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7/19 19:23:34
Name   벤젠 C6H6
Subject   지디의 온라인 링크 usb를 음반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세요?
http://pgr21.com/?b=1000&n=9525
옆동네의 위 유머게시판 글을 보고서 질문거리가 생각나서 질문드려요.

나무위키 참고
https://namu.wiki/w/G-DRAGON/%EC%82%AC%EA%B1%B4%20%EB%B0%8F%20%EB%85%BC%EB%9E%80#s-12

문체부에서도 지디의 '온라인으로 링크를 걸어서 다운을 받는 형식의 usb'를 음반이라고 인정할 수 없다고 했는데,

홍차넷 회원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이런 형태의 것을 음반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0


정의하기 나름이겠습니다만,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에서는 음반에 대해서 다음과 같아 정의하고 있습니다.

5. "음반"은 음(음성·음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유형물에 고정된 것(음을 디지털화한 것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다만, 음이 영상과 함께 고정된 것을 제외한다.

따라서 GD의 그 USB 는 저작권법상 음반이라 할 수 없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 입니다.
벤젠 C6H6
네.. 답변 고맙습니다. 정의가 그렇게 되는군요. usb 자체에 음원이 들어있고, 거기에 추가해서 또 그 음원에 관련한 어떤 데이터들을 업데이트받는 식으로 온라인으로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형태였으면 또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저는 참신한 시도라기보다 원가절감 내지는 꼼수라고 생각합니다. 신선하지도 않고 재미도 없고 퀄리티도 최악이고요.
벤젠 C6H6
음.. 뭔가 굉장히 성의가 없어보였어요. 저의 윗리플처럼 했으면 참신했다고 나름 할 수 있었을 것도 같은데..
마치 유명해지면 무얼 해도 예술이 된다, 이런 것 같은..
레지엔
안그래도 이걸로 글쓸까하다가 엎었는데... 사전적 정의로는 음반일수도 있고, 법적/행정적 정의에서는 음반이 아니고, 음악 소비자 사이에서의 '앨범'은 맞지만 '음반'인가는 아니다쪽으로 기웁니다. 근데 '새로운 미디어 형식을 인정하지 않는 보수반동적 비판'이라는 식의 yg의 해명이 엿같은거죠.
전 이건 본질적으로 '굿즈'라고 봅니다. 어차피 그 링크는 고정되지 않는 물건이고 걍 음원 받는 것과 같거든요. 음악적 본질이 거기에 담겨있다고 볼 순 없죠. 어떤 메시지는 확실히 있습니다만.
벤젠 C6H6
문체부의 정의는 법적 행정적 정의겠군요.
앨범과 음반이 이 경우에 불일치할 수 있겠습니다.

최근들어서야 알았는데, 나무위키에서 YG에 대해 굉장히 비판적이더군요. 하긴 제가 봐도 이런 언플을 많이 보면 질릴 것 같아요. 저는 연예계를 잘 몰라서 YG하면 자유로운 창의성 뛰어난 개성있는 이미지만 알았었는데. 그게 방종일줄이야..

굿즈를 만들 때 좀더 성의있게 만들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온라인 음원싸이트에서 음원 다운받는 것보다는 소장가치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레지엔
뭐 나무위키야 언제나 의견 쏠리면 돌이키기 힘든 성향을 가지지만, yg는 욕먹어도 싼 짓을 꽤 많이 하긴 했습니다. 특히 사건사고에 대한 변명은 한심하기 짝이 없어서 그 지점에서는 역대급입니다.
벤젠 C6H6
케이팝스타에서 모자 쓰고 나온 양현석씨 좋게 봤었는데 실망이에요..
돈버는 장사꾼은 특별한 선의도 악의도 없죠. 그냥 돈을 좇을 뿐.
벤젠 C6H6
좋은 마음씨를 가진 아저씨 같았는데.. 부천 출신 가수 이하이도 결국엔 제대로 서포트 안 해준 것 같고.. ㅠㅠ 그냥 장사꾼이네요.
벤젠 C6H6
그 와중에도 고객 만족을 포기못한..ㅋㅋㅋㅠㅠ
본질적으로 굿즈라는 말씀에 동의합니다.
굿즈로 팔거였으면 색깔좀 성의있게 칠하고 한정판에 넘버링까지 했으면 좀 더 비싸게 받아먹을 수 있었을텐데 말이죠 ㅎㅎㅎ
레지엔
단가 최적화를 해보니 저 정도 지점이지 않았을까 -> 의외로 지디 팬덤은 외부에서 과대평가하는 걸지도 모르겠다라는 생각도 들더군요.
그렇네요 ㅎ
Beer Inside
거기에서 GD의 천재성이 드러나는 것이지요. ㅋㅋㅋㅋ

