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10/15 12:31:37
Name   벤쟈민
File #1   CntHBmRUMAACPm8.jpg (179.3 KB), Download : 7
File #2   e70f1933997e387b784718b73cc7c4c76d52dcecbafcfaebe81a30f90edfe0673758ce8b67a8d0c0cfcfc7c4d190a8e1387ed1c789bd8bc15ef635ac0c3d656a80d79855169153cab51a959900fb1e5d.jpg (74.9 KB), Download : 4
Subject   선조 몽진과 이승만 빤스런이 뭐가 다르죠?




선조 이야기가 나왔길래 생각나서.. 선조가 임진왜란에서 빤스런한 것과 이승만이 6.25전쟁에서 빤스런한 것이 질적으로 뭐가 다를까요? 선조를 긍정하자면 이승만도 긍정해야 하는것인가..하는 머릿속 대혼란이 있습니다.



0


레지엔
왕과 신민으로 구성된 왕조국가와 선출직과 시민으로 구성된 민주국가의 차이가 있죠. 전략적으로 왕 잡히면 뭐 된다는 점에서 둘다 튈만해서 튄 것인데, 안 튄다고 기만해서 좀 더 안전하게 튀었다는 점에서 왕조국가는 합리화를 해볼 수 있지만(그나마도 그 당대에도 잘 안되니 불지른 거고) 민주국가는 여지가 별로 없습니다. 전쟁과 군대는 애초에 비민주적이다라는 얘기밖에.
벤쟈민
민주국가도 국가수장이 전쟁 중에 잡히면 엄청난 혼란이 있지 않을까요.
레지엔
그게 민주주의 밖에서 합리화되는 거지요. '전쟁은 애초에 비민주적이다'. 서울 사수 기만행위는 시민과 대통령 본인의 전략적 가치가 다르다는 것을 공공연하게 주장하는 것이고 기만행위는 그 가치가 더 높은 사람을 위해서 낮은 사람을 희생시킬 수 있다는 정치적 행위니까 문제가 됩니다. 여기에 이승만 본인이 북진 통일이니, 점심은 평양가서 먹고 저녁은 신의주가서 먹는다느니 개드립을 쳐대다가 저러고 튄거라 상황 파악에도 문제가 있었다는 의미도 있고요. 하다못해 전쟁 이기고 나서 자진하야하면서 전근대식으로 윗옷벗고 장작 등에 매고 광장에 나가서 내가 죄인이요 하고 맞아죽었으면 무능력한거지 노양심한건 아니다까지는 평가가 올라갔을겁니다.
벤쟈민
음.. 그렇군요. 민주주의 국가에서 그냥 튄 게 아니고 '국민을 기만하고' 튀었죠. 그 후에도 부정선거니 뭐니 좋지 않은 모습만 보였으니 노답..
기쁨평안
그런데, 도망가지 않았으면, 거기서 전쟁은 끝난게 아니었을런지요?
그런 부분은 또 아리송하기는 합니다.
레지엔
안가고 잡혀도 등신이지요. 그러니까 '상대적으로 안전할 때 미리 미리 튀'거나, '애초에 튈 일이 없는 전략수립'을 하거나, 하다못해 시민을 몸빵으로 세우는 '기만행위'라도 안했어야 합니다. 그리고 전쟁 끝나고 시민에게 자신의 신변을 넘기는 사죄행위는 필수고.
1
벤쟈민
그런데 막상 전쟁이 터진 그 시점에 저렇게 기만행위하고 시민을 꼭 몸빵으로 삼았어야만 이승만이 도망칠 수 있었을까요? 그냥 솔직하게 말하고 도망칠 수는 없었을까요?
1
레지엔
솔직하게 말하면 인간의 특성상 내가 먼저 튀어야 한다는 사람으로 꽉 차서 교통에 문제가 생겼을 것이며 폭동 등으로 치안이 나빠져서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을 겁니다. 그러나 서울을 벗어난 시점에서 대통령도 피난간다는 걸 방송할 수도 있었고, 최소 주둔군으로 시민의 피난을 안전하게 하려는 제스쳐 정도도 요구해볼 수 있는 영역입니다. 이승만의 피난에 대해서 여러 합리화 시도가 있는데 결국 까일 수 밖에 없는게 디테일로 가건 원칙으로 가건 오류가 너무 많아요.
