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10/30 18:00:55수정됨
Name   기쁨평안
Subject   고대 전투와 전쟁 이야기 - (6) 최종병기 활
이(夷)라는 것은 큰 활(大弓)이다. 이의 습속은 큰 활을 사용하여 남들을 상처입히니, 고로 육서가에서 그 글자를 가차(假借)하여 상해를 입힌다는 뜻으로 삼은 것이다. <정약용, 『여유당전서』 >

"동이족은 동쪽의 큰 활을 사용하는 민족이다." 라는 주장이 한동안 주류를 이뤘던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동이족이라는 것도 하나의 민족으로 분류하기 어려우며, 이(夷)라는 글자도 활에서 온 것이 아니라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라는 결과가 나오고 있어서, 동이족과 활에 대한 이야기는 일부 민족주의자들의 바람과는 달리 허구임이 들어났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활을 잘 사용하던 민족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0. 원거리 공격의 절대자

고고학적으로 활이 등장한 시기는 신석기시대부터 입니다.


<노르웨이에서 발견된 5천4백년 전 돌화살촉과 활 유적>

인류가 거주하던 어느 지역, 어느 곳에서도 활과 화살은 등장합니다. 사실 화약 무기 이전에는 원거리에서 공격을 할 수 있는 무기라는 것이 손에 꼽을 정도 밖에 안됩니다.

돌팔매(슬링), 화살, 투창, 바람총 정도가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원거리 무기이고, 이들을 비교해봐도 살상력이나 휴대성이나 정확도를 따져보아도 활 만한 게 없죠. (발리스타나 투석기 같은 대형 공성무기 논외)



금속도구 없이 원시기술만으로 활을 만드는 장면입니다. 후반부에 보시면 나무기둥에 화살이 팍팍 꽂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정도면 새나 토끼는 기본, 운이 좋으면 사슴 정도까지는 사냥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이죠.

1. 우리나라와 활

우리나라의 북쪽은 초원에서 생활을 하던 유목민족이 다수 포함되어있다보니 이들은 필수적으로 말을 타고 다니면서 활을 쏘는 생활에 익숙해져있었습니다. 고구려의 건국설화에서도 나오는 '주몽' 역시 활을 잘쏘는 인물로 묘사가 되어있죠.

만주, 요동 초원이 아니라 한반도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거의 대부분이 산악지대가 됩니다. 그래서 고대부터 우리나라의 전쟁은 대부분 산성에 의지해서 싸우는 공성전/수성전이 대부분이었고요. 그 상황에서는 활이 그 무엇보다도 효과적인 무기가 됩니다.

그래서 예전부터 우리나라의 활 실력은 유명했고요. 조선시대에는 유교에서 권하는 유일한 무술이다 보니 선비의 덕목으로써 활쏘기를 장려했습니다.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 뿐만 아니라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도 명궁으로 유명한 걸 보면, 정말 종특이라는게 있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건국 군주 2명이 다 활을 잘 사용하다니요.

우리나라의 활은 복합궁을 사용했습니다. 나무로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나무에 물소의 뿔을 잘라 붙여만들었는데요.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탄성이 매우 좋아 성능이 대단했다고 합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물소가 자라지 않아, 중국에서 수입할 수 밖에 없었는데요. 청나라에서는 우리나라의 화살을 경계해서 물소 뿔의 수출을 제한 하는 등 늘 견제를 했다고 합니다.

또 하나, 우리나라 화살 중 특이한 것은 "편전"이라고도 하는 "애기살"인데요. 일반 화살보다 훨씬 길이가 짧은 화살을 말합니다.
이걸 '통아'라는 대롱에 얹어서 활로 쏘게 되면, 같은 힘에 비해 중량이 적게 나가기 때문에 더 멀리, 더 빠르게 화살을 날려보낼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이성계가 이 편전을 기가막히게 쏘았다고 하는데요. 요동 정벌때 성 위에서 농성하던 적병 70명을 이 편전으로 모두 머리를 맞춰 죽였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나옵니다.