그냥 빨간 USB 사서 레이져 각인을 하는 것이 원가도 절감되고 이쁘겠지만,

손으로 직접 빨간 매직으로 칠하는 것이 GD의 생각에서는 더 가치가 있게 보였을 겁니다.

그냥 깨끗한 캔버스화 구입하지 않고, 골든구스를 비싼 값에 구입하는 것 처럼
확실히 천재는 범인이 이해하기 힘든 존재군요.
Beer Inside
뭐.... 찟어진 청바지가 바늘로 꿔매야하는 것이 아니고,
얼룩진 청바지가 세탁을 해야하는 것이 아닌것으로 된지가 오래 되었는데....

USB라고 해서 색번짐, 탈색이 있으면 안된다고 하기 어렵죠.
뭐 나름의 의미가 있겠죠.

저같은 업에 찌들어서 이해력이 모자란 사람 눈으로는 QC불량 내지는 고객 기만으로 보일 뿐이라.
벤젠 C6H6
공학도인 저로서도 역시.. 저건 고객 기만입니다.
졸려졸려
저는 음반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분명한 앨범이며 새로운 미디어 형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알고 했던, 본인의 예술적 감성으로 찾아냈던 상관없이 현대 컨텐츠 네트워크의 본질을 관통하는 훌륭한 작업물이며
반드시 나중에 재평가 받아야 할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뒤샹의 샘 같이요.

음반에서 중요한건 음악을 만드는거지 CD를 만드는게 아니죠.
포장의 태반과 번짐에 대한 미학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Beer Inside
저도 뒤샹의 샘같다고 봅니다.

그런데 뒤샹의 샘이 나온지 너무 오래됬다는 것이....
졸려졸려
이야기 하는 주제가 다르니까요 ㅎㅎ
클라우드와 네트워크가 연계되어서 컨텐츠가 지금처럼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상황이 된지는 아직 10년도 되지 않았습니다.
CDN/CCN 전공자로써 어줍잖게 할 이야기는 많지만... 여튼 천재적인 작업물이라고 생각합니다.
벤젠 C6H6
뒤샹은 처음 한 시도라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지디의 것은 전세계적으로 처음이 아닙니다.

음원은 그냥 음원싸이트에서 다운받으면 되지 않나요? 퀄리티도 제 개인적으로는 나쁘다고 생각해요.
레지엔
새로운 형식이라고 보긴 좀 어렵습니다. 동일하거나 비슷한 유형이 많아서요. 음반과 상관없는 물건에 음원 링크 주소 박아서 준 것도, USB를 앨범으로 발매한 것도, 아날로그적 요소를 의도적으로 지운 것도 이미 다 해본거라...
졸려졸려
제가 그러한 형식을 처음 접해서 충격 받았을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여전히 훌륭한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처음 한 시도만 중요한것도 아니고, 이 정도 이슈를 불러일으켰다는것도 좋게 평가할만한 부분입니다.
아티스트죠 ㅎㅎ
레지엔
뭐 훌륭하다고 평할 지점도 있습니다. CD 등장때 이미 예견된 '음악을 본질적으로 담고 있는 그릇은 무엇인가'라는 논쟁에 한 해답이 되긴 하니까요. 문제는 선두자가 못 될 거면 퀄리티가 좀 좋았어야 했는데 그 점이 좀 아쉽고, 제일 큰 건 yg가 개소리를 한다는 것...
졸려졸려
네. 컨텐츠의 본질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죠.
게다가 CD시절과 달리 클라우드와 네트워크, 전세계에 뿌려져있는 캐시와 P2P... 등으로 현재의 컨텐츠는 정말 본질이 뭔지
가늠하기 힘들정도로 복잡해졌거든요. 고정물이나 고정된 파일이 과연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도 있을테고...
전달 매체 역시도 10년전에 이야기 하던 3 Screen 같은건 이미 그냥 아무나 당연히 되는것이 되어 버렸구요. ㅎㅎ

