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28 15:02:25
Name   한신
File #1   20130604_2b55437216f620ffac4bec32c80c243f_59_20130604180037.jpg (36.1 KB), Download : 9
Subject   살좀 쪄라 라는 말에 대하여.



요즘은 롤챔스를 잘 안보지만, 가끔 페이커 선수를 보고 있으면 내가 말랐던 시절이 생각난다. 경기를 보고 있으면 항상 아프리카창이나 페이커선수 짤방밑에 '살좀 쪄 ㅠㅠ' 이런식의 악의없는 응원(?) 댓글이 달리곤한다.
하지만 나는 알고 있다. 마른 사람들에게 그런말을 하는게 당사자에게 얼마나 스트레스인지.

나는 어린시절부터 소위 '갈비' 였다.
7살때 몸무게가 19kg정도 였으며 (그 당시 일주일에 한번씩 어머니와 여탕*-_-*에를 갔는데 1년 내내 저 몸무게가 나와서 -한창 클 시기에- 아직도 저 당시 몸무게를 기억한다.), 키가 다자라 고등학교 2학년 정도가 되었을 무렵, 180cm / 56kg라는 몸무게로 살아왔다. 물론, 대학생이 되어서도, 거의 24살 무렵까지 60kg를 넘은 기억이 없다.

그러다 보니 내가 학창시절에 가장 많이 들은 말은 역시 '살좀 쪄라' 였고, 특히 어르신들은 만날때마다 "팍팍좀 먹어잉! 살좀 쪄야지" "에효 한신아 피골이 상접하구나 살좀 쪄라"  등의 멘트들을 날리시곤 했다. 물론 그들은 악의없이 걱정되는 마음에 하신 말씀이고, 또 그런걸 알고는 있는지라 딱히 대꾸할말이 없이 '네' 라고 단답형으로 대꾸하곤 했다.

물론 "나는 먹어도 안쪄." 따위의 변명을 하고싶지는 않다. 나도 내가 많이 먹는데 안찌는 줄 알았지만, 운동을 안하니 음식물 소화능력이 달리고, 그리고 생각보다 내가 많이 먹고 있지 않았다는것도 깨닳았으니까. 어쨋거나, 소위 '갈비'들에게는 그게 최선인거다.
그러니까 나름 스트레스를 엄청 받고, 또 내가 말랐다는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나름 먹는다고 먹어보지만 딱히 많이 들어가지도 않고, 그냥 살이 잘 안찐다.

어쨋거나 대학교 1학년 시절에 운좋게 예쁜 여자친구를 만날 수 있었고, 그제서야 옷에 관심이없던 내가 패션에 슬슬 관심이 갔고, 옷을 입어보니 역시 사람은 옷빨을 받으려면 키와 체형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해서 살을 찌우기로 결심했다. (라는것보다는 사실 여자에게 잘 보이고 싶어서...)
어쨌든 그 이후에 운동을 통해 몸무게를 70kg 가까이 찌우고 체형도 다듬어서, 지긋지긋한 '갈비'소리와는 이별하게 됐다. 사요나라.


하여간에, 내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이유기도한데,
우리사회는 뚱뚱한/ 마른 사람에 대한 배려를 잊는경우가 많다. 특히 마른사람에 대해서.
물론 나도 속으로는 '저사람 돼지네...' '저사람 말랐네...' 하고 생각하지만 그런 나쁜생각(?)들을 입밖으로 꺼내지는 않는다.
만약 뚱뚱한 체형의 사람을 보고 '어휴 ㅠㅠ 살좀빼라 누구야.' '살에 기름기가 좔좔흐르네' 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사회적으로 매장감일거다. 그런데, 의외로 이런 폭력적인 말을 마른사람에게는 굉장히 쉽게 꺼낸다. 폭력적으로.

살을 찌운다는게 살을 빼는것'만큼' 힘들다. 의외로 살이 찌신분이 마른사람이 운동하면서 먹는거 보면, '와 좋겠다.' 하시는데, 이거도 참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것이다. 먹고싶을때 '먹고싶은걸' 먹는것과, 필요한것을 먹기싫을 때 먹는게 엄청난 차이가 있다.
운동량은 오히려 비슷하고, 돈은 더 많이든다. (먹을걸 많이 먹어야하니까.)
그냥 많이 먹으라고? 그럼 유니세프에 나오는 아프리카 아이들처럼, 팔다리는 말랐는데 배만나오는 체형이 되버린다.

