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2/19 03:10:34
Name   에밀
File #1   438bd7c1112dc6700f9822d16d9ced0a1a09c357.jpg (950.2 KB), Download : 13
Subject   <바르샤바 1944>와 바르샤바 봉기


<바르샤바 1944>는 제2 차 대전 말기에 아직 독일군의 점령 상태였던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서 있었던 '바르샤바 봉기'를 다룬 폴란드 영화입니다.
폴란드 영화 보신 적 있으세요? 우리와 가까운 나라가 아니다 보니 그 동네의 문화와는 교류가 적었고, 그래서 전 아는 게 많지 않았습니다. 기껏해야 폴란드 공? ㅋㅋㅋㅋㅋ 아무튼 마찬가지로 폴란드 영화도 처음 봤어요. 부산국제영화제에도 초청받은 작품이고, 폴란드 국뽕(?)을 다룬 영화이기에 폴란드에서의 인기가 선풍적이었다고 하는데요. 저야 영화를 많이 보지 않는 편이기에 잘 모릅니다만 개인적 느낌은 묘한 영화였습니다. 어떤 점이 그랬느냐 하면

우선 사실적인 장면들이 많았습니다. 19금 딱지를 달고 나온 영화이기에 피가 튀는 장면이 많은데, 전쟁을 다룬 영화에서 피가 튀지 않으면 영상에서 벌어지는 전쟁에 대한 체감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인상적이었던 건 도심에 포탄이 떨어지고 도망가는 여주인공의 머리 위에 피가 후두둑 쏟아지는 대목이었습니다. 그 때 독일군은 바르샤바를 포위하고 무시무시한 열차포까지 쏴댔거든요. 열차포는 구경이 어마어마한데 그런 포가 떨어졌을 때 발생하는 폭발력과 화염이 잘 묘사되었습니다. 또 봉기군의 엉성함을 연출한 점도 사실적 특징이었습니다. 이런 레지스탕스들이 등장하는 영화에서 그들은 대개 잘 준비된 특수부대 같은 면모를 보여줬습니다. 주인공과 동료들이기 주로 레지스탕스 역할이기 때문인 것 같은데, 실제로 이 사람들이 그랬으리라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아마 이 영화에서 표현한 것처럼 군기도 개판이고 전투도 제대로 벌이기 힘든 수준이었겠죠. 덕분에 현실적이지만 '저게 뭐야.' 하는 생각도 많이 듭니다. 약~간은 다큐멘터리 같아요. 그 외에 등장하는 무기들이 잘 보여서 좋았습니다. 봉기군들의 열악한 무장 상태를 잘 드러내는 다양한 -.- 총기와 마지막에 등장하는 판터 전차도 반가웠어요. 근데 이건 제가 밀덕 성향이 약간 있어서 그런 거고... 또 포격으로 걸레짝이 된 도시나 마지막에 보여주는 불타는 바르샤바의 야경도 인상적이었습니다.

근데 둘째로, 어설픈 장면이 또 많았습니다. 앞서 말한 '저게 뭐야.'가 '무슨 영화 주인공이 저래?'였는데요, 이번엔 등장 인물들이 사람같지 않은 행동들을 해서 같은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뭐랄까, 발리우드 느낌이었어요. 과장된 행동들, 과연 저기서 사람이 저렇게 행동할까 싶은 장면들, 위에서 얘기했던 사실적인 연출 요소들과 달리 인물들의 행동에는 또 왜 저렇게 하는 거지라는 생각이 절로 들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장면들이 오면 슬로우 모션에 경쾌한 음악을 깔고 화려한 CG를 넣는데요, 이것들도 확 깨더라고요.
왜 저걸 또 저렇게 해?? 발리우드인가??
폴란드 영화를 처음 봤는데 인상이 그다지 좋지는 않네요.

그래서 묘했습니다. 사실적으로 묘사해 다큐멘터리 같으면서도 무언가 어설픈 장면들이 자꾸 보여서 거슬리는 묘한 영화였어요. 그래도 이런 종류의 영화들이 꼭 다루는 전쟁의 참혹함은 충분히 느낄 수 있었고, 후반부 두 등장인물의 뒤바뀐 대치는 그걸 보여주려는 의도였던 것 같아요. 이런 의도가 부족한 제게도 보일 정도면 곤란하지 않나 싶은데... 근데 또 엔딩은 좀 물음표였습니다. 마찬가지로 또 어설펐죠. 그리고 여주인공 역할을 맡은 배우가 참 예뻤습니다. 워낙 예뻐서 극 중 만나는 남자들마다 침을 흘리고 달려드는데, 저도 달려들 뻔... http://www.imdb.com/name/nm5851109/
조피아 비흐와치(Zofia Wichlacz)라는 95년생 폴란드 배우인데 참 예쁩니다. 폴란드 영화에 주로 나올 테니 또 보기는 힘들겠죠? ㅠ 19금 영화답게 가...가슴 노출까지는 있사오니 어서 왓챠플레이로 달려 가세요.