그런데 아티스트/아트라고 생각하는 이상, 제품의 퀄리티도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수작업이라서 더 좋죠. :)
제가 GD 팬이 아니어서 아쉽지만, 제가 팬인 가수가 이런걸 냈으면 2개는 샀을것 같습니다.
레지엔
대중음악은 기본적으로 매스티지 산업이라서... 퀄리티가 좀 문제가 됩니다. 악화가 심하게 빨리 퍼지거든요. 저런 퀄리티로 계속 내면 아티스트 본인의 팬덤도 붕괴되고, 그게 아니더라도 저런 퀄리티가 기준점이 되어버리면 딱히 지디 팬덤이 아닌 쪽에서도 굉장히 강한 공격이 들어갑니다. 서태지로 인해서 등장한 양산형 댄스 아이돌때문에 아직도 서태지가 욕을 먹고 음악적 비판의 한 축이 되어있듯말이죠.
벤젠 C6H6
퀄리티가 떨어져도 수작업이면 좋다는 것에 이해가 안 갑니다. 공장이 찍어내도 퀄리티가 우수하면 그만 아닐까요.

콘텐츠의 본질에 대한 질문은 mp3파일의 등장 때부터 이미 제기되었던 것 같은데요.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어요.
졸려졸려
위의 Beer Inside님이 답변을 다 해주신것 같아서 가져옵니다.
"그냥 빨간 USB 사서 레이져 각인을 하는 것이 원가도 절감되고 이쁘겠지만,
손으로 직접 빨간 매직으로 칠하는 것이 GD의 생각에서는 더 가치가 있게 보였을 겁니다.
그냥 깨끗한 캔버스화 구입하지 않고, 골든구스를 비싼 값에 구입하는 것 처럼
찟어진 청바지가 바늘로 꿔매야하는 것이 아니고,
얼룩진 청바지가 세탁을 해야하는 것이 아닌것으로 된지가 오래 되었는데.... "

mp3는 디지털로서 유형의 객체가 있었는데 링크는 그것조차 없으니까요 :)
벤젠 C6H6
취향에 따라서 그런 핸드메이드가 더 가치가 있을 수 있겠군요.

링크는.. 본질적으로 온라인 음원 싸이트 스트리밍과 다를 게 없지 않나요?
졸려졸려
아... 그리고 사실 음반에서 진짜 퀄리티는 "음악"의 퀄리티이지 USB의 색상 퀼리티겠습니까. ㅎㅎ
그리고 링크와 온라인 음원 싸이트 스트리밍은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주체가 다른것만 으로도 여러가지 차이가 있지만 YG측에서는 추후 컨텐츠도 다르게 한다고 했었죠.

사실 아까부터 제 머리속에 맴도는건,
사실 그 USB안에는 각기 다른 개인화 번호가 숨어있고
그 개인화 번호를 통해 해당 소비자의 행동패턴을 인지해
스타가 개별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단순 BROADCAST하는 팬과 스타의 관계가 아니라 그 이상의 인터랙션을 주는 새로운 방식의 관계가 될수도 있지 않을까 하구요 ㅋ
벤젠 C6H6
네.. 그런데

음악만 따지자면 음원싸이트에서 음원 다운받으면 그만이니

굿즈 자체로도 매력이 있어야 하고

그래서 굿즈의 참신함과 퀄리티에서 저는 좋게 보지 않지만 졸려졸려님께서는 좋게 보시는 것이고..




졸려졸려님 리플의 두번째 문단 같은 성격이면 저는 매우 극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졸려졸려
음원사이트와의 차이점이라면 공간의 소유권이 다르다는 점을 우선 들 수 있겠네요.
흔해빠진 백화점 샤넬 매장에서 사는 샤넬 지갑과, 흰색 종이백에 담긴 샤넬 지갑은 전혀 다른 느낌일 수 있거든요.