1
벤쟈민
그러게요.. 왜 서울을 벗어난 시점에서도 기만을 했었을까 모르겠네요.. 모르겠으니 그냥 이승만을 까야겠군요 -.-;;
April_fool
런승만은 자기는 튀는 주제에 남들은 못 튀게 한강철교를 폭파시켜서 다리 위의 사람들을 몰살시키고 한강 이북 사람들의 발을 묶은 죄가 있지요. 이미 튄 상태에서 자기는 마치 서울을 사수할 것처럼 교묘한 라디오 방송을 내보내는 훼이크짓거리도 벌였고요. 덤으로 군사적 깜냥이 안 되는 주제에 이북에 대한 공세를 주장하는 강경발언을 쏟아내어 미국이 군사물자 지원에서 강력한 무기를 의도적으로 제외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전쟁 초기 북한의 T-34 전차에 속절없이 밀릴 수밖에 없었던 환경을 조성하는 데 일조하기도 하였습니다.
2
벤쟈민
이렇게 보니 선조에게 미안하네요. 선조는 의심병은 많았지만 최소한 능력은 꽤 되는 사람이었는데 이승만은..
사나남편
승만이는 왕이 아니에요..
벤쟈민
역시 시대 보정을 해야..
메존일각
왕처럼 굴긴 했죠. 낄낄
1
사나남편
그러니깐 더 쓰래기죠.
1
요새는 임란 초기에 조선이 개털린 게 '무능해서'가 아니라 '준비해도 막을 수 없던 상황'이었던 걸로 어느 정도 재평가가 된 상태인지라 거기서도 차이가 납니다. 윗 댓글처럼 6.25 이전 런승만의 대북정책은 국군의 전력에 악영향을 줬거든요.
벤쟈민
그런가요.. 저는 임란 전에 침략할 왜군의 규모를 잘못 파악(몇십만 대군이 아니라 몇만 정도로 착각)해서 전쟁 준비를 하긴 했는데 잘못 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선조 정도면 조선 평균 이상의 군주라 너무 과한 바람을 한 것일수도 있어요.
사랑하는홍차에게
선조를 굳이 긍정해야 하는가도 딱히...
벤쟈민
평균적인 조선 군주 이상의 플레이를 보여줬다 정도..까지만 긍정합니다.
레지엔
과거의, 혹은 대중의 선조에 대한 이미지는 '잘 될 수 있는거 니가 다 말아먹었다 너만 잘하면 됐는데 임진왜란은 선조가 무능해서 시작됐고 붕당이 불질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순신 혼자 잘나서 해결봤고 그나마도 선조가 죽였다'라는 것이라,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그 재평가 과정에서 기존 이미지보다 긍정적인 것이 붙는건 필연적...
1
키티호크
선조를 평균으로 굳이 긍정해야 하는가도 딱히...
벤쟈민
병크도 많았지만 일찍 수도 버리고 떠난 거랑 이순신을 발탁한 것이나 등등 평균 이상은 한 것 같아요.
키티호크
수도를 버렸지만 백성도 버린 ...
1
벤쟈민
왕조국가니까 이해는 갑니다. 왕이 잡히면 바로 게임 셋이라서..
시로바코
이승만은 빤스런 자체보다 구라친게 큰거죠 전 빤스런은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서울 사수할 능력이 안됐는데 도망가야죠
1
벤쟈민
네.. 바로 그걸 간과했습니다.
맥주만땅
기본적으로 시대가 다르죠