이 편전 쏘는 법은 워낙 군사기밀이어서 중국에서는 쏘는 법을 알려고 노력했으나 조선에서 철저하게 비밀로 유지하며 지켰다고 하는데,
문제는 너무 군사기밀로 유지하다보니 현대에는 그 사용법이 실전되었습니다.

그러나 국궁인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최근에는 사용법을 완전히 복구해냈다고 하네요. 지금은 알루미늄으로 만든 통아도 제작하고 보급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대에 재해석한 알루미늄 통아와 애기살>

2. 영국과 활

동아시아에서 활로 유명한 민족이 우리 민족이라면 유럽에서 활로 유명한 민족은 바로 영국입니다. 잉글리쉬 롱보우(장궁, English Long Bow)라고 해서 워낙 유명하죠.

그 당시 대부분의 나라들은 크로스보우(석궁)를 사용한데 반해, 영국은 꿋꿋이 장궁을 사용합니다.

사실, 크로스보우는 기계장치다 보니 제작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 육성을 하기는 쉬운 편입니다.
반면 장궁은 제작하는데 비용은 적게 드는 대신 숙련시키기가 어렵죠.

이걸 영국은 국가차원의 레저 스포츠로 장려하면서 장궁병을 집중적으로 양성합니다.

이런 장궁병으로 가지고 백년전쟁의 전반부에 프랑스 기사들을 박살을 내버리죠.


<영국 장궁 사격 시험 영상>

3. 크로스보우(석궁)

복잡한 기계장치로 보이지만 이 석궁도 사실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 무기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라군이 쇠뇌만 사용하는 부대를 독립적으로 운용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나오죠.


<초기 석궁의 발전사>

석궁의 장점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우선 당기는 힘이 더 강합니다. 따라서 파괴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중세 유럽에서는 말타고 돌진해오는 기사들을 상대로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조준력이 더 좋습니다. 활은 조준을 하는 동안에도 계속 사람이 시위를 당기고 있어야 합니다. 당연히 조준시간이 길어질 수록 힘이 빠지기 마련입니다. 팔이 후들거리기 시작하면 조준이고 뭐고 제대로 날려보내기도 쉽지 않죠.
반면 석궁은 한번 장전을 해 놓으면 안정적인 자세로 조준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훈련이 쉽습니다.

이런 석궁도 장점만 있는 건 아닌데요. 단점으로는
사정거리가 짧습니다. 화잘 자체도 짧은 걸 쓸 뿐더러 기계장치를 이용하다보니 걸리적 거릴수 있어 화살깃이 없는 화살을 쓰는 경우도 있을 정도니까요.
또한, 장전을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당연히 일반 활에 비해 연사력이 떨어집니다. 숙련된 궁사라면 짧은 거리를 가정할 때 5초 내외 마다 한발 씩 사격이 가능한데 석궁은 아무리 숙련되었다 하더라도 최소 20~30초는 걸리거든요.

그리고 기계장치가 들어가다보니 제작이 어렵고 제작단가가 높습니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석궁수들을 자체적으로 육성하기 보다 용병들을 사용했습니다. 용병들도 선호를 했는데, 장애물 뒤에 숨어서 방아쇠질만 하면 되니까 상대적으로 죽거나 다칠 위험도 적었습니다.

음, 여기까지 적어보았는데요.

사실, 활은 워낙 유명하고 친숙한 무기라서 별로 나눌 이야기가 없네요.

그럼 우리 다음에 또 만나요~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1-20 12:2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4
  • 꿀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61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586 19
1460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1140 31
1459 기타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3 kaestro 25/04/19 1136 18
1458 기타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897 11
1457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1190 20
1456 체육/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7 joel 25/04/11 1396 8
1455 기타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1462 38
1454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865 17
1453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844 43
1452 기타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685 5
1451 기타[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738 10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9 당근매니아 25/03/21 1270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814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2047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1243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1200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1131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2025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186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201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523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387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931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183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587 2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