그리고 이것역시 상상의 나래를 펴보자면,
이제는 음악 파일 하나만 파는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서비스 경험 자체를 팔 수도 있는거거든요. 좀 과격하게 말하자면
링크에 GD 이번 앨범을 올려놨다가... 어느날 갑자기 '이건 다 쓰레기야!' 다 뻘짓이니까
너희들은 '거짓말 100회 무한반복'이나 들어!! 라고 하면서 모든 음악을 다... 더 보기
음원사이트와의 차이점이라면 공간의 소유권이 다르다는 점을 우선 들 수 있겠네요.
흔해빠진 백화점 샤넬 매장에서 사는 샤넬 지갑과, 흰색 종이백에 담긴 샤넬 지갑은 전혀 다른 느낌일 수 있거든요.

그리고 이것역시 상상의 나래를 펴보자면,
이제는 음악 파일 하나만 파는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서비스 경험 자체를 팔 수도 있는거거든요. 좀 과격하게 말하자면
링크에 GD 이번 앨범을 올려놨다가... 어느날 갑자기 '이건 다 쓰레기야!' 다 뻘짓이니까
너희들은 '거짓말 100회 무한반복'이나 들어!! 라고 하면서 모든 음악을 다 지우고 거짓말X100 같은 음악을 올릴수도 있죠.
이렇게 변화하는 경험을 아티스트로서 공유할 수도 있는거죠 ㅋ

좀 너무 나가긴 했네요. ㅎㅎ 선행연구를 10년정도 하면 이정도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습니다 ㄷㄷㄷㄷ
벤젠 C6H6
졸려졸려 님// 그렇군요.

현대 회화 작품이 어디에 놓여있는지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른 것처럼..

고객과 V앱과는 다른 또다른 인터랙션의 경험을 줄 수 있겠군요.

충분히 의미가 있네요. ㄷㄷ
레지엔
콘텐츠의 본질은 이게 음악 역사랑 맞물리는데... 원래 음악은 쌩라이브와 악보뿐이었죠. 축음기가 등장하면서 처음으로 '음악'이 '소유'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납니다. 이게 테이프나 비닐레코드로 이어지고, CD 시대에 가면서는 음악이 '온전하게 복제'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나죠(그 전의 음원은 카피가 열화카피고 체감이 가능했거든요). 소유될 수 있는 음악이 복제될 수 있다면 음악의 '오리지널리티'는 어디에 있느냐는 의문이 생겨나고, 그 결과물이 지적재산권 제도에 반영됩니다. mp3 시대에 가면 본질과는 거리가 있을지언정 불가분의 ... 더 보기
콘텐츠의 본질은 이게 음악 역사랑 맞물리는데... 원래 음악은 쌩라이브와 악보뿐이었죠. 축음기가 등장하면서 처음으로 '음악'이 '소유'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납니다. 이게 테이프나 비닐레코드로 이어지고, CD 시대에 가면서는 음악이 '온전하게 복제'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나죠(그 전의 음원은 카피가 열화카피고 체감이 가능했거든요). 소유될 수 있는 음악이 복제될 수 있다면 음악의 '오리지널리티'는 어디에 있느냐는 의문이 생겨나고, 그 결과물이 지적재산권 제도에 반영됩니다. mp3 시대에 가면 본질과는 거리가 있을지언정 불가분의 관계에 있던 물리적 매체조차 소실됩니다. 스트리밍 시대에 가면 '소유'는 사라지고 '렌트' 혹은 '인스턴트적 소비'재가 되죠. 그렇다면 우리가 느껴야할 아티스트의 의지, 천재성, 독창성, 개성, 음악성, 예술성, 무언가 '감성적'이면서도 '실재해야 할 것 같은' 커뮤니케이션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뭐 이런 얘기로 이어집니다. 그 지점에서 지디를 포함해서 링크를 판매수단/공급수단으로 대체한 사람들의 답은 '어떻게든 듣기만 하면 돼 나머진 오빠가 만들어줄게'라는 강력한 스왝이라는 것이죠. 그리고 이건 음악산업의 측면에서도 꽤 의미있는 답인데, 음악의 소유가 가능해진 시점부터 음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돈을 지불하고 무엇을 어떻게 받아야 하는가라는 논쟁이 계속 있었고, 이에 대해서 지디가 제시한 것은 금전과 음악'감상'을 트레이드할 수 있는 직설적인 방식입니다.
벤젠 C6H6
'어떻게든 듣기만 하면 돼 나머진 오빠가 만들어줄게'가 이해가 안 갑니다. 스트리밍도 금전과 음악감상을 트레이드하는 것 아닌가요?
레지엔
이 방식보다 덜 직설적이죠 스트리밍은. 좀 더 들어가면 생산자와 소비자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단계를 얼마나 줄이느냐의 측면에서 예술의 측면에서건 산업의 측면에서건 차이가 좀 있습니다.
벤젠 C6H6
레지엔 님// 음.. 그것이 그렇긴 한데, 이게 엄청난 예술적/사회문화적 의의를 갖나요? 그냥 스트리밍+USB의 물리적 결합 같아요.. 저렇게 많이 안 하는 이유는 그냥 저렇게 하면 안 좋기 때문 같은데요..

