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5/05/07 10:55:57
Name   Daniel Plainview
Subject   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
일단 프랜차이즈라는 업의 특성과 상장회사가 잘 들어맞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사실 여기서부터 다 틀어졌다고 생각함. 주주를 위해서 프랜차이즈는 돈을 많이 벌어와야 하는데, 그걸 위해서는 결국 점주들을 쥐어짜는 구조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 그렇다면 다시 높은 폐업률을 갖게 되고, 다시 백종원이 갖고 있던 대중적으로 좋은 이미지는 하락하게 됨. 스타 CEO에 기댄 상장이지만 그 상장의 많은 부분이 좋은 이미지에서 기인하는 것 아닌가.

2
처음 논란이 터졌던 게 빽햄이었다는 것도 의미심장함. 더본이 점주에게서 이득을 취하지 않게 되면 결국 자체 PB상품의 매출에서 이득을 봐야 함. 그래서 한돈농가 살리기라는 이름으로 스팸이랑 동일가격을 받았는데 결국에는 백종원의 후광효과를 통한 더본의 매출/영익 상승을 꾀한 것. 이게 나쁜 전략은 아님. 그런데 누군가가 품질/가격 이슈를 제기하니까 갑자기 이미지로 가려졌던 게 보일 뿐.

3
또다른 논란이 터진 것도 지역축제 관련 컨설팅 비용인데 (위생문제는 별 관심없음) 이것도 역시 프랜차이즈에서 돈을 벌지 못하니까 외부사업을 통한 영업이익으로 볼수있음. 어떻게 보면 백종원은 더본이라는 회사의 성장을 위해서 꽤나 다각화된 활동을 해왔다고 볼 수 있음. 다만 이게 폭리 논란이 있어서 문제지...

더본은 프랜차이즈가 아니라면 여러 외주사업, pb, 편의점 제휴 도시락 등을 통해 돈을 벌어와야 함. 일반적인 식품회사처럼. 그런데 여기서 전문성이 아주 높진 않았다고 봄... 본사 그룹의 전문성이 낮은데 식품회사처럼 움직이는 게 어려움. 백종원 1인의 개인기로도 불가능한 영역.

4
프랜차이즈로 넘어가보면, 프랜차이즈는 결국엔 사업에 능숙하지 못한 이들에게 노하우를 전수하고, 반대로 그로 인한 수수료를 받는 개념임.

그런데 백종원의 노하우란 무엇인가 생각해보면, 예전부터 느꼈지만 결국엔 산업공학적인 것임. 다른 말로 해보면 <어떻게 홀 서빙 인원을 최소한으로 줄일 것인가> 즉, 최소한의 인건비로 매출을 평타로 낼 것인가.

식당은 1명의 알바를 더 쓰게 되면 200이상이 들게 됨. 그러니까 어떻게 하면 알바 한명을 줄일까, 이게 백종원 노하우의 핵심이라고 생각함. (백종원의 책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이를 위해서 홍콩반점을 보면 초반에 메뉴가 3개인가 2개뿐이었음. 그리고 홀서빙은 없고 음식 나오면 가져다 주는게 끝. 단무지나 이런건 혼자서 가져와야함. 만들어지는 라인도 최대한 동선 최적화가 되어있었음.

홍콩반점들을 보면 상권분석을 해서 적은 권리금으로 좋은 입지에 들어가지 않음. 그냥 좋은 입지에 비싼 권리금으로 들어감. 반대로 주방장의 실력은 떨어짐. 그러니까 이 가게가 어디에서 매출이 나오는지를 봐야함.

손님이 많은 건 권리금/임대료랑 상쇄되고, 저가형 메뉴들은 박리다매라면 돈은 인건비에서 나온다는 것임.

5

그러니까 백종원 프랜차이즈에서 역설적으로 '메뉴'는 큰 의미가 없음. 어떤 메뉴를 팔든 인건비를 줄이는 게 목적이라 문어발식으로 노하우를 전수할 수 있음. 골목식당에서도 백종원 솔루션은 비슷했음. 잘 팔리는 메뉴에 집중하고 단가 최대한 줄일 수 있게 하고 미리 준비과정 할 수 있는 메뉴 만들어서 최대한 인건비 줄이기.

그런데 매출의 영향은 메뉴의 영향을 크게 받음. 그러니까 중국집은 되는데 볼카츠는 안됨. 아무리 사장님 혼자서만 운영할 수 있게 메뉴를 간소화해도 볼카츠는 단독 프랜차이즈가 안됨. 백종원 솔루션이 안 먹히는 메뉴가 있는 것임. 노하우는 맞는데, 그 노하우가 안 먹히는 것.