어쨌거나 그런 사회적 시선이 따갑고, 옷빨도 잘 받아보고 싶어 헬스를 2년간 해서 지금은 '평범한 체형'이 되었지만, 사실 내가 살기엔 이 몸이 꽤나 불편하다. 적당한 몸무게아니냐고? 전혀. 오히려 살이 찌고나서 나는 20년 내내 여름을 타지 않던 몸에서 땀쟁이가 되어버렸고, 조금만 빠르게 걸어도 땀이 줄줄흐른다. 물론 의학적 지식이 결여된 경험적인 느낌이지만, 어쨌거나 내가 살기에 이 몸은 불편하다. 나는 마른 몸이 내가 살기에 편하다고 생각한다.  
누구에게나 자기에게 편한 몸이 있을거다. 그것때문에 살을 찌운다는거, 그 씁쓸한 기분은 살을 많이 빼보신분들의 그 씁쓸함과는 또 다른 느낌이다.

아무튼, 살좀 찌라는 말은, '야이 미친놈아' 처럼 기분나쁘게 들릴수 있다는걸 꼭 알리고 싶었다.
의외로 말라본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이게 굉장히 스트레스 받는다는걸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기왕이면, 남이야 어떻든 그냥 좀 내버려두면 안되나. 제발 '평균'이라는 기준점에 사람을 가둬두고 평가좀 안했으면 좋겠으나, 그것까진 무리라면, 그냥 생각만했으면 좋겠다. 제발 배려 좀.


p.s 주저리 주저리 쓰다보니 평어체로 쓴거 양해부탁드립니다.




0


    절름발이이리
    뭐 오지랖이 강한 사회인데, 자제해야하는 건 맞죠.
    다만 적정한 근육량과 건강한 체형을 갖추는게 좋다는 점은 부정하기 힘듭니다. 몸무게 자체보다도요. 저도 이십몇년간 멸치였고 당시는 당시대로의 편함이 있었지만, 에너지가 딸렸던 건 부정하기 힘든지라..
    사실 저도 지금의 몸에대한 만족도가 훨씬 높습니다. 근데 그 만족도라는게 과연 \'나 스스로 내 몸에 만족하는가?\' 라고 자문해보면, 음 그렇다기보단 그냥 남들이 보기에 훨씬 좋아보이고 소위 훈남틱해졌다고 하니까 좋은거 같습니다.(몸만) 그 범위도 자기만족에 포함되는건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절름발이이리
    체력 딸리는 연령에 접어들어야 좋은 몸의 진가를 깨닫게 됩니다. 허허.
    darwin4078
    잠깐만요, 7살때까지 여탕엘 갔다구요?
    \'면\'단위의 촌이라 가능했던거 같은데 다시 생각해보니 6살같기도 하군요. 물론 기억은 전혀 나지 않습니다. ㅠ_ㅠ
    음란파괴왕
    전 9살때까지...
    王天君
    그러게 말이에요. 살쪄라 살빼라 전국민이 연예인화 연예인 매니져화 되고 있는 것 같아요.
    격하게 공감합니다.
    간만에 친구를 만날때마다 항상 듣는 말이 예전보다 더 말랐단 얘깁니다. 그 말대로라면 제 몸은 이미 사라졌어야죠.
    다만 이리님 말씀처럼 적당한 근육량과 체형은 중요합니다. 아쉬탕가 요가를 일년정도 했는데 어깨와 가슴이 펴지기 시작하니 많은 게 달라지더군요.
    저도 불만인 건, 뚱뚱한 사람들에게는 살 빼라는 소리를 쉽게 못 하면서, 마른 사람들한테는 왜 이렇게 말랐냐? 살 좀 찌워라 라는 소리를 쉽게 한다는 겁니다.
    솔지은
    넵???????되게 잘하던데요......... 맨날 살 좀 빼라고..............
    여자친구가 제 배가 귀엽다고 그래서 안빼고 있는거라고 자위중입니다..크크
    타르시엔
    저도 되게 많이 듣습니다.. ㅠㅠ 스트레스 받을정도로요 ㅠㅠ
    너 저번보다 더 쪘지?
    살좀 빼라.
    심지어는 신경질적인 말투로 아무렇지않게 말하는분도 계세요...크크크
    구밀복검
    7살 때 19kg면 신장 따라 다르겠지만 심각한 저체중은 아닐 겁니다. 7세니까 만으로는 5.5~6세 정도라고 봐야할 텐데, http://borandeusi.tistory.com/1 해당 자료에 따르면 6세 평균이 20~21kg 정도네요.

