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3/01 22:32:27
Name   경제학도123
Subject   요즘에 글 쓰기가 너무 두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학회를 지원할려고 자기소개서를 쓰는 중인데 글이 잘 써지지가 않네요.
그냥 글 쓰다가 잘 안써지니까 하루 종일 멍 때리고 있었습니다 ㅠㅠ
아무래도 중,고등학교에서는 글을 쓸 일이 별로 없다보니 별 문제를 못 느꼈는데
대학에 와서 레포트를 쓰거나 어디 지원서를 쓸 때 도무지 글을 시작을 못 하겠습니다.
사실 제 감정을 표현하거나 일상 얘기를 풀어쓰는 건 머릿속에 내용이 다 있다보니 한번에 쓰겠는데
자료를 조사해서 쓰는 글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하나하나 찾다보니 머릿속에 기억도 안남고... 종이에 정리하자니 어떻게 조직할지도 모르겠고...
혹시 홍차넷의 명필(?)분들은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시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1


다람쥐
계속 쓰는 방법밖에 없는 것 같아요
목차잡는것부터 시작해보세요
그런 글은 첨부터 끝까지 일필휘지로 쓰려고 하면 안써져요
1
Darker-circle
각 잡고 쓰려면 data-mining 이후 flow-chart 짠 다음에 글을 시작하는 편이구요,
가볍게 쓰는 글은 일단 생각나는대로 문장이나 문단 단위로 조각조각 글 쓴 이후 재배열하는 식으로 쓰면 편하게 되더라구요.
1
사나남편
개인적으로 서론 본론 결론으로 나눠 늏고 목차만들고 써보심이 어떨까합니다.
2
하고 싶은 이야기를 먼저 설정하고 그에 맞는 자료를 찾는 순서로 진행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1
1. 우선 개조체로 씁니다. 개조체란 음슴체를 말합니다. 하였음. 필요함. 이렇게요.

2. 개조체로 문단만 적습니다.

introduction은 세 문단이 가장 기본적이라고 생각하세요. a가 알려져 있다. b가 알려져 있다. 그래서 우리는 c라는 가설을 세웠다.

3. 이렇게 간단히 인터넷에 글 스는 것처럼 문단만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글을 씁니다.

4. 이후에 문단 하나하나에 살를 붙입니다. 이 때 엔드노트나 조태로같은 서지 프로그램을 이용흐여 레퍼런스를 답니다.

5. 쓸 때에는 꼭 모래시계를 기억하세요. ... 더 보기
1. 우선 개조체로 씁니다. 개조체란 음슴체를 말합니다. 하였음. 필요함. 이렇게요.

2. 개조체로 문단만 적습니다.

introduction은 세 문단이 가장 기본적이라고 생각하세요. a가 알려져 있다. b가 알려져 있다. 그래서 우리는 c라는 가설을 세웠다.

3. 이렇게 간단히 인터넷에 글 스는 것처럼 문단만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글을 씁니다.

4. 이후에 문단 하나하나에 살를 붙입니다. 이 때 엔드노트나 조태로같은 서지 프로그램을 이용흐여 레퍼런스를 답니다.

5. 쓸 때에는 꼭 모래시계를 기억하세요. 한 문단은 모래시계 넓은 면에서 좁은 구멍으로 포커싱해나간 후 다시 넓은 면쪽으로 이완시켜 나간다고 생각하세요.

6. 문단 하나 하나도 저렇지만, 글 전체적인 구성도 저렇습니다. introduction에서 넓게 시작하시고, method, result로 좁혀 들어가고, 이후 discussuon에서 다시 넓어진다고 생각하세요.

7. 백문이불여일견. 백견이불여일RUN. 그냥 우선 써보세요.
2
경제학도123
다들 조언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ㅠ
아이캔플라이
저는 발표용 글을 쓸 때 이렇게 했습니다. 경제학도라고 하시니까...

주제 : ex) 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이란?
개괄적 목적 : ex) 정보전달, 자기주장 등
구체적 목적 : ex) 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에 대해 그래프와 예시를 들어 청자에게 알기 쉽게 설명한다.
주제문 : ex) 워라밸 - 당신의 '밸런스 포인트'는 어디입니까?

