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7/08/01 19:45:13
Name   매일이수수께끼상자
Subject   [영화] 알파치노는 어떤 배우였나요?
안녕하세요
얼마전 토요일밤의 열기라는 영화를 봤는데요
네, 그 오래된 태고적 영화 그거 맞습니다.

거기에서 알파치노가 당대 배우의 대명사인 것처럼 언급되는 장면이 나옵니다.
저는 알파치노 영화 기억나는게 대부 / 히트 / 여인의 향기.. 정도인데
대부는 하도 옛날에 봐서 사실 알파치노가 어떤 역이었는지 기억도 나지 않고..
히트/여인의 향기에서 알파치노는 이미 중년의 아저씨 배우셨던지라...

토요일 밤의 열기에서 알파치노의 완존 젊은 모습의 포스터를 보고 깜놀했어요.
젊었을 때부터 미남배우 이미지셨던건가? 미남의 대명사 알랑들롱과 비교했을 때 어떤 위치에 있었을까?
잘 생기면 연기력 없는 거 아닌가? ... 등등 많은 궁금증이 들더군요.

검색해보면 알 수 있는 바이오나 필모, 이런 게 궁금한 게 아니라
알파치노의 전성기에 알파치노란 이름이 가지고 있던 무게감이나 영향력이 궁금합니다. ㅎㅎ

이 아저씨, 어떤 배우셨나요? 예를 들어 로버트 드 니로와 비견될만한 배우인가요?



0


레지엔
솔직히 저도 나이가 어려서 전성기 때 그대로 즐긴 게 아니긴 한데... 일단 영화배우로의 전성기는 오히려 중년 시절이었습니다. 물론 잘생긴 배우긴 하지만 미남 배우 사이에 놓으면 상당히 초라해보이는 외모고(얼굴이 너무 라틴계 느낌나고 덩치가 작고 그런다고 조각류도 아니라서) 소위 '뭘 좀 아는 누나'들에게 어필하는 배우였습니다 젊은 시절에는. 알 파치노의 무명 시절 캐스팅 일화 상당수가 인지도 없고 외모 구리다고 까일 판에 어디선가 나타난 언니가 '섹시한데 캐스팅하지?'로 서포트해줘서 됐다... 일 정도로.
이름값으로 치면 90... 더 보기
솔직히 저도 나이가 어려서 전성기 때 그대로 즐긴 게 아니긴 한데... 일단 영화배우로의 전성기는 오히려 중년 시절이었습니다. 물론 잘생긴 배우긴 하지만 미남 배우 사이에 놓으면 상당히 초라해보이는 외모고(얼굴이 너무 라틴계 느낌나고 덩치가 작고 그런다고 조각류도 아니라서) 소위 '뭘 좀 아는 누나'들에게 어필하는 배우였습니다 젊은 시절에는. 알 파치노의 무명 시절 캐스팅 일화 상당수가 인지도 없고 외모 구리다고 까일 판에 어디선가 나타난 언니가 '섹시한데 캐스팅하지?'로 서포트해줘서 됐다... 일 정도로.
