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5/02/09 20:37:34수정됨 |
Name | [익명] |
Subject | 행시vs기자vs대학원 |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 셋 다 답이 아닌 것 같기도.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인문대학 졸업했습니다. 나이가 조금 있습니다. 학점 낮고 한국사1급 정도 말고는 별다른 자격증이 없습니다. 노무사 공부를 군대에서 3달 정도 하다가 1차시험에서 두 과목 과락맞고 때려친 전적이 있습니다. 1. 행시 장) 공무원 하면 잘 할 것 같다는 이야기 가끔 들었습니다. 공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단) 권위적인 문화를 싫어합니다. 군생활 멀쩡히 마쳤으니 버틸 수는 있겠습니다만... 행시라고 적어놓긴 했지만 냉정하게 합격 확률이 크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여차하면 7급, 심지어는 9급으로 돌릴 각오가 되어있습니다. 9급을 친다면 꽤나 안정적으로 빠른 합격이 가능할 거라는 자신이 있습니다. 이건 장점... 2. 기자 장) 글을 쓰는 직업이라는 점이 끌립니다. 천관율 기자는 기자가 글을 쓰는 직업이 아니라고도 말하던데, 그래도 김훈이나 장강명같은 기자 출신 소설가들을 보면 멋있어 보입니다. 공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단) 스펙도 낮고 학점도 낮고 해서 메이저 언론사는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소형 언론사들까지 염두에 두고 있기는 합니다. 사람과 어울리는 일을 잘 못합니다. 3. 대학원 장) 학문에 전념하는 일이 멋있어 보입니다. 학문 자체가 공익에 기여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겸사겸사 뭔가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학부 전공을 잘못 선택했다는 후회가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을 통해 원하는 학문을 배우고자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단) 상술했듯이 진학한다면 학부와는 다른 전공을 택하려 하는데(인문대에서 사과대로) 쉽지 않은 일이라는 점 잘 알고 있습니다. 인문대만큼은 아닐 거라고 생각하는데, 취직이 쉬운 전공이 아닙니다. 스스로가 학자에 어울리는 타입이 아니라고 평가합니다. 일단 머리가 나쁩니다. 상술했듯이 권위적 문화를 싫어합니다. 교수님과의 트러블이 생긴다면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습니다. 학부 시절에 진학을 원하는 학과의 강의를 많이 들어보긴 했습니다. 그 중 한 교수님께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고 있는데 잘 할 수 있을지 어떨지 모르겠다고 상담을 드리니, 잘 할 것 같기도 하고 잘 모르겠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연구방법론의 차이가 크다는 건 알지? 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 모쪼록 어떤 의견이든지 자유롭게 들어보고 싶습니다. 0
|
저라면 '공무원이 된 후에 책을 읽으면서 블로그/유튜브/커뮤니티부터 시작해서 글을 쓴다'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왜냐면 오피셜한 글쟁이 타이틀이라는 게 어지간한 자리 아니면 이제 거의 의미가 없읍니다. 갈수록 더 그렇게 될 거고요.
(2번은 피하라는 말씀...) 글을 쓰고 싶으면 그냥 써야 되고, 그냥 쓰면 됩니다.
세속적 현실적 가치가 나에게 얼마나 중요한가를 고민해서, 그 답에 따라 행시, 7급, 9급 중에 선택하는 게 좋겠습니다.
어떤 선택을 하시든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왜냐면 오피셜한 글쟁이 타이틀이라는 게 어지간한 자리 아니면 이제 거의 의미가 없읍니다. 갈수록 더 그렇게 될 거고요.
(2번은 피하라는 말씀...) 글을 쓰고 싶으면 그냥 써야 되고, 그냥 쓰면 됩니다.
세속적 현실적 가치가 나에게 얼마나 중요한가를 고민해서, 그 답에 따라 행시, 7급, 9급 중에 선택하는 게 좋겠습니다.
