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7/24 23:59:31
Name   벤젠 C6H6
Subject   사회적 자폐라는 말이 뭐죠?
저 오늘 굉장히 좋은 일 있고 집으로 왔는데 사회적 자폐라는 말을 보았어요. 자세히 그 용어의 의미와 등장한 맥락을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지금 너무 슬프고 괴로워서 정신을 못 차리겠네요.



0


Cibo & Killy
사회적 자폐가 어떤 맥락에서 어떤 의미로 어떻게 쓰인지는 모르겠지만,
사회적 타살하고 비슷한 용례 아닐까요.
살해로 피해를 당한 희생자의 가족이라도 딱히 민감하게 반응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벤젠 C6H6
자폐에 대한 사회의 편견을 강화하는 측면이 있다고 생각해서 저는 민감합니다. 저는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의 편견이 두렵습니다.
Cibo & Killy
어떻게 쓰였는지, 맥락이 어떤지 몰라서 모르겠지만

사회적 타살이라고 하는게 살인을 조장하는 것도 아니고
그 말을 들은 나머지 사회 구성원을 살인자로 지목되는 것도 아니지 않나요?
더군다나 살인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생각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해요.
그전 언어의 사용법 중 하나가 아닌가요.
벤젠 C6H6
사회가 살인에 대해서 갖고 있는 인식 수준과 정신질환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 수준을 비교해보면..

제가 지금 상태가 많이 안 좋아서 더 글을 못 쓸 것 같아요. 죄송합니다.
와인하우스
그냥 쎈 척하는 거예요.
벤젠 C6H6
음.. 사려깊게 생각하지 못해서 pc하지 않은 용어 같네요.
Lionel Messi
황교익 발언 보신 것 가은데, 황교익 페이스북 글 전문을 퍼와봅니다.
------------------------
쓰레기 언론의 기사여서 내버려두려다가 일간지까지 이를 받아쓰고 있어 정리를 해야겠다.
디스패치는 악의적으로 제목을 달았다. ‘사회적 자폐아’라는 단어를 나는 쓴 적이 없다. ‘사회적 자폐아’라는 용어가 의학적으로도 심리학적으로도 성립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자폐아는 선천적 장애 아동이다. 태어날 때에 이미 자폐아이다. 정상이었다가 사회적 영향으로 자폐아가 되는 일은 없다. 그 정도의 지식도 없이 글쟁이 노릇을 하는... 더 보기
황교익 발언 보신 것 가은데, 황교익 페이스북 글 전문을 퍼와봅니다.
------------------------
쓰레기 언론의 기사여서 내버려두려다가 일간지까지 이를 받아쓰고 있어 정리를 해야겠다.
디스패치는 악의적으로 제목을 달았다. ‘사회적 자폐아’라는 단어를 나는 쓴 적이 없다. ‘사회적 자폐아’라는 용어가 의학적으로도 심리학적으로도 성립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자폐아는 선천적 장애 아동이다. 태어날 때에 이미 자폐아이다. 정상이었다가 사회적 영향으로 자폐아가 되는 일은 없다. 그 정도의 지식도 없이 글쟁이 노릇을 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적 자폐’는 혼밥을 사회적 현상으로 읽으려는 의도에서 한 말이다. 자폐는 단어 그대로 ‘자신을 스스로 가두는 일’이다. 즉 사회적 자폐란 ‘사회적 영향에 의한 자발적 고립’ 정도로 해석될 수 있는 말이다. 사람과의 관계가 거북하여 혼자서 밥을 먹겠다는 생각이 만들어진 까닭이 개개인의 기질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이 사회에 뭔가 문제가 있어 발생한 것이라는 의미에서 쓴 말이다.(산업화로 인한 전통적 가족 생활의 변화에 나는 주목하고 있다.)