반대로 다른 프랜차이즈들은 메뉴에 노하우가 있음. 레시피, 특이한 메뉴 등등.

왜 연돈볼카츠에서 처음으로 문제가 생겼는가. 백종원이 요리를 못해서라기보다는 백종원식 프랜차이즈가 파는 노하우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봐야 한다는 것.

6

프랜차이즈는 역설적으로 인테리어 장사임. 가맹점 수 늘려서 그들로부터 고정비용(인테리어 등)을 자기 자회사인 인테리어 회사를 만들어서 그들에게만 수주시키면서 가맹점들의 고정비용을 프랜차이즈의 변동수익으로 가져감.

그동안 많은 대외활동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프랜차이즈의 양적 성장에 집중하고 질적 하락을 외면한게 문제가 아닌가 싶음.

나였다면 프랜차이즈 사업부는 확장을 줄이고(백다방을 제외하고는) 그냥 cash cow로 뒀을 것 같고, 본사의 개발역량이나 자문 역량을 증가시키는 데 초점을 뒀을 듯.

모든 사업 모델이 이상한 건 아니지만, 문제가 터져 나오는 지점들은 전부 그럴 만 한 지점에서 나오는 듯.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5-05-20 08:5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0
  • 생각못해본지점인것같습니다


그런거 같습니다.
2
맥주만땅
이재용 회계사가 분석했듯이 현금이 많은데 왜 상장을 하려고 함?

이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세계적으로는 잘 모르겠는데, 국내 한정으로는 프렌차이즈브랜드가 상장해서 딱히 좋았던 일은 없었던 것 같기도 합니다.

물론 이번 상장으로 들어온 돈으로 본인이 꿈꾸던 수직계열화를 이룬다면 모르겠지만....
8
당근매니아
예전부터 가지고 있던 생각 중 하나가, 사회에 그렇게 기여하고 싶다면 직영점을 많이 굴리고 프랜차이즈 사업은 곁다리로 둬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거였습니다. 직영점 위주의 업체였다면 메뉴 선정에 실패하더라도 금전적 손실만 좀 보고 말았을 거고, 지금처럼 가맹점주들과의 갈등이 수면 위로 올라오는 일도 없었겠죠. 애초에 직영이라면 무리하게 지점 확장을 노릴 이유도 없었을 테구요. 흔히 말하는 프랜차이즈 사업의 주안점 ㅡ 이익의 사유화와 리스크의 외주화가 그간 너무 잘 작동한 게 문제인가 싶습니다.
2
자몽에이슬
애초에 사회에 기여하는 이미지가 필요했던 것이지 실제로 그렇게 하고 싶어했다고 생각이 들지는 않습니다. 그 이미지로 인해 프랜차이즈 확장에 도움이 많이 된 것은 사실이니까요.
연돈볼카츠를 처음 접했을 때 생각했던 것이 "이 저열한 음식 퀄리티의 프차가 정성으로 성공한 제주연돈의 이미지 소비 외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였습니다. 백종원은 사업가로서 본인에게 도움이 되거나 사업성이 있어 보이는 것은 무엇이든 다 하는 사람이었을 뿐이라고 생각 합니다.
5
모르던 이야기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저 사람은 어떻게 저런식으로 온갖 메뉴 체인점을 막 차리는지 궁금했는데 메뉴가 노하우가 아니라서 가능한거였군요 ㅎㅎㅎ
1
저는 메뉴도 나쁘진 않았다 생각합니다.
품질관리를 지속적으로 못해줘서 그렇지 제공한 레시피 자체는 꽤 괜찮았을거라고도 생각해요.
제가 직접 경험했던 백종원 체인들은 대부분 초기 퀄리티가 매우 훌륭했거든요.
이 본문에는 없는 퍼포먼스 적인 요소들도 꽤나 있다 싶고요. (새마을식당의 가위질이라던지 홍콩반점 짬뽕 불쇼 같은)
백종원 이름빨로 마케팅 효과 제공하는 것도 분명히 있었고...

그렇지만 결국 사업적 핵심은 본문에 나와있는 부분들이 주요한게 맞는거 같습니다.
2
치즈케이크
연속성 없는 다양한 품목의 프랜차이즈의 지속적인 출시와 지역축제 등등 잔뜩 벌려놓은 사업들을 어찌저찌 굴러가게 할 순환계통이 바로 PB상품을 통한 유통체인이었는데 그게 시작해보기도 전에 뺵햄논란으로 어그러졌고 거기다가 프랜차이즈 점주들과의 갈등과 지역축제 폭리/위생논란 등이 차례로 터져버리니 ..