사실 영화 얘기를 하고 싶었던 건 아니고 바르샤바 봉기에 대한 질문을 하고 싶었습니다. 바르샤바 봉기가 일어난 시기는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독일군이 점령한 소련 영토를 탈환하고 나아가 비수와 강까지 진출해 독일을 코앞에 둔 시점이었습니다. 소련이 접근하고 있는 지금이 기회라고 생각해 폴란드 내부에서 저항하던 국내군이 대대적으로 봉기를 일으킨 거죠.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소련의 공세는 숨돌리기를 해야 하는 타이밍이었고 봉기군은 2달을 필사적으로 버텼으나 결국 괴멸당하고 맙니다. 궁금한 건 '왜 그들은 봉기를 일으켰나?'입니다. 소련에 의해 해방을 맞을 경우 공산화 및 소련의 속국화를 피할 수 없고 그를 막기 위해 자신들의 힘으로 해방을 이루겠다는 의도인 건 알겠습니다만, 그럼에도 봉기군은 끝까지 소련군이 오기만을 기다렸다는 게 아이러니입니다. 독일의 패배는 이 때 이미 정해진 일이었고 그 시점도 길어야 반 년이었을 겁니다. 실제 역사에서는 3달 정도 뒤였죠. 이 세 달을 앞당기기 위한 시도에서 10만 명 이상의 바르샤바 민간인들이 죽었습니다. 물론 얌전히 소련 점령을 기다렸다면 소련을 곱게 생각하지 않던 민족주의 계파는 도망치거나 숙청당했겠습니다만, 수십만 시민의 목숨과 바꿀 정도의 가치였을까요? 봉기군이 그리던 바르샤바에서 버티다 소련군이 독일군을 몰아내면 해방이라는 시나리오에서도 소련은 공산주의 계열 봉기군 인사들로 공산 정부를 세우고 속국을 만들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연합군이 폴란드를 위해 결사적으로 소련에 맞섰을 것 같지도 않아서요. 광복군이 미군 협조 없이 자신들만의 힘으로 독립을 이루겠다며 홀로 한반도에 상륙했다면 비슷한 그림이었을까요. 저항과 의기는 높이 평가합니다만, 과연 조직을 드러내고 전면적으로 독일에 맞서야 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미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내긴 했습니다만 부족한 저로서는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바르샤바 봉기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1


    와 -.- 그냥 슥 주워 왔는데 포스터 엄청 크네요. 무슨 전쟁 영화처럼 포스터를 만들었는데 전쟁이 큰 주제고, 전투도 약간씩 나오긴 합니다만 보통 생각하시는 전쟁 영화랑은 다릅니다. 블록버스터 전쟁 실화 같은 소리하고 있네... 저기 남자에 기댄 꼬질꼬질한 여자가 제가 그렇게 예쁘다고, 저도 달려들 뻔 했다고 말한 그 배우 맞습니다.ㅋㅋㅋㅋㅋ
    부러운아이즈
    스스로 조금이라도 쟁취해서 연합측에 어필하려던 측면일지도 모르겠네요. 분할지배 받던때가 있었으니 무언가라도 해야하지 않았을까요. 마침 소련도 거의 당도했으니 이때다 싶어서 일어섰지만 독일군은 쉽지 않죠. 개인적으로 10만의 목숨은 결과에 비해 너무 무겁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스스로 쟁취하려던 의지를 현재 우리가 기억하고 있죠. 쓰고나니 무언가 감성적이네요ㅋㅋ현재 우리나라 서울이었으면 일반 시민의 저항이 아닌 예비역 완편사단이..ㅋㅋㅋㅋ
    네, 저도 그런 이유였으리라 생각해요.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든 소련의 도움이 필수였던 상황에서 그 약간의 명분을 얻겠답시고 수십만의 시민의 목숨까지 걸어야 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서울이었으면 ㅋㅋㅋ 그래도 그 때 바르샤바 시민들보다는 나았겠네요. 영화에 나온 봉기군의 모습은 정말 개판의 오합지졸들이거든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07 7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4 + meson 25/04/12 347 1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8 치킨마요 25/04/11 599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784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409 11
    15376 일상/생각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3 셀레네 25/04/10 697 5
    15375 일상/생각우리 강아지 와이프^^;; 6 큐리스 25/04/09 663 5
    15374 기타[설문요청] 소모임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해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21 오른쪽의지배자 25/04/09 534 4
    15373 과학/기술챗가놈 이녀석 좀 변한거 같지 않나요? 2 알료사 25/04/09 566 1
    15372 과학/기술전자오락과 전자제품, 그리고 미중관계? 6 열한시육분 25/04/09 415 3
    15371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722 18
    15370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3. AI와 함께 개발하다 7 토비 25/04/08 388 12
    15369 정치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3 명동의밤 25/04/08 381 0
    15368 일상/생각우연히 폭싹 속았수다를 보다가.. 8 큐리스 25/04/08 638 0
    15367 영화지쿠악스 내용 다 있는 감상평. 2 활활태워라 25/04/08 363 1
    15366 경제[의료법인 법무실] 병원관리회사(MSO) 설립, 운영 유의사항 - 사무장 병원 판단기준 1 김비버 25/04/08 426 1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778 13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417 7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2 김비버 25/04/06 530 5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402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10 명동의밤 25/04/05 1209 10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976 36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912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980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235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