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6/07 09:42:51
Name   사슴도치
Subject   [사진]이미지의 품질
1. 카메라를 살펴보니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기 위해 이미지 품질을 설정하는 경우, 보통 두가지 옵션 중에 고를 수 있습니다.

메뉴를 이거저거 눌러보면 JPEG, RAW 두 종류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JPEG + RAW의 옵션이 있는 경우도 있죠. 물론 저렴한 컴팩트카메라의 경우 JPEG만 지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요즘은 스마트폰도 RAW를 지원하니 이런 경우도 제외하도록 하죠.

이미 이것과 관련한 포스팅을 써봤다고 생각했는데, 찾아보니 한번도 쓴 적이 없더군요. 오늘의 주제는 이미지의 품질 입니다.

2. JPEG

 많이들 아시는 '이미지의 품질.jyp'에서 확장자를 담당하고 있는 jpg 형식의 옵션입니다. JPEG는 널리 지원되는 파일 포맷으로, JPEG 포맷으로 저장된 파일을 열어보는 데에는 특수한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간단히 웹 업로드나 공유가 가능하며 인쇄용으로도 널리 쓰이는 포맷이죠.

 RAW에 비해 JPEG 포맷을 이용하면 더 많은 매수를 촬영할 수 있게 됩니다. JPEG 파일은 사이즈가 작습니다. 해상도의 문제가 아니라(큰 사이즈의 고화질 JPEG는 RAW 파일로 저장되는 이미지의 픽셀과 같은 픽셀 수로 저장됩니다), 메모리카드에 저장될 때 차지하는 공간의 문제죠.

 또한 RAW보다 정보량이 적기 때문에, 저장속도도 빠릅니다. 특히 연속사진촬영에 있어서 JPEG는 강점을 갖게 되죠.

 JPEG는 일종의 압축이고, 정보량을 어느정도 손실해서 압축시켜 만들어지기 때문에, 세부적인 디테일에서는 압축률이나 해상도에 따라 차이를 갖게 됩니다. 다만 가벼운 용량과 호환성이 큰 장점이죠. 물론 같은 JPEG옵션에서도 세부옵션에 따라서 용량이나 디테일이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JEPG와 RAW는 양날의 검이기 때문에 상세한 건 다음 RAW에서 계속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RAW
 
 RAW는 카메라가 받아들인 정보가 촬상소자(센서)에 닿는 모든 것이 기록된, 날 것(RAW) 원본 그대로의 파일입니다. 정보량은 주로 색상이 많이 차지하는데, 일반적인 PC에서의 트루 컬러가 한 색상당 8비트 명암 값을 사용하는데 비해 raw 이미지 파일은 12~14비트를 사용합니다. 8비트의 경우 256가지의 명암 값이 표현 가능하지만 12비트는 4096가지, 14비트는 16384가지의 명암 값 표현이 가능합니다. 원색 하나의 표현이니 빛의 삼원색 세 가지 빨강, 파랑, 녹색 3가지를 합치면 8비트는 약 1677만 색상이 표현 가능하지만 12비트는 약 687억 색상, 14비트는 4조 3980억 색상이 표현 가능하죠.

 RAW 포맷은 사진이나 이미지 포맷이 아닙니다. 최소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정보일 뿐입니다. RAW 파일은 기본적으로 카메라의 센서로 받아들인 화상에 대한 ‘정보’를 기록해 둔 파일로, 촬영할 때의 카메라 세팅에 따른 이미지의 상세한 정보, 즉 화이트밸런스나 색상, 선명도 등의 정보를 수치화하여 기록해 프로그램으로 열어볼 때 이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렌더링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RAW 포맷은 촬영 시 큰 용량을 가지지만 그만큼 카메라가 뽑아낼 수 있는 최대한의 정보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RAW는 물리적인 셋팅 이외에는 카메라가 받아들이는 모든 정보량을 저장하게 됩니다. RAW 파일이 JPEG보다 훨씬 더 나은 포맷인 이유는 바로 카메라로 가능한 최상의 이미지 품질을 보여주는 것, 그리고 사진을 촬영하는 순간의 노출 값이나 화이트밸런스 값이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 촬영을 망치지 않을 최소한의 안전망을 제공해 주는 것 때문이죠 

 다만 RAW 파일을 보정할 때에도 ISO 값, 셔터스피드, 조리개 값의 세 가지 설정은 절대 바꿀 수 없습니다. (https://kongcha.net/?b=3&n=4875) 물론 이미지의 초점을 다시 맞추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디지털 보정을 통해 화이트밸런스, 대비, 선명도 등의 값은 바꿀 수 있습니다. 카메라의 노출 값 보정(https://kongcha.net/?b=3&n=4953)과 비슷한 과정을 통해 사진의 노출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촬영되는 이미지를 RAW 파일로 저장하도록 카메라를 설정해 놓았더라도 후면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노출 그래프는 JPEG를 기반으로 한 미리보기 이미지의 결과 값이니 별도로 후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주의할 점은, RAW파일의 확장자가 RAW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캐논 - CRW, CR2, CR3
 니콘 - NEF, NRW
 펜탁스 - PEF
 후지필름 - RAF
 삼성 - SRW
 올림푸스 - ORF
 소니 - SRF, SR2, ARW

