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6/10 19:14:41
Name   Weinheimer
Subject   첫 amd, ryzen 2700x 구입 및 사용기
자금이 무한하다면 재화를 구입할 때 고민할 필요가 없겠죠.
하지만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을 쓸 때마다 고민에 빠집니다.

뭘하든간에 예산이 문제에요. 어떤 목적으로 컴퓨터를 쓰는가? 시뮬레이션? 인코딩? 게임? 문서작업? 뭘 주로 하냐에 따라서 달라지겠죠.
저 같은 경우 컴퓨터=게임기입니다(...). 3년전쯤 컴퓨터를 구매하면서 약간만 돈을 더 썼더라면 올해 컴퓨터를 안바꿔도 됐을텐데, 어중간하게 견적을 맞췄더니 시간이 흐를수록 애매해지더군요. 돈만 무한하다면 8700k사다가 1년 쓰다가 갖다 버리고(?) 새 시스템을 살 수도 있겠지만 그게 안되니까요.

그래서 작년부터 구매시기를 보고 있었는데, 영~ 애매하더군요. 인텔같은 경우 보드소켓으로 장난질을 해서 커피레이크는 살 생각이 없었고, 라이젠1세대 같은 경우 가성비는 괜찮아도 각종 벤치마크에서 확연하게 떨어지는 게이밍 퍼포먼스가 문제였습니다.(QHD이상 해상도 벤치의 경우 그렇게 인텔과 큰 차이가 안났지만, 숫자는 숫자일뿐. 실제로 실제로 많은 유저들이 말하는 프리징이나 프레임드랍은 다른 문제라서 사기가 꺼려지더군요)

구형 cpu로도 버틸려면 충분히 버틸 수 있었습니다만 인텔 보안이슈가 터지고, 특정 패치후 ssd 쓰기 속도 저하가 체감되서 더이상 안되겠더군요.
게다가 4코어4쓰레드로는 부족한 게임들이 자꾸 나오다보니..그래서 그냥 라이젠 2700x로 바꿔버렸습니다.
벤치마크로 봤을때 1세대보다 향상된 게이밍. 넉넉한 코어(다 쓰지도 않을 정도로 쓸데없이 넉넉한) 넉넉한 쓰레드(마찬가지로 쓸데없이 넉넉한)메인보드도 인텔과 달리 2020년까지 지원하는것도 괜찮고..

...그외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서 샀었습죠. 사고 난 후에 느낀게 인텔에 비해 손이 많이 갑니다.
오늘도 amd 칩셋 업데이트 후에 리붓을 20번 넘게 한 것 같네요.


전체 시스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워 : 시소닉 포커스 골드 650w
씨퓨 : 2700x
씨퓨쿨러 : thermalright le grand macho rt
메인보드 : 기가바이트 어로스 x470 울트라게이밍
글카 : 이엠텍 슈젯 gtx970
램 : gskill ripjaws v 숫자 어쩌고 저쩌고
ssd : 마이크론 mx300 500g+원래 있던거 1개
hdd : hgst 4tb+원래 있던거 1개
케이스 : 3rsys l800

라이젠 구매고려 중인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해서 각 부품별로 왜 샀는지 간략하게 적어보겠습니다.
부품간 구매간격은 길게는 7개월에서 적게는 2일 차이가 납니다.

램은 작년에 해외 튜닝램 직구가 용팔프라이스보다 저렴해서 홧김에 매국했습니다. 어차피 삼성 아니면 하이닉스 모듈이니 반쯤은 애국한거지요. 사견으로 라이젠 사용자의 경우 램오버때문에 삼성 시금치램(가성비)이나 지스킬의 flareX나 tridentRGB를 추천드립니다.

케이스는 3rsys에서 금요일부터 토,일요일 특가를 하는데 그때 샀습니다.
삼알 케이스는 QC가 단점으로 지적되지만 교환을 잘해줘서 그렇게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가끔 설계에서도 실수를 하지만)
케이스 구매를 구매할 때는 냉각방식, 방음vs발열에서 선호하는 가치를 정하셔야 합니다. 그에 따라 제품선택이 달라집니다. 수냉은 저도 안써봐서 모르겠네요.
일반적으로 방음이 중요하다면 케이스에 구멍이 덜 뚫린 제품을, 발열이 중요하다면 되도록 케이스가 크고 구멍이 숭숭 뚫린 걸 찾으시면 됩니다. ...라지만 우수한 케이스는 20만원이 넘어가기 때문에 케이스에 쓸 돈을 아껴서 다른 데에 투자하는 것도 좋습니다.