어떤 선택을 하시든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공시가 됬던 공기업이 됬던 사기업이 아닌 공직 쪽을 염두해 두신다면 행정법 행정학 등 공시과목 공부는 필수입니다
당장 사기업 취준을 안하신다면 문과에게 공시공부는 요새 선택이 아닌 필수라 생각합니다.
당장 사기업 취준을 안하신다면 문과에게 공시공부는 요새 선택이 아닌 필수라 생각합니다.
저도 일단 빠르게 9급 합격해서 붙으시고, 그 후에 대학원, 7급이나 행시로의 상향 등을 고려하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처음부터 행시 노렸다가 낮추지 마시고요.
행시/기자/대학원 모두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장점이 막연해서 크게 동력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말씀하시는 장점들이
잘할것같다는 말 들었다 / 멋있어 보인다 / 공익에 기여한다
이런것들이라서 실제 선생님께서 해당 일을 함에 있어 장점이 아니라고 보입니다.
노무사는 왜 도전하셨고 왜 접으셨나요?
전공을 잘못 선택했다고 하셨는데 왜 인문대를 선택하셨나요? 과거 그 선택을 왜 했는지 돌아보고 실패라 여기는.점을 분석한다면 답이 좀 나올 것 같아요.
행시/기자/대학원 모두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장점이 막연해서 크게 동력이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말씀하시는 장점들이
잘할것같다는 말 들었다 / 멋있어 보인다 / 공익에 기여한다
이런것들이라서 실제 선생님께서 해당 일을 함에 있어 장점이 아니라고 보입니다.
노무사는 왜 도전하셨고 왜 접으셨나요?
전공을 잘못 선택했다고 하셨는데 왜 인문대를 선택하셨나요? 과거 그 선택을 왜 했는지 돌아보고 실패라 여기는.점을 분석한다면 답이 좀 나올 것 같아요.
노무사 1차 과락 날 정도면 냉정하게 행시는 어렵고, 스스로 판단해서 7, 9급 중에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기자는 사람들과 엄청나게 어울려야 하는 직업입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글쓰기와는 다릅니다.
대학원은 집에 돈 많으면 하십시오.
기자는 사람들과 엄청나게 어울려야 하는 직업입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글쓰기와는 다릅니다.
대학원은 집에 돈 많으면 하십시오.
일단 기자는 무조건 비추. 행시는 요새 가성비 안나온다는 말이 많은데...7급 정도로 도전 먼저하시는 게 좋아보입니다. 대학원은 '와 나 이 공부 진짜 재밌어 미치겠다' 아니면 가지 마십시오. 아니다. 그래도 가지 마십시오. 대학원은 가는 거 아닙니다.(단호/절레)
빠르게 9급이 그리 쉬운 건 아닙니다. 소위 sky 졸업자들도 9급 물먹는 경우 허다하죠. 그리고 9급 붙고 7급, 행시 준비하라는 조언들이 있는데 그게 결코 쉽지 않습니다. 9급도 하는 일 상당히 많습니다.
공익에 계시고 싶으시면 시민단체 활동가를 추천합니다 이게 힘들 것 같으면 그보다 더 현실적인 쪽으로 정확히 고려해보시길 말씀드려봅니다 뭐든 시작하는 쪽으로 마음을 잡는 게 필요해보입니다 그냥 일반 직장을 가겠다하더라고요
기자는 비추. 사양산업에는 발 들이지 마세요
대학원은 선택을 2년 미루는 느낌으로는 절대 가지 마시고
다른 직업을 위해 장기적으로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면 그때 고려하세요
개인적으로는 글쓰는 직업이 끌리신다면, 빠르게 9급 합격후 투잡으로 웹소설작가를 노리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겸임금지가 좀 걸리긴한데, 방법이 있지않을까 싶은데요
대학원은 선택을 2년 미루는 느낌으로는 절대 가지 마시고
다른 직업을 위해 장기적으로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면 그때 고려하세요
개인적으로는 글쓰는 직업이 끌리신다면, 빠르게 9급 합격후 투잡으로 웹소설작가를 노리시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겸임금지가 좀 걸리긴한데, 방법이 있지않을까 싶은데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