 표준이 없기 때문에 각 파일을 지원하는 별도의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설치해 사용해야 하고, 제조사에서 제공하거나 라이트룸이나 캡쳐원 같은 RAW보정프로그램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물론 어도비에서 DNG라는 표준안을 제시하지만 파나소닉외에 직접적으로 쓰는 메이커는 없습니다. 표준안을 따라가는 갓 파나소닉 씁시다)

4, 이미지프로세싱과 색감

 카메라가 받아들이는 RAW파일을 카메라 회사마다의 독자적인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JPEG파일을 뽑아내는데, 이 과정에서 제조사별 색감차이라던가, 색감 좋은 카메라 라는 말들이 등장합니다. 즉 RAW포맷을 어떤 프로세싱으로 정보량을 고착시켜 결과물을 뽑아내는지에 대한 과정이죠.

 따라서 RAW포맷을 촬영해서 직접 보정하여 jpeg로 뽑아내는 경우라면, 사실 카메라회사별 색감 차이 같은 건 무의미해집니다. 이미지프로세싱을 사람에게 외주를 주었다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그러므로 RAW보정을 할 경우 니콘으로 캐논색감을 낸다던가, 소니로 찍었는데 펜탁스같은 색감을 낸다던가 하는 것도 가능해집니다. 이에 따른 별도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구요.


5. 그럼 무얼 쓰면 좋을까요?

 각자의 취향에 맞게 쓰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장단점도 확실하고, RAW가 퀄리티적으로 좋기는 하나, 별도로 RAW보정을 배워야하는 측면에서는 익숙한 JPEG가 좋겠지만, JPEG의 경우 화이트밸런스나 DR같은 것이 카메라의 성능이라던가, 촬영자가 셋팅한 셋팅값을 그대로 따라가서 후보정이 어렵다는 측면에서는 RAW가 좋겠죠.

 일각에서는 RAW로 찍어야 사진의 구조와 원리를 깨닫는다는 말도 있지만, 라이트하게 찍는다는 측면에서는 JPEG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저는 요즘은 가볍게 JPEG로 찍습니다) 특히 구모델의 경우 백열등하에서의 화이트밸런스를 제대로 잡아주지 못해서 RAW가 강제되는 측면도 있었지만 요즘 기종들은 대체로 화이트밸런스를 잘 잡아주기도 하구요(https://kongcha.net/?b=3&n=4970)

 각자 취향과 상황에 맞게 취사선택하여 사용해봅시다. 저는 대체로 부탁받은 사진의 경우엔 RAW+JPEG로, 일상스냅은 JPEG로 찍고 있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6-18 08:0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0
  • 매번 올려주시는 글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보정할 시간이 따로 거의 없고 찍자마자 카톡으로 마눌님께 진상해야 하는 저같은 사람은 그냥 JPEG 로 찍습니다 ㅋㅋ

RAW+JPEG 로 해도 되지 않나 싶긴 한데 이미 200기가를 넘어가는 사진과 400기기를 넘어가는 동영상을 편집은 커녕 정리도 못하고 있는지라 -_-....
사슴도치
사실...취미인에게 RAW는 사치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RAW도 즐겁게 보정하는 취미의 일부로 보면 또 다르겠지만요. 결국 퀄리티를 보다가 양에 압도되는 ㅠㅠ
1

사실 제대로 보정을 하려면 장비가 중요한거 아니겠습니까? 캘리 안된 어설픈 모니터로 색감 보정했다가 인화해서 망해먹고 와이프한테 맞은 등짝이 수십대라.... 걍 캐논빨(....) 믿고 가는게 제일 안전하더라고요. 흑흑. 보정하게 캘리되는 모니터랑 사양 좋은 컴좀 사달랬다가 또 등짝(.....)

요즘엔 캠핑다니면서 각잡고 찍는 용으로 캐논 100d, 스냅과 수중촬영(...) 용으로 rx100 그리고 동영상은 별도로 axp35 를 셋다 쓰는데 다녀와서 캠핑용품 정리하고 배터리들 다시 충전하고 찍어놓은 소스 컴으로 옮기고 나스에 백업하고 쓸만한거 마님 카톡으로 진상하는데만 한세월이라... 보정은 마님이 폰에서 어플로(.....) 하십니다 ㅋㅋㅋ 제가 한 것보다 낫더군요 ㅠ
1
사슴도치
저도 보정은 사실 요새 어플로...심지어 어플도 RAW를 지원하니 격세지감이네요 ㅋㅋ
엌;;; 고건 몰랐네요 ㅎㅎㅎㅎ 어플이나 주로 쓰시는 프로그램 있으시면 추천좀... 그리고 사진 정리 하시는 묘안이 있으시면 다음 연재물 주제로 좀......