    그건 그렇고 저 역시 초등학교 1학년 때, 그러니까 만 6세 당시의 스펙을 기억하는데 121cm/19kg였습니다. 지금은 작성자 분 운동 이전 스펙 정도 되네요. 체계적으로 운동한 이후로는 일상 활동에서 체력 부족할 일은 없어서 별 불만 없이 삽니다. 본문에 쓰여있는대로 저체중이면 소식해도 너끈하다는 장점도 있고, 체취도 덜 나고 등등... 여전히 말라보인다, 허약해뵌다 하는 분들은 종종 있습니다만, 대부분의 경우 별로 건강하시지도 않고 식비도 저보다 더 쓰는 분들인지라 뭐...
    오쇼 라즈니쉬
    한평생 \'넌 더 마른 것 같다\' 는 소리만 들었습니다.
    이러다가 뿅 하고 사라질지도 크크
    솔지은
    전.. 넌 더 찐 것 같다만................몸무게는 맨날 그대로인데..ㅠㅠ
    으헝...저도 그런소리를 많이 듣는답니다...
    전 분명 운동을 열심히하는데
    볼살이 안빠집니다ㅠㅠㅠㅠㅠㅠㅠ
    로즈마리
    저도 몇년전까지만해도 체중이 40을 넘지 않았는데 (키는 152...ㅠ) 서른이 되니 슬슬 쪄서 지금은 조절하려고 노력하면서 44~45를 유지하고 있어요. 작년여름에는 48을 넘었는데 필사적으로 노력해서 겨우 뺐더랬죠. 태어나서 처음으로 다이어트라는걸 경험해본..
    저는 적게 먹는 타입은 아닌데 입이 짧아서 키도 작고 말랐었어요. 신기한게 좋아하는 음식이 하나같이 고칼로리들이었는데 많이 먹어도 살이 안찌더라구요. 연비가 나쁘다는 얘기를 참 많이 들었던것 같아요. 이렇게 먹는데 키도 작고 말라서..먹은거 다 어디로 가냐는 그런......물론 모두 과거형입니다. 살이 찌니까 확실히 몸도 무겁고 피로도 쉽게 느끼고 여름에 덥더라구요.
    나이를 먹으면 확실히 쉽게 찌는거 같아요. 저희 어머니도 152정도에 체중이 항상 40대 중반이셨는데... 지금 거의 환갑이 되셨지요. 그런데 요즘은 조금만 먹어도 금방 살이 찐다고 하면서 음식조절을 하시더라구요. 평생 그런거 하신적 없으신 분인데... 물론 운동을 항상 꾸준하게 열심히 하셨지만요.
    저도 연비가 참 안좋았는데 요즘엔 좀만 먹으면 배가 불쑥 튀어나오려고 하니, 연비 안좋던 시절이 그립기도합니다.
    October
    173/50을 고1 부터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내년이면 계란한판인 지금까지요.
    간만에 보는 친척들은 항상 살좀쪄라 그러는데 이게 엄청 스트레스입니다. 왜 마른 사람에게는 배려가 좀 부족한지 모르겠어요.

    그래도 확실히 많이 먹고 운동하고 잘 자면 찌긴 찌는 것 같습니다. 공익으로 훈련소 한달 깔짝대고 왔을때도 54kg까진 불려봤거든요.
    문제는 그 생활을 계속 유지하지 않으니 한달만에 제자리로 돌아오긴 하덥디다...
    언니네 이발관
    완전 공감합니다. 177에 52인데 저도 제가 많이 안먹어서 안찌는거 잘 알고있습니다.
    그럼 많이 먹으면 되지 않느냐고 하는데 그게 쉽지가 않아요. 살 빼는것보다 시간과 돈을 더 투자 해야 합니다..
    저도 살 찌우고 싶은데 참 쉽지 않네요ㅠㅠ
    어릴때부터 계속 말랐었는데 32인 지금도 182에56~57왔다갔다하네요. 어릴때부터 쭈욱 살 좀쪄라 많이 좀 팍팍 좀 무라 하시는데 잘되지 않네요.ㅠ 제 나름은 많이 먹는거라고 생각했는데 돌이켜보니 사실 은 그렇게 많이 안먹는거 같기도하고요. 이유를 굳이 들자면 제가 밥 먹고 나면 자주 바로 화장실을갑니다.먹은게 소화가 잘 안되서 그런건지.. 또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도 하나요? 긴장하거나 그러면 또 화장실을...ㅜ 식사시간에 죄송합니다.
    음란파괴왕
    저는 매일 거울을 보면서 제 자신에게 살빼라고 말하는 중입니다... 훌쩍. 어릴때는 갈비소리 들었는데 왜 지금은 파오후가 된 것인가.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93 7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73 0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2 + 큐리스 25/04/23 192 8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4 흑마법사 25/04/22 257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634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51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697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79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73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6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11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42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24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56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47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59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55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84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73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91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54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49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61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85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5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