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5/06/18 11:23:21
Name   사슴도치
File #1   IMG_20240918_215728_877.jpg (152.6 KB), Download : 4
Subject   [사진]을 찍는다는 것


사진을 찍는다는 건 결국, 세계를 다시 조율하는 일이다. 그것은 ‘보는 것’ 이상의 감각이다. 낯익은 세계의 질서를 의심하고, 그 안의 구조를 다시 설계하려는 시도다. 내가 좋아하는 방식은 ‘낯설게 하기’다. 평범한 사물, 아무 의미도 없어 보이는 풍경, 무심하게 지나쳤던 빛과 그림자의 각도. 그 모든 것을 다시 들여다보게 만드는 시선. 낯섦은 보는 이로 하여금 멈추게 하고, 질문하게 만든다. 이건 어디지? 왜 이런 구도지? 무엇이 잘렸고, 무엇이 강조되었나?

그 중심에는 파인더라는 장치가 있다. 나는 파인더를 통해 공간을 자른다. 그것은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선택과 배제의 연속이다. 현실은 끊임없이 연속되어 있지만, 사진은 그것을 끊는다. 파인더는 마치 메스처럼 공간을 가르고, 하나의 단면을 고정한다. 그 절단면은 사실 ‘현실’이 아니라, 이미 내 시선의 조작을 거친 허구이다. 내가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보고자 한 것만 남아 있는 구성물이다.

하지만 그 절단은 무작위적이지 않다. 파인더로 공간을 자르는 순간, 나는 무의식적으로 피사체를 재배치한다.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않더라도, 내가 어느 위치에서 어느 각도로 보는가에 따라 사물의 위계는 달라진다. 거리와 배경, 빛의 밀도, 그림자의 깊이까지. 피사체는 항상 그 자리에 있었지만, 그 구도에서의 의미는 매번 새롭게 구성된다. 나는 그 배열을 통해 질문을 던지고, 리듬을 만든다. 때로는 아주 사소한 사물이 화면의 중심이 되고, 때로는 의도적으로 사람의 얼굴을 프레임 바깥으로 밀어낸다. 그것은 피사체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세계를 해석하는 방식의 선택이다.

피사체의 재배치는 곧 세계의 재구성이다. 현실에서는 눈길조차 주지 않았던 사물이, 사진에서는 하나의 상징처럼 떠오른다. 그것은 물건이 아니고 메시지이고,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라 감정의 지지대가 된다. 정지된 이미지 안에서 사물은 말 없는 은유가 되고, 감상자에게는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 순간, 사진은 ‘타자의 것’이 된다. 내가 찍었지만, 더 이상 나의 것이 아니다. 나는 단지 그 장면을 통과했을 뿐이고, 그 이미지는 스스로의 질서를 가지고 감상자와 만난다.

감상자는 그 재배치된 구조 속에서, 낯선 감정을 느낀다. 무언가 불편하거나 묘하게 끌리는 장면들. 그 감정의 진원은 설명할 수 없지만, 분명히 감각된다. 왜 이 장면이 나를 멈추게 했는지 알 수 없어도, 우리는 멈춘다. 그리고 그것이 감상자의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그들은 프레임 속 빈 공간에 자신의 기억과 정서를 밀어넣고, 거기서 자신만의 구도를 만들어낸다. 사진은 그처럼, 찍는 자와 보는 자의 공간이 어긋나면서 맞물리는 하나의 ‘만남’이다.

그래서 나는 다시 카메라를 들고 나간다. 익숙한 공간을 잘라내고, 고정된 피사체를 흔들고, 스스로의 감각을 낯설게 만든다. 찍을 만한 것이 있는가를 묻기보단, 찍는 내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를 되묻는다. 그 모든 과정은 결국, 세상을 어떻게 구성하느냐는 선택의 문제이고, 동시에 내가 누구인가를 묻는 일이기도 하다.

어쩌면 사진은 어떤 진실을 포착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을 '편집'해 나가는 과정인지도 모른다. 나는 그 프레임 안에서 질문을 던지고, 감정을 놓고, 질서를 흔든다. 그렇게 세계는 다시 조율되고, 나는 그 조율의 틈에 머문다. 낯설게 바라보고, 잘라내고, 다시 배열함으로써. 사진은 그렇게, 늘 현실보다 반 발짝 느린 감각으로 나를 기다리고 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5-06-29 21:2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0
  • 네모반듯한 사진 넘모 좋읍니다


무더니
호우 사진 너무 좋네요 글은 나중에 읽겠습니다(응?)
은 뻥이고 사진찍고 싶어지네요 ㅠㅠ
*alchemist*
'낯설게'
'절단'
'재배치'
'재구성'
피어오르는 '감정'과 '감각'

그리고 제일 중요한 '왜?'