‘사회적 폭력’이라는 말을 흔히 쓴다. 이 사회적 폭력에서의 폭력을 우리는 실제의 물리적 가격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 정도의 분별은 하고 살고, 또 그렇게 살아야 한다. ‘사회적 자폐’에서 자폐를 ‘자폐아’라고 바꾸어치는 것은 분별없는 짓이다. 미개한 짓이다.-
------------------------
발언이 적절한가 아닌가를 떠나서 일단 황교익의 의견을 요약하면, 질병으로써의 자폐를 의미한게 아니라, 단어 그대로 '스스로 (대인관계를) 닫는다'는 의미에서 사용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회적'을 강조하고, 또 '자폐아'가 아니라 '자폐'라고 말했음을 강조하더라고요.
벤젠 C6H6
네. 저도 언어적으로 그냥 비유임을 알고 있습니다. 황교익씨가 그렇게 못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하지만 사회가 '폭력'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과 '자폐'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이 다르고, 따라서 저로서는 그리 pc하지는 않은 용어 사용으로 보입니다. 되도록 앞으로 자주 보지 않았으면 하는 용어입니다.
Azurespace
오만과 편견.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95 문화/예술음악 표절여부 판정시 유사성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5 유리소년 17/08/12 5293 0
3194 문화/예술음악 추천 질문 7 벚문 17/08/12 3478 0
3191 문화/예술동양화에는 왜 실물을 그대로 묘사하는 화풍이 없었던 건가요? 6 빠른포기 17/08/12 6102 0
3182 문화/예술서양사람들은 왜 우산을 (잘) 안 쓰나요? 32 곰곰이 17/08/10 8805 0
3155 문화/예술삼촌들 도와주세요. 운전하면서 들을 90-00년대 노래... 15 쉬군 17/08/06 4610 0
3153 문화/예술노래 제목 좀 알려주세요 인디아나 존스 17/08/05 4347 0
3138 문화/예술[영화] 알파치노는 어떤 배우였나요?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8/01 6060 0
3108 문화/예술덩케르크 질문있어요 (약스포??) 8 다람쥐 17/07/26 6114 0
3104 문화/예술이 기타 연주의 원곡을 찾습니다. 유리소년 17/07/25 4323 0
3102 문화/예술사회적 자폐라는 말이 뭐죠? 9 벤젠 C6H6 17/07/24 4092 0
3095 문화/예술원서로 영어독해공부할 때 주의할 점이 있을지요...? 6 홍당무 17/07/22 4641 0
3086 문화/예술공중파 방송 자료 요청할 수 있나요? 8 벤젠 C6H6 17/07/21 4019 0
3080 문화/예술음역대가 알토 정도인 여성이 회식자리에서 부를 수 있는 노래를 추천해주세요. 15 Homo_Skeptic 17/07/19 6607 0
3078 문화/예술지디의 온라인 링크 usb를 음반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세요? 50 벤젠 C6H6 17/07/19 4826 0
3061 문화/예술. 2 [익명] 17/07/17 3027 0
3058 문화/예술신(?)을 소재로 하는 소설 만화 질문입니다. 4 초서 17/07/17 4566 0
3014 문화/예술이런 느낌의 샤프 없나요? 12 우분투 17/07/06 4457 0
3011 문화/예술외국 음악 스트리밍은 어떤게 좋나요? 16 Zel 17/07/04 5500 0
3003 문화/예술디지털 피아노? 키보드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4 기쁨평안 17/07/03 3437 0
2979 문화/예술한국에서 외국음악이 몰락한 이유가 뭔가요? 7 조홍 17/06/29 5285 0
2933 문화/예술부활 color 재발매 음반 2번cd 수록곡 중 1 우주견공 17/06/22 3533 0
2915 문화/예술재밌게 읽으신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여름 소나기 후 17/06/17 5083 1
2905 문화/예술프루스트의 책에 '일본 종이꽃 놀이'로 표현된 수공예품이 정말 있는지 궁금합니다. 6 Homo_Skeptic 17/06/15 5723 0
2897 문화/예술Agnus Dei라는 곡인데, 음정 좀 잡아주세요... 2 우분투 17/06/13 3524 0
2896 문화/예술볼 만한 로맨스 영화 추천 부탁드려요! 33 우분투 17/06/13 545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