애초에 후발주자로서 부족했던 인적자원을 백종원 본인의 개인기로 어떻게든 극복해보려 했지만 결국 실패로 흘러가는것 같습니다. 타 대기업들이 몇십년전부터 일궈왔던 것들을 너무 빠르게 따라잡으려 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쩐주가 없으면 결국 일을 크게 벌려서 투자받는 방법밖에는 없기 때문에(애초에 1세대 재벌들도 다 그렇게 시작했죠) 그 방법이 잘못되었다고까지는 말할 수 없겠습니다만 벽이 너무 높았다라고 할까요.
5
그저그런
상장도 문제였고, 그이전부터의 수익모델인 문어발식 확장과 높은 폐업율이 문제였지 않나 싶습니다.
어떤 숫자에서는 냄새가 나는데, 더본의 수익과 폐업율에서는 피비린내가 훅 나는 느낌이더라고요 ㄷㄷ
7
교촌 같은 프랜차이즈가 아닌 이상 대부분 프랜차이즈가 비슷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다만 더본의 경우는 백종원이 알려진 사람으로서 선한 영향력 이미지를 만들면서 더본은 다르다를 증명했어야 하는데 기대하는 바에 부합하지 않았다는게 문제였지 않았나 싶고요.
1
그저그런
본죽이나 한솥은 폐점율이 5% 이내거든요.. 연돈 볼카츠는 특수매장 제외하면 70% 아니어도 30%가 넘게 나오죠 ㄷㄷ
8
한솥 진짜 대단해요 신제품이 있는거 돌려막기인 경우가많은데 막상 나오면 그거 사먹구있음... 빅 제육덮밥 넘조아
3
그저그런
본죽 계열은 폐업율이 1% 미만이라고..ㄷㄷ
1
루루얍
저는 개인의 위명에 기댄 프랜차이즈와 상장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강이 있다는 걸 배운 듯 합니다.
2
방사능홍차
그동안 많은 대외활동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프랜차이즈의 양적 성장에 집중하고 [질적 하락]을 외면한게 문제가 아닌가 싶음.

너도나도 다 아는 문제죠,
백종원 자기채널 컨텐츠(홍반점검)로도 나왔지만 회차가 갈수록 점주탓보다는 본사와 백종원 탓이 대다수가 됐죠.
1
박리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다매*수익률 관리가 어려운..
거기에 가격낮추라는 걸 강요하지만 정작 부담은 업주쪽에만 주고 본인 마진은 낭낭하게 챙겨먹으려는 마인드도 웃기긴 했죠.
1
본사에서 가맹점에 남품하는 원재료의 마진율이 가맹점에 강요하는 마진율과 비교해보면 답 나온다 봅니다. 서로 마진율이 낮고 비슷하면 백종원씨 경영철학인거고. 본사마진은 높은 편인데 가맹점 마진은 낮은거라면, 장사수단인거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77 기타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생산직들의 급여체계 10 Picard 25/06/27 1122 21
1476 기타2030, MZ세대, 청년 어쩌구를 더 이상 말하면 안 되는 이유 16 + 구밀복검 25/06/28 1673 23
1475 기타읽었다는 증거, 말하지 못한 말 – 응답의 심리와 소통의 변질 9 사슴도치 25/06/19 842 19
1474 기타[사진]을 찍는다는 것 6 사슴도치 25/06/18 486 10
1473 기타교통체계로 보는 경로의존성 - 1 6 루루얍 25/06/11 794 16
1472 기타개표 참관 후기 7 dolmusa 25/06/04 1060 19
1471 기타내란 밤 이야기 거소 25/06/03 865 39
1465 기타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7 Daniel Plainview 25/05/07 2480 20
1464 기타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1385 52
1459 기타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3 kaestro 25/04/19 1632 18
1458 기타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1405 11
1455 기타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1841 38
1453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2427 43
1452 기타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995 5
1451 기타[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1065 10
144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1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2397 51
1439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2) 5 소요 25/02/09 1285 7
1438 기타애착을 부탁해 - 커플을 위한 보론 (1) 소요 25/02/07 1502 11
1419 기타페미니스트 vs 변호사 유튜브 토론 - 동덕여대 시위 관련 27 알료사 24/11/20 5526 33
1412 기타"트렌드코리아" 시리즈는 어쩌다 트렌드를 놓치게 됐을까? 28 삼유인생 24/10/15 2894 16
1407 기타'수험법학' 공부방법론(1) - 실무와 학문의 차이 13 김비버 24/08/13 3173 13
1399 기타 6 하얀 24/06/13 2628 28
1397 기타트라우마와의 공존 9 골든햄스 24/05/31 2658 23
1388 기타잡담)중국집 앞의 오토바이들은 왜 사라졌을까? 27 joel 24/04/20 4699 34
1382 기타우리는 아이를 욕망할 수 있을까 22 하마소 24/04/03 3484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