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추가로 적습니다만 비웃음 아닙니다 ㅋ. 이거 외에는 반응할 단어가 안 떠올라서요 ㅋㅋㅋㅋ)

기가막힌 워딩의 기가막힌 글 잘 보고 갑니다. 너무 즐거워요 글이 ㅋㅋㅋㅋㅋㅋㅋ 아 진짜 ㅋㅋㅋㅋㅋ 어쩜 이렇게 제 맘을 ㅋㅋㅋㅋㅋㅋ 아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사진 첨에는 뭔가 일러스트인줄 알았습니다 ㅋㅋㅋ 기가 막히네요 ㅋㅋㅋㅋㅋ 아놔 ㅋㅋㅋㅋㅋㅋ... 더 보기
'낯설게'
'절단'
'재배치'
'재구성'
피어오르는 '감정'과 '감각'

그리고 제일 중요한 '왜?'

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ㄲ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추가로 적습니다만 비웃음 아닙니다 ㅋ. 이거 외에는 반응할 단어가 안 떠올라서요 ㅋㅋㅋㅋ)

기가막힌 워딩의 기가막힌 글 잘 보고 갑니다. 너무 즐거워요 글이 ㅋㅋㅋㅋㅋㅋㅋ 아 진짜 ㅋㅋㅋㅋㅋ 어쩜 이렇게 제 맘을 ㅋㅋㅋㅋㅋㅋ 아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사진 첨에는 뭔가 일러스트인줄 알았습니다 ㅋㅋㅋ 기가 막히네요 ㅋㅋㅋㅋㅋ 아놔 ㅋㅋㅋㅋㅋㅋㅋ
3
사슴도치
덜어낸다는 것이 무엇인가 생각하다가 한번 대충 정리해봤습니다 ㅎㅎ
2
*alchemist*
대충 정리했다고 하기엔 평소 충분한 사유가 없었으면 적기 힘든 글인 듯 합니다 ㅋㅋㅋㅋㅋ 덜어내기가 어렵지만 잘 되서 그 순간을 숭덩-! 하고 잘라냈을 때의 쾌감이 참 사진을 끊기 힘들게 하지요 ㅋㅋ
구만원
좋은 글입니다. 저에게 있어 사진을 찍는 다는 것은 시간을 가둬 놓는 것입니다.
1
*alchemist*
이것 또한 맞는 말씀이옵니다 ㅎㅎ :)
마리킴
사진속에서도 철학을 찾을 수 있네요 역시 항상 관점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81 기타『경험의 멸종』 - 실패, 기다림, 관용에 대한 단상 9 kaestro 25/07/10 696 15
1480 기타지구는 호텔이군요 : 아포칼립스 호텔 17 심해냉장고 25/07/02 1253 11
1479 기타필름의 ISO와 디카의 ISO 차이점 +@ (잘못된 내용 수정) 9 메존일각 25/07/03 685 4
1478 기타만들어진 전통, 성골 8 눈시 25/06/29 1025 25
1477 기타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생산직들의 급여체계 11 Picard 25/06/27 1605 22
1476 기타2030, MZ세대, 청년 어쩌구를 더 이상 말하면 안 되는 이유 16 구밀복검 25/06/28 2117 24
1475 기타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9 사슴도치 25/06/19 989 19
1474 기타[사진]을 찍는다는 것 7 사슴도치 25/06/18 584 10
1473 기타교통체계로 보는 경로의존성 - 1 6 루루얍 25/06/11 941 16
1472 기타개표 참관 후기 7 dolmusa 25/06/04 1177 19
1471 기타내란 밤 이야기 거소 25/06/03 944 39
1465 기타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8 Daniel Plainview 25/05/07 2584 20
1464 기타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1477 52
1459 기타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3 kaestro 25/04/19 1715 18
1458 기타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1503 11
1455 기타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1923 38
1453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2538 43
1452 기타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1066 5
1451 기타[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1142 10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2462 51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1358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568 11
1419 기타페미니스트 vs 변호사 유튜브 토론 - 동덕여대 시위 관련 27 알료사 24/11/20 5590 33
1412 기타"트렌드코리아" 시리즈는 어쩌다 트렌드를 놓치게 됐을까? 28 삼유인생 24/10/15 2960 16
1407 기타'수험법학' 공부방법론(1) - 실무와 학문의 차이 13 김비버 24/08/13 3245 1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