이름값으로 치면 90년대가 절정이었는데, 매년 어디선가 무슨 기준인지 모르게 발표되는 '역대 배우 랭킹', '우리 시대 최고의 배우 랭킹'에서 상위권을 자주 차지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로버트 드 니로의 평이 더 좋긴 하지만 알 파치노가 1위를 했던 적도 꽤 있을 정도. 90년대 후반인가에 데블스 애드버킷이라는 망작을 하나 찍었는데 알 파치노 이름값으로 투자금액은 꽤 높게 땡길 수 있었고 평도 알 파치노 열일한다... 뭐 그랬죠. 영화는 손익분기 좀 넘은 수준이었을텐데. 아무튼 지금 한국 영화에서 최민식이나 송강호의 이름값 정도는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첫 문장이 뭔가 읍읍......아 아닙니다
아하스페르츠
망작이라기엔 알파치노 키아누리브스 샤를리즈테론...샤를리즈테론....샤를...
레지엔
그 땐 몰랐어요... 이 영화에 이런 가치가 있었다는 것을...
매일이수수께끼상자
당대가 고스란히 느껴지는 설명 고맙습니다, 삼촌..
레지엔
왜 때문이죠... 제가 더 어릴 수도 있는데...
데블스는 딱 한장면 기억나네요
데빌스 어드버킷은 개무리수 설정 때문에 개망작될 뻔한 거 알파치노가 겨우 영화답게 만들었다고 봅니다. 애니 기븐 선데이도 비슷한 케이스라고 보고;
구밀복검
연극부터 시작해서 60년대 후반에 영화판으로 입문했고, 독립 영화 몇 개 찍으면서 포텐 있다는 평판 듣다가 <대부>의 주인공으로 대박치면서 70년대를 대표하는 신예 연기파 배우로 대접받게 되죠. 60-70년대가 할리우드 트렌드가 급격하게 바뀐 때인데, 그 변화를 대표하는 배우 중 한 명입니다. 이후 73년 <스캐크로우>, 74년 <대부2>, 75년 <뜨거운 오후>까지는 승승장구였죠. 실제로 75년에는 극장주들이 꼽은 배우 상품가치 순위에서 당대 최고 스타였던 로버트 레드포드와 바브라 스트라... 더 보기
연극부터 시작해서 60년대 후반에 영화판으로 입문했고, 독립 영화 몇 개 찍으면서 포텐 있다는 평판 듣다가 <대부>의 주인공으로 대박치면서 70년대를 대표하는 신예 연기파 배우로 대접받게 되죠. 60-70년대가 할리우드 트렌드가 급격하게 바뀐 때인데, 그 변화를 대표하는 배우 중 한 명입니다. 이후 73년 <스캐크로우>, 74년 <대부2>, 75년 <뜨거운 오후>까지는 승승장구였죠. 실제로 75년에는 극장주들이 꼽은 배우 상품가치 순위에서 당대 최고 스타였던 로버트 레드포드와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 뒤이어 3위를 차지합니다. 다만 이 이후에는 망한 건 아니었지만 힘이 많이 떨어졌죠. <스카페이스> 정도 말고는 높게 평가 받는 작품도 별로 없고. 그러다가 90년대 되어서 <여인의 향기>, <칼리토> 등을 찍으며 반등에 성공하고요.