+ 아, 유통 과정에서 차이가 있겠네요. 그럼 이건 예술적 가치라기보다는 경제구조상의 가치가 있군요.
레지엔
벤젠 C6H6 님// 엄청난 파급력이나 의의를 가지기엔 선구자들이 있어서 안되고요. 엄밀히 따지면 이건 물리적 결합이라고 부르기도 힘듭니다. 일단 저 권한을 획득하면 USB가 없어도 음원 감상에 문제가 없고, 그 점에서 제가 이 상품의 본질을 '굿즈'라고 한거지요. 이게 의미를 가지는 지점은 위에도 설명한 음악과 음원의 역사가 있기에 기능하는 것이고, 소비적 측면에서는 획기적일게 없습니다. 음악가가 음악가 본인의 역량으로 '상시' 본인의 음악을 감상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의 의의를 가지죠. 참고로 스트리밍 사이트는 '음악가 ... 더 보기
벤젠 C6H6 님// 엄청난 파급력이나 의의를 가지기엔 선구자들이 있어서 안되고요. 엄밀히 따지면 이건 물리적 결합이라고 부르기도 힘듭니다. 일단 저 권한을 획득하면 USB가 없어도 음원 감상에 문제가 없고, 그 점에서 제가 이 상품의 본질을 '굿즈'라고 한거지요. 이게 의미를 가지는 지점은 위에도 설명한 음악과 음원의 역사가 있기에 기능하는 것이고, 소비적 측면에서는 획기적일게 없습니다. 음악가가 음악가 본인의 역량으로 '상시' 본인의 음악을 감상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의 의의를 가지죠. 참고로 스트리밍 사이트는 '음악가 본인의 역량으로'에서 상당부분이 훼손됩니다. 음악가는 음원 정보만을 제공하고 스트리밍 사이트가 유통의 퀄리티를 책임지니까요.
저렇게 많이 안하는건 저렇게 하면 안 좋기 때문이다도 맞습니다. 그러나 '어떤 관점에서' 안좋은지를 따져봐야지요. 보통 안하는 이유는 경제적 관점에서 안 좋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미학적으로 좋지 못해서 안하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미학적으로 더 좋은 방식도 있습니다. 아예 처음부터 본인이 개설한 웹서버를 통해서 제공하는 방식이 있죠. 라디오헤드나 빌리 코건이 했던 방식입니다. 지디의 이 방식이 유효한 것은 저들처럼 유통단계를 건너뛴 제공방식을 사용했으면서+대다수의 아티스트와 차별될만한 굿즈를 만들었고+이걸 사줄 팬덤이 존재했다는 점이 동시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벤젠 C6H6
레지엔 님// 굿즈니까 음원과 애초에 '결합'할 필요도 없군요.제가 음원유통 과정에 대해 무심했는데 이것이 음악의 주권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사항 같네요. 지디 팬덤도 이를 실현하는 데에 역할을 했고요.

