고'와 '어려운 해고'의 갈등 중 우월한 집단의 입맛대로 가는 겁니다. '쉬운 해고 있어도 쉬운 고용은 없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업계 전반에서 강력하게 울려퍼지는 자동화의 메아리가 그 실체가 어떻든 간에 부응하겠다는 움직임이라면, 어떤 경향으로 갈지. 앞으로 더욱 그렇게 되겠지요. 실제는 모르지만 컨셉은 귀신같이 캐치하는 고용주의 입맛에 딱 알맞습니다.
쉬운 해고가 더 쉬워질 수 있는 앞날에는 쉬운 '고용' 말고 다른 것을 플랜Z 쯤이라도 모색하는 것이 한 방법이겠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장래의 직업찾기란 (과도기적 측면에서) '자동화 대체 불가능함' 이라는 수를 바둑 두는 마음으로 몇 수 이상을 내다 보아야 얻어 걸리는 기회이거나, 아니면 차라리 '기존의 직업이라는 개념을 어디까지 탈피하면서 돈을 모으겠는가'를 탐험하는, 이전의 선구적 소수 사업가들이 아닌 새로운 개척자 무리가 무럭무럭 생기겠습니다.
1
Scientist
잘읽엇읍니다.
최저임금을 받는계층과 주는계층이
거의 비슷한 분위에 속한다는걸 본적이 있습니다.
내년에는 최저임금 동결하자는 이야기가 많이 나올듯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4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045 8
1320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7 김비버 23/08/12 3846 28
1270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4 카르스 23/01/27 4530 10
1263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9 카르스 23/01/04 3274 15
1224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25 Wolf 22/07/20 5173 23
1201 경제최근 한전 적자에 대한 해설 34 Folcwine 22/05/13 4931 10
1189 경제넷플릭스: 주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19 코리몬테아스 22/04/21 5157 30
1162 경제게임이 청년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줄였다? 28 카르스 22/01/20 5602 23
1161 경제인구절벽발 노동인력 부족 우려는 과장인가 32 카르스 22/01/12 6466 41
1159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전문번역) 8 소요 22/01/06 5279 21
1142 경제최순실로 인해 불거진 ODA 문제는 해결되었는가 6 정중아 21/11/08 5074 17
1021 경제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24 Leeka 20/10/21 7948 19
1010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37 기아트윈스 20/09/23 8141 28
911 경제파이어족이 선물해준 세가지 생각거리 6 MANAGYST 20/01/19 6803 10
910 경제홍차넷 50000플 업적달성 전기 79 파란아게하 20/01/17 6910 72
901 경제인구가 줄어드는 것만으로 경제가 망할까? 15 MANAGYST 19/12/21 8644 18
829 경제퀀트는 어떤 일을 하고,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25 굴러간다 19/07/10 8084 26
815 경제바뀌지 않는 국책사업의 이면 5 쿠쿠z 19/06/11 6002 19
691 경제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 28 Danial Plainview 18/08/30 8783 14
668 경제재보험(Re-Insurance)에 대해 간단한 설명 14 기쁨평안 18/07/25 6690 13
597 경제'식근론'에 대한 단상, 한국은 독립국이 맞는가? 25 hojai 18/02/23 9157 6
576 경제원전으로 보는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 24 소맥술사 18/01/10 8755 18
519 경제외감법 개정과 감사인 지정제는 왜 해야하는가 75 CathedralWolf 17/09/26 8667 9
493 경제LTV-DTI 규제 강화는 현 여당에 유리한 정치지형을 만드나? 40 소맥술사 17/08/16 8888 18
392 경제약간만 양심을 내려 놓으면 댓가는 달콤하다. 하지만... 51 tannenbaum 17/03/20 7776 1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