저는 오버클럭을 할 생각이 있어서 방음에 특화된 제품은 다 제끼고, fractal design r6, 프랙탈 디자인 메쉬파이, antec luce, 삼알 제품 중에 고민하다가 3rsys l800이 특가로 떠서 구매했었습니다.
명심해야 할 사실은 본체쿨링이 잘 되는 모든 케이스는 본체가 시원해지는 만큼 내가 더워진다는 것입니다.

파워는 시소닉, 안텍, 델타, fsp 정도가 좋습니다. 각 브랜드 라인마다 좋은 제품, 안좋은 제품이 있고 터질 파워는 터진다지만 다 명성이 자자한 회사들입니다. 시소닉을 산 이유는 그냥 특가를 하기에 샀었습니다만...요즘엔 특가가 정상가가 되더니 상품권까지 끼워주더군요. 역시 전자제품은 죽기 직전에 사는게 인생최고의 제품입니다.

예전에는 에너맥스가 잘나갔는데 요즘엔 언급조차 안되더군요. 영압이 사라졌습니다.
파워는 풀 모듈러 제품이 가격이 좀 더 비싼 대신 선정리가 용이합니다. 주렁주렁 달게 많은 환경에선 풀모듈러도 주렁주렁 달리기 때문에, 그런걸 고려해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젠+에 동봉되는 기본 쿨러들은 인텔 것보단 낫지만 썩 좋진 않습니다.
쿨링에 신경쓰신다면 녹투아 nh-d15, 크라이오릭 r1 얼티밋, 써멀라이트 르 그랜드 마초 rt, 닌자 쌍팬 등이 좋습니다.
해외 벤치마크에서 상위권에 있는 쿨러들입니다. 하나같이 덩치가 크기 때문에 케이스에서 지원하는 시퓨쿨러의 높이, 메인보드 방열판, 램간섭 등을 고려해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마초는 쿨링팬이 한 개인 대신에 방열판이 상당히 큽니다.
큰 방열판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려면 후면배기팬과 상단배기팬을 새로 설치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메인보드는 제가 동일 사양에서 메인보드만 바꿔보면서 테스트 해본적이 없다보니 뭐라 할말이 없네요.
기가바이트 제품이 비교적 저렴함+이때까지 쓰면서 고장난적 없음+전원부가 튼실해서 샀습니다.
와이파이 지원모델은 방열판에 쿨러가 닿고, 마초를 달려면 백플레이트를 다 뜯어내야해서 울트라 게이밍으로 선택했습니다.
최상급 제품으로는 에이수스사의 크로스헤어가 꼽힙니다.

하드는 어차피 저장이 제일 중요하니 안정성면에서 압도적인 히타치 하드로 샀습니다.
히타치 하드의 단점으로는 소음이 있습니다.
히타치를 제외하고는 도시바, 웬디도 좋습니다. 시게이트는 사지 마세요.
여담으로 예전에 웨스턴 디지털 그린 제품을 구매했다가 너무 느려서 충격받았던 기억이 나네요.

ssd는 삼성 것이 좋다고 하지만 그 성능을 체감할 수 있을것 같진 않아서 저렴한 마이크론으로..

...

반년 넘게 드래곤볼을 모아서 저번주 토요일에 조립을 끝내고 램오버, cpu오버를 마쳤습니다.
처음 램 직구를 할때 라이젠을 살 줄 알았더라면 립죠 대신 플레어x나 트라이던트를 샀을텐데 하는 후회가 남네요.

그리고 오늘 amd칩셋 업데이트를 했더니 모든 설정이 초기화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램오버부터 시피유오버까지 하고 간단한 테스트 후에 시네벤치를 돌려봤습니다. 1850점이 나오더군요. 전압을 더 주고 더 오버하면 될 것 같은데 그러기는 싫어서(?) 깔끔하게 포기했습니다. 테스트 겸 그림던(...)을 몇시간 돌려봤는데 전에 쓰던 cpu에 비해 월등합니다.


보안, ssd 성능 저하때문에 급하게 amd로 갈아탔지만 전반적으로 만족합니다.
각종 사이트 후기들을 봐도 라이젠1세대에 비해서 많이 나아졌다고 합니다만...여전히 게이밍 쪽에서는 인텔에 비해 모자르고(크게 거슬릴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저렴한 cpu에 뒤집히는 경우도 있다는건 약간 슬프지만), 특정 프로그램들과 호환성이 안좋고, 손이 많이 간다는건 단점이네요.