서론
Ⅰ.
Ⅱ.
Ⅲ.

본론
Ⅰ.
1.
2.
3.
Ⅱ.
1.
2.
3.
Ⅲ.
1.
2.
3. ... 더 보기
저는 발표용 글을 쓸 때 이렇게 했습니다. 경제학도라고 하시니까...

주제 : ex) 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이란?
개괄적 목적 : ex) 정보전달, 자기주장 등
구체적 목적 : ex) 후방굴절 노동공급곡선에 대해 그래프와 예시를 들어 청자에게 알기 쉽게 설명한다.
주제문 : ex) 워라밸 - 당신의 '밸런스 포인트'는 어디입니까?

서론
Ⅰ.
Ⅱ.
Ⅲ.

본론
Ⅰ.
1.
2.
3.
Ⅱ.
1.
2.
3.
Ⅲ.
1.
2.
3.

결론
Ⅰ.
Ⅱ.

이렇게 틀을 처음에 잡아두고 시작하면 나중에 다른 데로 안 새더라구여.. 저는 하다보면 막 산으로 가고 그래서 일부러 잡고 했어요. 전 경영이 주 전공이라 발표할 일이 항상 많아서 레폿 보다는 PPT를 만들었는데,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서 ㅎㅎ
1
경제학도123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80 문화/예술가장 맘에 드는거 골라주세요 14 [익명] 19/03/15 3489 0
6766 문화/예술어디까지 우리는 문화라고 부를 수 있을까? 54 아이캔플라이 19/03/14 4647 0
6764 문화/예술추리소설 추천해주세요! 1 Velma Kelly 19/03/14 3896 0
6746 문화/예술스릴러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익명] 19/03/11 2720 0
6727 문화/예술많이 우유부단합니다. 6 덕후나이트 19/03/09 2508 0
6705 문화/예술30살 여자 향수 어떤게 좋은가요~~?? 12 [익명] 19/03/05 4653 0
6689 문화/예술요즘에 글 쓰기가 너무 두렵습니다 8 경제학도123 19/03/01 5257 1
6683 문화/예술재미있게 읽은 역사 책이 있으신가요?? 9 우유홍차 19/03/01 4382 0
6615 문화/예술2월의 영화. 증인vs사바하 뭐 볼까요?? 8 [익명] 19/02/21 2720 0
6614 문화/예술고전 명화에 조예가 깊으신 미술관 옆 동물원급만 4 장생 19/02/21 4585 0
6578 문화/예술스포 - 알리타: 배틀엔젤, 시렌?? 8 우주견공 19/02/18 6643 0
6549 문화/예술한국에서 야동이 불법 맞나요? 15 [익명] 19/02/14 12078 0
6545 문화/예술중국, 대만, 홍콩 무협 추천해주세요. 1 덕후나이트 19/02/14 3551 0
6528 문화/예술정착할 이북 사이트 추천 부탁드려요~ 21 천안무쇠다리 19/02/12 9460 0
6522 문화/예술힘낼 수 있는 노래를 찾습니다. 22 [익명] 19/02/12 3636 0
6499 문화/예술에반게리온을 2000년대생 분들이 보면 어떨까요? 7 흥차넷 19/02/09 4074 0
6484 문화/예술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질문이 있습니다. 3 [익명] 19/02/07 2454 0
6458 문화/예술문화계열 종사자들은 왜 진보성향이 많을까요? 26 [익명] 19/02/03 4268 0
6456 문화/예술영화 제목 하나를 찾고 있습니다. 2 A7658 19/02/03 3616 0
6450 문화/예술롤 skt 팀은 뭐가 문제일까요? + 그리핀 실력? 11 흥차넷 19/02/02 4467 0
6383 문화/예술글래스가 썩토 받는 이유가 뭔가요? 1 우주견공 19/01/24 4599 0
6382 문화/예술1월의 영화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익명] 19/01/24 2375 0
6375 문화/예술[음악]믹싱용 미디프로그램 추천 질문입니당 2 벚문 19/01/23 3492 0
6359 문화/예술웃긴 영화 추천부탁드립니다 23 고철 19/01/22 3557 0
6357 문화/예술슬픈 이야기 추천해주세요~ 4 [익명] 19/01/22 204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