사진은 사실 JPEG로 찍어도 일반인 눈에는 어지간히 차는데 동영상은 진짜 소스 빨이 심하더라고요. 4K 로 찍은걸 식구들 보여줬더니 거의 억소리 나옴 ㅋㅋㅋㅋ 요샌 홈 캠코더에서 30p 100M 까지도 지원을 하니 진짜 어마어마 합니다.
1
사슴도치
https://redtea.kr/?b=3&n=7607

제가 이전에 글을 써 두었습니다 ㅋㅋㅋ
한참 바쁠때라 못 읽고 지나쳤나보군여 ㅋㅋ 정독하겠스므니다
1
회색사과
여행가면 쓸데 없는 오기로 raw 로 잔뜩 찍는데...
느린 컴퓨터 + 게으름으로 처음 이틀치만 보정하고 나머지는 메모리에서 꺼내지도 않네요 ㅋㅋㅋㅋ 반성 반성
사슴도치
저는 여행사진은 jpeg로만 찍습니다 ㅎㅎ저를 믿지 못하기에...ㅋㅋ
소맥술사
저는 니콘 D850으로는 raw와 jpg를 각각 다른 저장장치에 넣는 방식으로 씁니다. 보정을 많이 하진 않는데, 가끔 암부 살리거나 명부 죽이거나 할 때 편해서....가끔 찐득한 색감을 만들기 위해 손대기도 합니다. 이 정도만 쓰니까 그냥 니콘 기본 제공 보정프로그램으로도 충분하더라고요. 평상시 자주 들고 다니는 후지필름 T20은 JPG로만. 후지 색감 짱져아!
1
사슴도치
니콘캡쳐는 니콘이 캐사기템 중 하나죠! ㅋㅋㅋ
구라머쉰
데세랄이 한창 유행하던 시절(10여년 전쯤?) S5PRO 구입 후 연애..결혼 등을 거치면서
남은 사진(jpeg)만 2테라 정도 되더군요...
뭐 결혼 후에는 연례행사로 해외나 제주행 비행기 정도 타야 들고 다닙니다..(이제는 구석기 유물..)
올초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D7500을 구매해서 잠깐 사용해 봤는데...정말 좋더라구요
5pro 시절에는 조리개/셔터 고정, 역광시 수동으로 촬영하는 재미가 있었는데...요즘 기기는 그냥
인물/풍경모드로 찍게 되더라구요 ㅎㅎ 귀찮아 졌습니다...보정하는 것도 일이긴 한데...
연사가 빨라지니 고르는 것 부터가 귀찮아서..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0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943 23
1449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4. 재질과 가공 (완) 10 Beemo 25/03/17 574 11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1786 51
1447 꿀팁/강좌1. 만화란 뭘까? 인스타툰은 어떻게 시작해야할까? 11 흑마법사 25/03/12 878 26
1446 일상/생각첫 마라톤 풀코스 도전을 일주일 앞두고 24 GogoGo 25/03/09 981 24
1445 일상/생각포스트-트라우마와 사회기능성과 흙수저-학대가정 탈출 로직 6 골든햄스 25/03/06 979 21
1444 정치/사회 2월 28일, 미국 우크라이나 정상회담 파토와 내용 정리. 11 코리몬테아스 25/03/01 1875 29
1443 문화/예술2025 걸그룹 1/6 18 헬리제의우울 25/03/03 1002 16
1442 정치/사회목요일 대학살 - 믿을 수 없이 부패한 트럼프 16 코리몬테아스 25/02/19 2002 24
1441 정치/사회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8 당근매니아 25/02/11 3296 17
1440 정치/사회무엇이 한국을 분열시킬 수 있는가? 5 meson 25/02/09 1241 7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779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035 11
1437 IT/컴퓨터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23 덜커덩 25/02/05 1428 24
1436 일상/생각여행을 나서면 집에 가고 싶다. 4 풀잎 25/01/30 1115 10
1435 꿀팁/강좌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3. 인클로저 설계 Beemo 25/01/29 1137 4
1434 체육/스포츠해리 케인의 무관에 대하여. 12 joel 25/01/27 1286 12
1433 체육/스포츠볼링 이야기 20 거소 25/01/19 1016 5
1432 일상/생각저에게는 원칙이 있습니다. 13 whenyouinRome... 25/01/19 1879 49
1431 일상/생각집사 7년차에 써보는 고양이 키우기 전 고려할 점 13 Velma Kelly 25/01/18 1260 20
1430 일상/생각입시에 대해 과외하면서 느꼈던 것들, 최근 입시에 대한 생각 12 Daniel Plainview 25/01/17 1860 16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384 34
1428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1079 7
1427 정치/사회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6 김비버 25/01/06 1175 14
1426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5 T.Robin 25/01/05 1321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