고려시대는 백성이 죽건말던 강화도에 있우면서 세금받던시절도 있었지만 왕조도 못세운 이승만과 비교할 수가
벤쟈민
맞아요, 시대보정 해야죠.. 똑같은 통치 행위도 시대에 따라 달리 평가되니까요.
맥주만땅
심지어 이승만은 왕조도 못 만들었
1
벤쟈민
양녕대군의 후손으로 태어나 전주이씨왕조를 세우고자 부정선거를 저질렀지만 결국..
키티호크
이승만이 정말 최악인 건 안심해라 속여놓고 부산 도망갔다가 서울 수복한 후 지가 끊어놓은 다리때문에 피난 못가고 서울에 남아있던 사람들을 인민군에 부역했다고 잡도리한 거에요. 여기부턴 정말 이승만을 국부로 치켜세우는 자들에게 침을 뱉을 수밖에

피난 안간 이들이 모두 한강다리 끊어져 못간 걸로 볼 수는 없지만 어휴~~~ 뒷목이야
2
벤쟈민
정말 이승만이 벌인 악행은 끝이 없군요..
본문및 댓글 관련해서... 왕 죽으면 끝이라는 면에서 임진왜란의 종결에 있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사망이 가지는 비중을 역사적으로 어느정도로 둘 수 있는가가 궁금하네요
그가 살아 있었어도 일본이 이미 패퇴할수밖에 없던 전쟁이다 vs 그가 죽었기에 일본군이 빠른 철수를 결정하고 전쟁이 끝날수 있었다
2
레지엔
패전선언을 조선이 하게 만들 수는 있을 수도 있었는데 점령은 불가, 특히 이순신이라는 미친 존재때문에 장기전 한계가 뚜렷하다는 이야기가 많고... 죽어서 철수가 빨라지긴 했습니다. 그 뒤에 정권을 잡은 사람이 토요토미의 성과와 정책을 부정해야 될 토쿠가와였기 때문에... 특히 에도막부 성립 후 한반도-일본열도 사이에 가장 긴 평화기가 찾아온다는 걸 고려한다면, 미친 원숭이가 죽어서 나아진 면이 작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1
제로스
선조는 나름 열심히 대비한다고 했던거라..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이 발발한 원인에 선조탓이라고 할만한 건 없죠.

이승만은 예상하기 더 쉬웠음에도 대비도 제대로 안했고 입도 털었고..

'도망간 것'만 가지고 이승만이나 선조나 마찬가지 아니냐 하면 정말 딱 그 한 점만 생각하면
마찬가지라고 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근데 그 한 점만 생각할 필요는 없겠죠.

저도 '런' 자체는 잘못한 일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5714 4
16977 연애여자친구 부모님의 반대 32 [익명] 25/09/03 903 0
16976 법률아파트 부부 공동명의 증여 7 [익명] 25/09/03 379 0
16975 연애[19] 관계 질문입니다. 22 [익명] 25/09/03 1028 0
16974 경제차를 사는게 나을까요 집을 사는게 나을까요? 8 [익명] 25/09/03 465 0
16973 법률아버지가 대출 관련 사고를 치셔서 급하게 문의드립니다. 4 [익명] 25/09/02 682 0
16972 가정/육아할머니 팔순 선물 13 kaestro 25/09/02 422 0
16971 진로요즘은 대학과 직종간 편견이 많이 없어졌을까요? 11 고운해 25/09/01 973 0
16970 의료/건강탈장 수술 관련, 알레르기 문제와 대형병원 진료 절차. 11 Sensorylab 25/08/30 573 0
16969 IT/컴퓨터해외에서 쿠플을 봐야 하는 상황인데 조언을 구합니다. 13 당근매니아 25/08/29 616 1
16968 기타중고차로 첫 차 구매 12 은하꾸리 25/08/27 595 0
16967 가정/육아20만원 내외 돌 유아용 그림책선물 7 kaestro 25/08/27 338 0
16966 의료/건강선생님들 심장쪽이 아픈데요. 2 활활태워라 25/08/27 430 0
16965 기타프라모델용 도구 추천해 주세요 6 오쇼 라즈니쉬 25/08/27 265 0
16964 기타책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24 쉬군 25/08/27 583 0
16963 기타길에 떨어진 돈을 보았습니다. 4 나만한 고양이 25/08/25 609 0
16962 법률내일 부모님 모시고 법원에 갑니다 11 거소 25/08/25 811 1
16961 여행갤럭시 esim활성화 6 치즈케이크 25/08/25 473 0
16960 게임TFT 증강선택? 보는법 10 토비 25/08/24 420 0
16959 의료/건강담관 내시경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눈팅중 25/08/24 300 0
16958 경제조직검사 결과통보전에 암보험을 보강/가입 해야될까요..? 6 [익명] 25/08/24 749 0
16957 기타타이어 교체 질문 5 방사능홍차 25/08/23 342 0
16956 기타자전거를 새로 샀는데 1단과 6단이 안됩니다 3 2025 25/08/22 542 0
16955 IT/컴퓨터구글원 요금제 ->구글 AI 요금제 업그레이드? 6 Picard 25/08/22 564 0
16954 의료/건강신발 문의 드립니다 11 2025 25/08/22 43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