1


    970으로 괜찮으신지...
    Weinheimer
    작년까진 버틸만했었는데 크흑.. 코인붐이 겹쳐서 구매 타이밍 놓치고 지금은 어쩔 수 없이 쓰고 있습니다. 다음 세대때 갈아타려구요
    광산 갔다가 돌아오는 녀석들 중에 as 남은 걸로 하나 골라잡으심이...
    초면에
    좋은글 감사합니다.
    게임용 만이라고 보기엔 사양이 ㅎㄷㄷ 하네요
    Weinheimer
    뭐라도 의미있는데 써야 할텐데..비생산적인 용도로만 쓰고 있습니다
    소노다 우미
    비슷한 컴이 올라와서 저도 올려보자면, 전 지금...

    Power : 시소닉 플래티넘 1200W SS-1200XP3 (2013년 아마존 구입)
    Cpu : AMD RYZEN 1800X (2017년 구입)
    CPU COOOOOOLER : NOCTUA NH-D15 SE-AM4 (2017년 구입)
    Motherboard : GIGABYTE AORUS GA-AX370-Gaming 5 (2017년 아마존 구입)
    GPU : 갤럭시 GTX1060 OC D5 3GB (중고로 구입, 2016년)
    RAM : 샘송램 19200 16GB * 2 ... 더 보기
    비슷한 컴이 올라와서 저도 올려보자면, 전 지금...

    Power : 시소닉 플래티넘 1200W SS-1200XP3 (2013년 아마존 구입)
    Cpu : AMD RYZEN 1800X (2017년 구입)
    CPU COOOOOOLER : NOCTUA NH-D15 SE-AM4 (2017년 구입)
    Motherboard : GIGABYTE AORUS GA-AX370-Gaming 5 (2017년 아마존 구입)
    GPU : 갤럭시 GTX1060 OC D5 3GB (중고로 구입, 2016년)
    RAM : 샘송램 19200 16GB * 2 (2017년 구입)
    SSD : 마이크론 MX200 250GB (2015년 구입?)
    HDD : HGST 4TB (2016년 구입?)+ WD RED 3TB (2013년 구입?)
    CASE : 프렉탈 R5 Define Blackout (2017년 구입)

    을 쓰고 있습니다.

    일단 GPU는 게임을 크게 안 해서 만족중인데, 나중에 베가로 올라갈 생각은 하고 있었습니다만, 베가 자체가 (코인의 영향을 말하기 이전에) 유니콘이라... -_-;
    일단 파워 1200W는 13년에... 구입한건데, 기존의 650W를 대체하기 위해서였고, 벌써 5년째 쓰고 있네요. 앞으로 5년 더 써야겠습니다. 향후 저전력시대가 올 거라고 예측을 잘 하지 못해서 항상 하이브리드로 소리 없이 돌아가고 있네요.
    사실 케이스의 팬도 죄다 녹투아로 교체해버린지라, (애초에 오버 없이 순정으로 돌리려고 계획했던거고) 정말 조용.... 합니다.

    일단 조용하고, 열이 많이 안 나니, 만족스럽다는걸 느끼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성능은 아주 중요한게 아니였던겁니다...ㅠㅠ
    Weinheimer
    저도 만족도로 따지면 cpu 교체한거랑 cpu쿨러 교체한게 가장 큰 것 같습니다. 메인보드는 쿨러가 대형이라서 아무것도 안보이다보니 아무런 감흥이 없고, 본체 온도 낮은거랑 조용한게 체감이 크네요;

    파워는 그냥 좋은거 오래 쓴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용팔이들이 미는 중저가형 파워가 3~5년 단위로 바뀌던데, 용팔이들 자체가 불신의 아이콘이라서 영 못미덥더군요.
    소노다 우미
    cpu쿨러 교체가 가장 와닿는건 맞는것 같습니다. 저도 쿨러 한번 바꾸고서는 방 온도가 확연히 내려간적이 있었는데...
    처음 컴을 조립할때, 반드시 파워랑 메인보드는 좋은걸 쓰라는 가르침을 받았는데, 시소닉은 보통 10년은 거뜬히 가니까 괜찮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번에 산 파워가 2007년에 구입한 시소닉인데, 아직 현역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with i7-377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84 7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1 + 흑마법사 25/04/22 52 6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423 1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640 24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648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4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40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4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1 kaestro 25/04/19 679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23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080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4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33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51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45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75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59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78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43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37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49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3 치킨마요 25/04/11 948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34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601 11
    15376 일상/생각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3 셀레네 25/04/10 899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