답변 정말 고맙습니다. :)
벤젠 C6H6
지디 안티 아닙니다 ㅠㅠ
단지 예술의 의의라든지 여러 제 관심사에 관련되어있어서 그래요.
형식의 차이만 있을 뿐 음반이고
예술적 독창성은 현저히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벤젠 C6H6
시대가 흘러가면 음반의 형식적 정의도 더 포괄적이고 광범위해질 것이라고 생각해요. 예술성은 제 개인적인 취향상 저도 높게 봐주기는 힘들지 않나 싶어요.
소노다 우미
여기에 대해서는 나무위키에서는 GD가 아니라 일본 음반시장에 대한 글들을 읽다보니 뭔가 느끼는게 있더라고요.
그래서 일단 이건 음반이 아닙니다.
벤젠 C6H6
일본 음반시장의 어떤 점이,
gd의 이 usb의 음반 여부에 관련되었나요?
소노다 우미
https://namu.wiki/w/EXILE#s-5
이걸 보시면...
벤젠 C6H6
상술이 심각하네요.
소노다 우미
결국 CD기반이 아니면 음반은 아니라는거죠 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19 문화/예술하늘 사진 잘 찍는법 2 별빛 17/08/17 3785 0
3195 문화/예술음악 표절여부 판정시 유사성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5 유리소년 17/08/12 5298 0
3194 문화/예술음악 추천 질문 7 벚문 17/08/12 3480 0
3191 문화/예술동양화에는 왜 실물을 그대로 묘사하는 화풍이 없었던 건가요? 6 빠른포기 17/08/12 6104 0
3182 문화/예술서양사람들은 왜 우산을 (잘) 안 쓰나요? 32 곰곰이 17/08/10 8812 0
3155 문화/예술삼촌들 도와주세요. 운전하면서 들을 90-00년대 노래... 15 쉬군 17/08/06 4613 0
3153 문화/예술노래 제목 좀 알려주세요 인디아나 존스 17/08/05 4348 0
3138 문화/예술[영화] 알파치노는 어떤 배우였나요?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8/01 6067 0
3108 문화/예술덩케르크 질문있어요 (약스포??) 8 다람쥐 17/07/26 6116 0
3104 문화/예술이 기타 연주의 원곡을 찾습니다. 유리소년 17/07/25 4332 0
3102 문화/예술사회적 자폐라는 말이 뭐죠? 9 벤젠 C6H6 17/07/24 4098 0
3095 문화/예술원서로 영어독해공부할 때 주의할 점이 있을지요...? 6 홍당무 17/07/22 4646 0
3086 문화/예술공중파 방송 자료 요청할 수 있나요? 8 벤젠 C6H6 17/07/21 4022 0
3080 문화/예술음역대가 알토 정도인 여성이 회식자리에서 부를 수 있는 노래를 추천해주세요. 15 Homo_Skeptic 17/07/19 6614 0
3078 문화/예술지디의 온라인 링크 usb를 음반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세요? 50 벤젠 C6H6 17/07/19 4831 0
3061 문화/예술. 2 [익명] 17/07/17 3033 0
3058 문화/예술신(?)을 소재로 하는 소설 만화 질문입니다. 4 초서 17/07/17 4570 0
3014 문화/예술이런 느낌의 샤프 없나요? 12 우분투 17/07/06 4463 0
3011 문화/예술외국 음악 스트리밍은 어떤게 좋나요? 16 Zel 17/07/04 5504 0
3003 문화/예술디지털 피아노? 키보드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4 기쁨평안 17/07/03 3440 0
2979 문화/예술한국에서 외국음악이 몰락한 이유가 뭔가요? 7 조홍 17/06/29 5290 0
2933 문화/예술부활 color 재발매 음반 2번cd 수록곡 중 1 우주견공 17/06/22 3537 0
2915 문화/예술재밌게 읽으신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여름 소나기 후 17/06/17 5088 1
2905 문화/예술프루스트의 책에 '일본 종이꽃 놀이'로 표현된 수공예품이 정말 있는지 궁금합니다. 6 Homo_Skeptic 17/06/15 5725 0
2897 문화/예술Agnus Dei라는 곡인데, 음정 좀 잡아주세요... 2 우분투 17/06/13 353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