로버트 드 니로와 연배도 데뷔 시기도 전성기도 비슷하고 특히나 양자가 <대부2>의 투탑이었기 때문에 자주 비교되곤 합니다. 이를 노골적으로 활용한 것이 마이클 만의 <히트>죠. 로버트 드 니로와 알 파치노가 각기 범죄자와 형사 역할을 맡아 전성기가 지나고 권태롭게 살아가는 퇴물들의 동병상련 서사를 연기하는 작품이었죠.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스카페이스도 본 거 같은데.. 기억이.... 대부2도 기억이... ㅜㅜ
로버트 드니로가 대부에 나온다니 ㅡㅡ;; 와우;; 대부 2 다시 보러 갑니다.
보다 잔 게 분명합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히트는 정말 마지막 줄 표현이 예술적으로 표현된 작품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한 5번은 본듯...
Erzenico
가장 많이 비교되는 라이벌이 역시 로버트 드 니로인데, 로버트 드 니로가 메소드 연기의 대명사로 여겨지고 있지만 알 파치노 역시 메소드 연기가 주된 연기 스타일이었지만 개인의 카리스마로 캐릭터를 자기에 맞게 소화해서 연기하는 경향이 드 니로에 비하면 더 있었다 라고 차이를 말할 수 있겠네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전 그냥 히트의 인상이 강해서 로버트 드 니로와 비교될려나 싶었는데... 둘이 실제로 자주 비교되는군요.
카리스마는 확실히 알파치노가 더 강해보이긴 합니다.
다람쥐
대부를 다시 보시면 확 와닿으실거에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네, 그래야 될듯하네요. ㅋㅋ 어쩜 이렇게 다 삭제됐는지...
드니로와 비교해서 보통 약간 밀리거나 후하게 치면 동급으로 둡니다. 영화사에서 단일 배우로 가장 고평가 받는 건 말론 브란도일 것 같은데 그 바로 아래 레벨에 들어가죠. 자주 언급되는 탑 쓰리가 말론, 드니로, 알 파치노인데 1은 말론 고정이고 2,3위는 개인차가 생길 수 있는 정도. 이 셋에 비빌정도로 자주 언급되는 배우라면 잭 니콜슨 정도이고 요새 활동하는 배우로는 아마 유일하게 데니얼 데이 루이스가 비벼질 겁니다. 아직 당대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것도 대단한; 그리고 대부의 콜레오네와 스카페이스의 토니 몬타나는 서구권에서 매우 아이코닉한 캐릭터들이라 이름값이 높을 수 밖에 없죠.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저야 영화 견문이 워낙 짧아서 드니로 짱짱맨.. 인 입장인데 알파치노가 그 동급이시라니!!
데니얼 데이루이스는 누군지 몰라서 함 찾아보러 갑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느낌으론 로버트드니로가 안성기, 알파치노가 최민식 느낌였는데 여튼 특정 부분에서의 연기는 최고로 치는게 아마 대부 영향이겠죠
매일이수수께끼상자
크... 전 최민식 더 좋아하는데 ㅋㅋㅋㅋ
대부를 다시 봐야겠어요 ㅎㅎ 도통 기억이 안나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95 문화/예술음악 표절여부 판정시 유사성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5 유리소년 17/08/12 5293 0
3194 문화/예술음악 추천 질문 7 벚문 17/08/12 3478 0
3191 문화/예술동양화에는 왜 실물을 그대로 묘사하는 화풍이 없었던 건가요? 6 빠른포기 17/08/12 6102 0
3182 문화/예술서양사람들은 왜 우산을 (잘) 안 쓰나요? 32 곰곰이 17/08/10 8805 0
3155 문화/예술삼촌들 도와주세요. 운전하면서 들을 90-00년대 노래... 15 쉬군 17/08/06 4610 0
3153 문화/예술노래 제목 좀 알려주세요 인디아나 존스 17/08/05 4347 0
3138 문화/예술[영화] 알파치노는 어떤 배우였나요?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8/01 6060 0
3108 문화/예술덩케르크 질문있어요 (약스포??) 8 다람쥐 17/07/26 6114 0
3104 문화/예술이 기타 연주의 원곡을 찾습니다. 유리소년 17/07/25 4323 0
3102 문화/예술사회적 자폐라는 말이 뭐죠? 9 벤젠 C6H6 17/07/24 4093 0
3095 문화/예술원서로 영어독해공부할 때 주의할 점이 있을지요...? 6 홍당무 17/07/22 4641 0
3086 문화/예술공중파 방송 자료 요청할 수 있나요? 8 벤젠 C6H6 17/07/21 4019 0
3080 문화/예술음역대가 알토 정도인 여성이 회식자리에서 부를 수 있는 노래를 추천해주세요. 15 Homo_Skeptic 17/07/19 6607 0
3078 문화/예술지디의 온라인 링크 usb를 음반으로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세요? 50 벤젠 C6H6 17/07/19 4826 0
3061 문화/예술. 2 [익명] 17/07/17 3027 0
3058 문화/예술신(?)을 소재로 하는 소설 만화 질문입니다. 4 초서 17/07/17 4566 0
3014 문화/예술이런 느낌의 샤프 없나요? 12 우분투 17/07/06 4457 0
3011 문화/예술외국 음악 스트리밍은 어떤게 좋나요? 16 Zel 17/07/04 5500 0
3003 문화/예술디지털 피아노? 키보드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4 기쁨평안 17/07/03 3437 0
2979 문화/예술한국에서 외국음악이 몰락한 이유가 뭔가요? 7 조홍 17/06/29 5285 0
2933 문화/예술부활 color 재발매 음반 2번cd 수록곡 중 1 우주견공 17/06/22 3533 0
2915 문화/예술재밌게 읽으신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여름 소나기 후 17/06/17 5083 1
2905 문화/예술프루스트의 책에 '일본 종이꽃 놀이'로 표현된 수공예품이 정말 있는지 궁금합니다. 6 Homo_Skeptic 17/06/15 5723 0
2897 문화/예술Agnus Dei라는 곡인데, 음정 좀 잡아주세요... 2 우분투 17/06/13 3524 0
2896 문화/예술볼 만한 로맨스 영화 추천 부탁드려요! 33 우분투 17/06/13 545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